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기업대출 1년 새 130조 늘었다…금융시장 ‘경고등’

주요국 중 기업대출 증가속도 1위
부채비율·연체율 등 재무안전성 악화
“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 우려”

30일 연합뉴스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금융기관 기업대출(산업별대출금) 잔액은 올해 2분기 말 기준 1842조8000억원으로 지난해(1713조1000억원) 대비 7.57%(129조7000억원) 증가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마켓in 김연서 기자] 최근 가계대출과 함께 기업대출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금융시장에 ‘경고등’이 켜졌다. 특히 기업 재무안정성이 약화하고 있어 향후 금융기관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단 지적이 나온다.

30일 연합뉴스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금융기관 기업대출(산업별대출금) 잔액은 올해 2분기 말 기준 1842조8000억원으로 지난해(1713조1000억원) 대비 7.57%(129조7000억원) 증가했다. 

기업대출 잔액은 ▲2018년 말 1121조3000억원 ▲2019년 말 1207조8000억원 ▲2020년 1393조6000억원 ▲2021년 말 1580조7000억원 ▲2022년 말 1797조7000억원 등으로 매년 급증하고 있다. 

올해 2분기 말 기준 기업대출의 잔액은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불과 3년 반 만에 52.6% 증가했다. 

주요국과 비교했을 때에도 상승폭이 가장 컸다. 국회 예산정책처가 국제결제은행(BIS) 통계를 인용한 데 따르면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대출 비중은 한국이 지난해 4분기 기준 119.6%로 2019년 대비 18.3%p 상승했다. 

예산정책처는 “금리 급등으로 자본시장에서 자금 조달이 여의치 않은 기업의 자금 수요가 증가하면서 기업대출이 높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기업들의 재무 안정성은 전반적으로 나빠지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기업 부채비율은 ▲2019년 말 84.24% ▲2020년 말 85.75% ▲2021년 말 86.43% ▲2022년 말 92.13%로 올랐다. 기업 부채비율은 올해 1분기 94.95%까지 올랐다가 2분기 90.85%로 내렸지만 여전히 90%대를 상회했다. 

은행 월별 기업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내내 0.3% 수준을 유지했으나 올해 1월 0.4%로 상승한 뒤 지난 4월과 5월에는 0.5%까지 올라갔다.

예산정책처는 “경제 상황이 개선되지 않은 상황에서 급증한 기업대출은 경제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신용보증기금 등의 부실률이 높아지면서 재정 부담으로 이어질 우려도 상존한다”고 진단했다.

한은은 최근 통화신용정책보고서를 통해 “가계부채와 달리 기업부채는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높은 증가세를 지속했다”며 “자금조달비용 상승, 주택경기 둔화 등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관련 대출이 기업부채 증가를 주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업부채 비율도 주요국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며 “성장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연세의대 교수비대위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2‘롯데 3세’ 신유열 시대 열린다...日 지주사 사내이사로

3M캐피탈 구원투수 나선 메리츠증권…평가 엇갈린 배경은

4우리금융에 무슨 일이…임종룡 회장 취임 후 금융사고 9건 발생

5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6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

7넥슨 ‘퍼스트 버서커: 카잔’, 글로벌 게임쇼 ‘게임스컴 2024’ 참가

8현대건설, '전 공정 무재해' 47개 협력사에 상금 전달

9쿠키런: 모험의 탑, 글로벌 정식 출시…사전예약자 250만명 돌파

실시간 뉴스

1연세의대 교수비대위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2‘롯데 3세’ 신유열 시대 열린다...日 지주사 사내이사로

3M캐피탈 구원투수 나선 메리츠증권…평가 엇갈린 배경은

4우리금융에 무슨 일이…임종룡 회장 취임 후 금융사고 9건 발생

5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