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금리 안 따지는 대출자들…불붙은 연체율에 ‘기름 붓네’
[다시 확대되는 가계대출] ②
고금리에 가계대출 재확산…연체율 상승 장기화 불가피
기업대출 연체율도 급등…‘이자보상배율’은 반토막

고금리에도 빚내는 대출자들
금융권에 따르면 가계대출 원리금 상환 부담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가계 부문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13.6%를 기록했다. 전 세계 주요 17개국 중 호주(14.7%)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DSR는 소득 대비 부채 원리금 상환 부담을 나타낸다. DSR가 높으면 소득에 비해 대출 원리금 상환 부담이 크다는 의미다.
특히 가계 부문 DSR는 1년 전보다 0.8%p 높아졌는데 이는 호주(1.2%p 상승) 다음으로 가파른 속도다.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기 전인 2019년 말과 비교하면 한국의 DSR는 지난해 말까지 1.4%p 높아지면서 조사 대상 국가 중 가장 높았다.
이는 가계대출이 급격하게 확대된 영향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가계신용 잔액은 1867조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4조1000억원(0.2%) 늘었다. 2019년 말과 비교하면 266조9000억원(16.7%) 급증했다.
이런 가운데 한은의 기준금리는 지난해부터 급격히 높아졌다. 현재 3.50%인 기준금리는 2019년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1.25%)와 비교해 두 배 이상 상승했다.
은행권, 연체율 더 오르기 전에 부실 털고 간다

부실 채권으로 여겨지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분기에 은행권이 0.28%로 낮은 수준이지만 저축은행은 4.64%, 상호금융이 2.94% 등을 기록했다.
이런 상황에서 은행권은 연체율 상승을 대비해 부실 채권을 정리 중이다. 은행은 연체가 3개월 이상 된 대출 채권을 부실대출인 고정이하여신으로 분류한다. 또 회수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상각하거나 싼 가격에 자산 유동화 전문 회사 등에 매각한다.
KB국민은행·신한은행·하나은행·우리은행·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은 올해 상반기 부실 채권을 2조2130억원어치 상각 및 매각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9907억원과 비교해 2배가 넘는 규모이며 지난 1년간 정리한 총 부실채권 2조2713억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이같은 대규모 채권 정리는 다소 손해를 보더라도 건전한 대출만 들고 가겠다는 판단으로 해석된다.
기업들, 빚 갚느라 휘청...부실 우려 확산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6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3.70%로 전월 대비 0.14%p 상승했다. 전월에도 0.12%p 오른 바 있는데 상승세가 더 강해졌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다.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의 금리가 인상되면 코픽스 금리가 오르면서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높인다.
지난 5월 신규취급액 기준 가계대출 금리는 연 4.83%, 기업대출은 연 5.20%를 기록했다. 저축은행 가계대출 금리는 연 12.24%. 새마을금고는 연 6.39%다.
가계대출뿐만 아니라 기업대출 부실 우려도 높아졌다. 대한상공회의소가 한국평가데이터와 함께 1612개 상장사의 지난해 재무 상황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34.2% 감소했다. 이중 대출 이자 비용이 31.9% 증가한 14조2000억원을 기록하며 실적 악화에 영향을 끼쳤다.
이자보상배율(기업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갚을 능력)은 2021년 10.1배 대비 지난해 말 5.1배로 줄었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갚을 능력이 반토막 났다는 얘기다.
이런 와중에도 올해 상반기까지 기업대출은 총 39조8000억원 증가했는데, 가계대출 증가액 4조2000억원 보다 훨씬 규모가 크다. 이에 앞으로도 기업 이자비용은 더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한은에 따르면 기업대출 연체율은 올해 1분기 말 1.49%로 은행 가계대출 연체율의 0.35%보다 월등히 높았다. 이에 대해 한은은 “향후 기업 부문의 잠재리스크가 현실화될 경우 은행의 기업대출 부도율이 상승하고 신용손실이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가계와 기업 대출 이자가 상승하며 대출자들 중 중저신용자들의 연체율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경기 회복 조짐도 보이지 않아 은행들은 더욱 이런 부분을 예의주시하고 충당금 적립 등으로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감정이 ‘롤러코스터’ 탄다”…조증과 울증 사이 ‘양극성 장애’
2아동성착취물 6개국 특별단속 435명 검거…“10대 57%, 가장 많아”
3 尹, 관저서 나경원 만났다…“어려운 시기에 고맙다”
49급 공무원 필기 응시율 또 떨어졌다…3년 새 ‘최저’
5 野 “韓대행, 대선일 신속히 공표해야”
6“은퇴 이후에도 취업 프리패스”…5060 몰리는 이 자격증은
7국민연금만 ‘月 543만원’ 받는다…‘역대급’ 수령한 부부 비결 봤더니
8“한국은 25%, 기본 10%”…트럼프발 전세계 ‘관세 폭탄’ 터졌다
9파면 이틀째 尹, 관저 퇴거는 언제...아크로비스타 복귀에 ‘관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