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LG 의인상 주인공…28년 무료진료, 29년 미용봉사 이어온 박언휘·배점옥

내과의사 박언휘 씨 나병촌 보건소 근무 경험으로 봉사 활동 시작
미용강사 배점옥 씨 제자들과 봉사 단체 꾸려 미용 봉사 이어와

LG 의인상 수상자 박언휘(왼쪽 사진) 씨가 복지시설에서 진료봉사를 하고 있다. 또 다른 LG 의인상 수상자인 배점옥(오른쪽 사진) 씨가 재활원에서 미용봉사를 하고 있다. [사진 LG]

[이코노미스트 최영진 기자] LG복지재단이 28년간 무료진료 봉사의 길을 걸어온 박언휘 씨와 29년간 미용봉사를 이어온 배점옥 씨에게 ‘LG 의인상’을 수여했다고 1일 밝혔다. 

내과의사인 박 씨는 1996년 경상북도 성주 나병촌 보건소에서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28년간 무료진료 봉사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 28년 동안 울릉도· 독도·소록도 등 도서 산간벽지는 물론 베트남, 필리핀 등 해외 의료 사각지역을 정기적으로 방문해 의료봉사를 꾸준히 해왔다. 

최근에도 장애인 시설 등 다양한 곳을 방문해 촉탁진료를 이어오고 있다. 28년 동안 1만5000여 명이 넘는 환자를 무료로 돌봤다. 기부 활동도 이어가고 있다. 2004년부터 소외계층에 매년 1억원 이상의 독감백신 등 백신을 기부했고, 2012년부터 장애인 합창단과 봉사단에도 후원을 하고 있다. 

박 씨는 “어린 시절 울릉도에서 살며 열악한 의료환경 때문에 제대로 치료받지 못하고 고통받는 이웃들을 보고 의사가 되기로 다짐했다”며 “힘 닿는 데까지 봉사와 기부를 이어갈 것”이라 밝혔다.

또 다른 LG의인상의 주인공 배점옥 씨는 1995년 부산에서 미용기술 자격증 취득 후 강사로 활동하며 복지관, 요양원 등에서 봉사활동을 해왔다. 1998년 울산의 한 미용학원에 강사로 취직한 후 학생들을 더 잘 가르치기 위해 울산 북구의 한 장애인 복지시설을 찾아가 무료 이미용 봉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배 씨가 일하던 미용학원을 2005년 인수해 봉사활동을 더욱 적극적으로 하기 시작했다고. 특히 배 씨는 제자들과 함께 울산 미용봉사단 ‘하늘 한마음회’, 장애인 복지시설 미용봉사단 ‘로드회’ 등을 꾸려 봉사활동을 펼쳐 많은 박수를 받았다. 코로나 여파로 시설이나 병원 등에서 봉사활동을 할 수 없게 되자, 거동이 불편한 노인과 장애인 등을 직접 찾아가 미용봉사를 이어갔다. 그는 미용봉사뿐만 아니라 지역복지관에서 급식·목욕·간병봉사 등의 다양한 봉사활동도 펼치고 있다. 

배 씨는 “내가 가진 미용 기술로 도움이 필요한 이웃을 돌볼 수 있는 것은 가장 큰 행복”이라 밝혔다.

LG 관계자는 “어려운 이웃들을 위해 묵묵히 자신만의 방식으로 봉사의 길을 걸어온 두 분의 숭고한 이웃사랑 정신이 우리 사회에 더욱 확산되기를 바라는 뜻에서 의인상을 수여했다”고 밝혔다.

LG 의인상은 2015년 ‘사회정의를 위해 자신을 희생한 의인에게 기업이 사회적 책임으로 보답한다’는 故 구본무 회장의 뜻을 반영해 제정됐다. 현재까지 LG 의인상 수상자는 총 222명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벌써 4년차…하림 프리미엄 ‘더미식’ 자리 못 잡는 이유

2“관세는 사전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어”…트럼프 행정부, 보호무역주의 강화 하나

3통념과는 다른 지침, '창업' 꿈꾸는 이에게 추천하는 이 책

4AI에 외치다, “진행시켜!”… AI 에이전트 시대 오나

5한국에도 중소도시의 새로운 기회가 올까

6로또 1146회 1등 당첨번호 ‘6·11·17·19·40·43’,…보너스 ‘28’

7“결혼·출산율 하락 막자”…지자체·종교계도 청춘남녀 주선 자처

8“역지사지의 마음으로 진정성 있는 소통에 나설 것”

950조 회사 몰락 ‘마진콜’ 사태 한국계 투자가 빌 황, 징역 21년 구형

실시간 뉴스

1벌써 4년차…하림 프리미엄 ‘더미식’ 자리 못 잡는 이유

2“관세는 사전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어”…트럼프 행정부, 보호무역주의 강화 하나

3통념과는 다른 지침, '창업' 꿈꾸는 이에게 추천하는 이 책

4AI에 외치다, “진행시켜!”… AI 에이전트 시대 오나

5한국에도 중소도시의 새로운 기회가 올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