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가상자산 시세조종·부정거래 ‘아웃’…위반시 최대 무기징역

오는 7월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
위반시 1년 이상의 징역 등 형사처벌
부당이득액의 3배 이상 5배 이하의 벌금

가상화폐 [사진 게티이미지]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최근 가상자산시장에서 코인리딩방, 불법투자자문, 유사수신 등 각종 위법·부당행위가 만연함에 따라 금융당국이 칼을 빼들었다. 하반기부터는 가상자산에 관한 시세조종이나 부정거래, 미공개 중요정보 이용 행위가 금지되며 부당이득액이 50억원 이상이면 최대 무기징역까지 선고될 수 있다.

금융위원회는 오는 7월 19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을 앞두고 지난달 22일까지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령과 가상자산업감독규정에 대한 입법예고를 진행했다고 7일 밝혔다.

시행령과 감독규정에 따르면 가상자산에 관한 시세조종이나 부정거래, 미공개 중요정보 이용 행위는 금지된다. 

위반시 1년 이상의 징역 등 형사처벌을 받거나, 부당이득액의 3배 이상 5배 이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부당이득액이 50억원 이상인 경우 최대 무기징역까지 선고될 수 있고, 부당이득액의 2배에 상당하는 과징금 부과도 가능하다. 

과징금은 금융위가 혐의를 검찰총장에게 통보하고 검찰총장으로부터 과징금 부과 대상자에 대한 수사·처분 결과를 통보받은 후 부과할 수 있다.

가상자산거래소 등 사업자는 가상자산 이용자가 가상자산을 매매하기 위해 맡긴 예치금은 은행을 통해 관리해야 한다. 가상자산사업자는 또 이용자 가상자산 경제적 가치의 80% 이상을 인터넷과 분리해 안전하게 보관해야 한다.

가상자산사업자는 또 해킹·전산장애 등 사고의 책임을 이행하기 위해 인터넷과 분리해 보관하는 가상자산을 제외한 나머지 가상자산의 경제적 가치의 5% 이상에 해당하는 금액을 보상한도로 보험 또는 공제에 가입하거나 준비금을 적립해야 한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이날 마포 프론트원에서 이석우 두나무 대표 등 가상자산사업자 CEO 20여명과 간담회를 열고 모두발언을 통해 “오는 7월 시행되는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은 이용자 보호를 위해 시급한 최소한의 내용만 담고 있어 향후 2단계 입법까지 일부 규제 공백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위법·부당행위 근절 없이는 시장 신뢰 회복과 가상자산 산업 발전을 기대하기 어렵다”면서 “업계에서도 적극적 감시체계 가동 등 시장질서 회복을 위한 노력을 경주해줄 것을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밀키스 맛에 반했다"...롯데칠성, 중동 음료 시장 공략 드라이브

2신영증권, 창립69주년 기념식 개최

3지난해 불법 유통된 콘텐츠 살펴보니..게임 소프트웨어가 38%로 가장 많아

4“신축 프리미엄 커지나”...내년 수도권 아파트 입주 7만 가구 이하로 ‘뚝’

5‘AG 피겨 金’ 차준환 선수, 여의도 KB금융 방문한 사연은?

6트럼프, ‘진짜 왕 만세’ 머스크 지지…발에 키스도?

7"이젠 쿠팡 없이 못 살아"...결제추정액 55조 넘었다

8애플, 미국서 2만개 일자리 창출…트럼프 관세 압박 속 5000억달러 투자

9자영업자 10명 중 4명 “장사 접을 판...매출·순이익 모두 ‘뚝’”

실시간 뉴스

1"밀키스 맛에 반했다"...롯데칠성, 중동 음료 시장 공략 드라이브

2신영증권, 창립69주년 기념식 개최

3지난해 불법 유통된 콘텐츠 살펴보니..게임 소프트웨어가 38%로 가장 많아

4“신축 프리미엄 커지나”...내년 수도권 아파트 입주 7만 가구 이하로 ‘뚝’

5‘AG 피겨 金’ 차준환 선수, 여의도 KB금융 방문한 사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