print

쉽게 생각한 대출…결국 연봉 전체를 원리금으로[부채도사]

DSR 70% 이상 대출자 300만명…고금리 상황서 대출 수요↑
“집 마련엔 관심 높지만…대출 상환엔 관심도 낮아”

서울시내 한 은행 외벽에 대출 안내문이 써붙어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대출은 동지도 적도 아니다.” 한 은행원의 말입니다. 가계부채는 1854조원을 넘었고, 가계들의 상환 능력은 떨어지고 있습니다. 적과의 동침이 불가피할 때입니다. 기사로 풀어내지 못한 부채에 관한 생생한 이야기를 ‘부채도사’에서 전합니다. [편집자주]

대출자들이 빚을 빚으로 해결하는 '악순환 늪'에 빠졌다. 당국의 조사에 따르면 대출자들은 '내 집 마련'에는 관심이 많지만 대출 원금과 이자 상환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DSR 70%이상 대출자 300만명

한국은행이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70%이상 되는 대출자는 전체의 15.1%로, 299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초부터 대출 금리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DSR 70%를 넘기는 차주들이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DSR 70%를 넘는 대출자는 2019년부터 올해 1분기까지 36만명 증가했는데, 지난해에만 22만명 증가했다. DSR은 연간 총소득 대비 대출의 원리금 상환액 비중을 말한다. 

당국에서는 대출자의 DSR이 70%에 달하게 되면 최저 생계비를 제외한 모든 소득을 원리금으로 갚아야 하는 상황으로 판단한다. DSR이 이보다 더 높으면 원리금을 갚을 수 없는, 사실상 부도 상태로 보고 있다. 

DSR이 70% 이상인 대출자 299만명 중에 DSR 100% 이상에 해당하는 대출자도 총 175만명에 달했다. 

서울 송파구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전세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는 모습. [사진 연합뉴스]
문제는 이런 상황에서도 대출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신한은행·하나은행·우리은행·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올해 6월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678조2454억원으로 전달보다 6332억원 증가했다. 

5대 은행의 가계대출은 지난해 1월부터 16개월 연속으로 감소했는데, 올해 5월부터는 두 달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5월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대출금리는 평균 연 5.12%로 여전히 5%대를 유지하고 있다. 고금리 상황에서도 대출 수요는 여전하다. 이러면 대출자의 DSR이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연 4~5%대에 달하는 대출금리 상황에서도 신규취급액 기준 5월 고정금리 대출 비중은 전체의 77.0%를 기록했고, 4월에는 80.7%를 기록했다. 기준금리가 동결되고 있고, 더 이상 기준금리가 오르지 않을 전망이 나오는 상황에서도 고금리 대출을 고정금리로 받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지금 고정금리 대출을 받게 되면 장기간 높은 금리를 유지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무조건 고정금리를 선택하기보다 혼합형 등 향후 금리 인하 혜택을 볼 수 있는 상품을 선택하는 게 유리하다”고 말했다. 

“장기 재무계획 세우는데 대출 상환은 관심 떨어져”

[사진 한국은행]
이런 현상은 대출을 '쉽게 보는 태도'에서 비롯됐을 수 있다. 한은과 금융감독원이 올해 3월 30일 내놓은 ‘2022 전국민 금융이해력조사’에 따르면 ‘금융행위’ 점수는 지난해 65.8점으로 전년과 같은 수준을 기록했다. 

‘금융행위’는 재무계획, 예산관리, 정보에 입각한 예적금 및 대출 등 금융상품 선택과 관련돼 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의 ‘장기재무 목표 설정’과 ‘평소 재무 상황 점검’ 점수는 각각 48.0점, 55.7점에 불과했다. 

특히 장기 재무계획과 관련해 가장 중요한 점으로는 ‘이사 및 주택자금’이 24.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대출상환’은 8.3%에 그쳤다. ‘자동차 구입’도 재무목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6%로 이보다 더 높았다. 

금융소비자들이 재무 관점에서 주택 등 자산 마련에는 집중하지만, 상대적으로 대출상환에 대해서는 관심 이 높지 않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에 대출을 쉽게 생각하면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과 빚투(빚내서 투자), 전세대출을 활용한 갭투자가 유행해 현재와 같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중이 100%를 넘는 상황이 만들어졌다는 지적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유승민 “野 25만원 특별법은 위헌…민주당의 악성 포퓰리즘”

2주유소 기름값 내림세…휘발유 가격 7주 만에 내려

3정부, 법원에 '의대증원' 자료 49건 제출…내주 집행정지 결정

4홍천서 올해 첫 진드기 SFTS 사망자 발생

5비트코인, 전일 대비 3.2%↓…6만 달러 위태

6대주주 주식 양도차익, 1인당 평균 13억 넘어

7코로나19 수혜 기업, 엔데믹 탈출구 마련은 언제

8라인 사태에 네이버·라인 직원 동요…“일자리 잃나”

9코로나19 백신 개발 속속 중단…자금 확보도 난항

실시간 뉴스

1유승민 “野 25만원 특별법은 위헌…민주당의 악성 포퓰리즘”

2주유소 기름값 내림세…휘발유 가격 7주 만에 내려

3정부, 법원에 '의대증원' 자료 49건 제출…내주 집행정지 결정

4홍천서 올해 첫 진드기 SFTS 사망자 발생

5비트코인, 전일 대비 3.2%↓…6만 달러 위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