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기업대출 1년 새 130조 늘었다…금융시장 ‘경고등’

주요국 중 기업대출 증가속도 1위
부채비율·연체율 등 재무안전성 악화
“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 우려”

30일 연합뉴스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금융기관 기업대출(산업별대출금) 잔액은 올해 2분기 말 기준 1842조8000억원으로 지난해(1713조1000억원) 대비 7.57%(129조7000억원) 증가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마켓in 김연서 기자] 최근 가계대출과 함께 기업대출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금융시장에 ‘경고등’이 켜졌다. 특히 기업 재무안정성이 약화하고 있어 향후 금융기관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단 지적이 나온다.

30일 연합뉴스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금융기관 기업대출(산업별대출금) 잔액은 올해 2분기 말 기준 1842조8000억원으로 지난해(1713조1000억원) 대비 7.57%(129조7000억원) 증가했다. 

기업대출 잔액은 ▲2018년 말 1121조3000억원 ▲2019년 말 1207조8000억원 ▲2020년 1393조6000억원 ▲2021년 말 1580조7000억원 ▲2022년 말 1797조7000억원 등으로 매년 급증하고 있다. 

올해 2분기 말 기준 기업대출의 잔액은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불과 3년 반 만에 52.6% 증가했다. 

주요국과 비교했을 때에도 상승폭이 가장 컸다. 국회 예산정책처가 국제결제은행(BIS) 통계를 인용한 데 따르면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대출 비중은 한국이 지난해 4분기 기준 119.6%로 2019년 대비 18.3%p 상승했다. 

예산정책처는 “금리 급등으로 자본시장에서 자금 조달이 여의치 않은 기업의 자금 수요가 증가하면서 기업대출이 높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기업들의 재무 안정성은 전반적으로 나빠지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기업 부채비율은 ▲2019년 말 84.24% ▲2020년 말 85.75% ▲2021년 말 86.43% ▲2022년 말 92.13%로 올랐다. 기업 부채비율은 올해 1분기 94.95%까지 올랐다가 2분기 90.85%로 내렸지만 여전히 90%대를 상회했다. 

은행 월별 기업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내내 0.3% 수준을 유지했으나 올해 1월 0.4%로 상승한 뒤 지난 4월과 5월에는 0.5%까지 올라갔다.

예산정책처는 “경제 상황이 개선되지 않은 상황에서 급증한 기업대출은 경제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신용보증기금 등의 부실률이 높아지면서 재정 부담으로 이어질 우려도 상존한다”고 진단했다.

한은은 최근 통화신용정책보고서를 통해 “가계부채와 달리 기업부채는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높은 증가세를 지속했다”며 “자금조달비용 상승, 주택경기 둔화 등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관련 대출이 기업부채 증가를 주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업부채 비율도 주요국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며 “성장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상폐 위기 처한 위믹스...김석환 대표 “최선 다해 소명 노력”

2출범 3년간 성장 입지 다진 넥슨게임즈, 신작 투자로 글로벌 도약 노린다

311비트 스튜디오, 미스터리 SF 어드벤처 ‘디 얼터스’ 6월 13일 출시

4라인게임즈, 신작 타이틀 ‘엠버 앤 블레이드’ 최초 공개

5“스테이블코인은 금융 인프라”…디지털 자산 정책 골든타임 진입

6매운맛 열풍 때문에...단종 제품 다시 나온다

7"팬들 제보 모여 범인 잡았다"...하이브 아티스트 딥페이크 피의자 8명 검거

8‘강남스타일’에서 ‘금융스타일’로…iM금융, 싸이 광고 온에어

9부동산원, ‘당근마켓’ 허위매물 모니터링 대상에 포함

실시간 뉴스

1상폐 위기 처한 위믹스...김석환 대표 “최선 다해 소명 노력”

2출범 3년간 성장 입지 다진 넥슨게임즈, 신작 투자로 글로벌 도약 노린다

311비트 스튜디오, 미스터리 SF 어드벤처 ‘디 얼터스’ 6월 13일 출시

4라인게임즈, 신작 타이틀 ‘엠버 앤 블레이드’ 최초 공개

5“스테이블코인은 금융 인프라”…디지털 자산 정책 골든타임 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