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국민 10명 중 7명 “부동산 관련 세금 부담된다”

보유세가 가장 부담…취득세·양도소득세 뒤이어
다주택자 판단 기준 완화돼야…3주택이 적당

지난 3월 19일 오후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잠실 일대 아파트의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국민 10명 중 7명은 부동산 관련 세금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일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연구원이 19∼69세 국민 2000명을 대상으로 작년 말 실시해 1일 공개한 설문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71.3%가 부동산 관련 세금이 부담된다고 답했다.

‘매우 부담된다’는 응답은 24.2%, ‘조금 부담된다’는 응답은 47.1%였다.

가장 부담이 되는 세금으로는 보유세(41.2%)를 가장 많이 꼽았고, 취득세(35.8%)와 양도소득세(23.0%)가 뒤를 이었다.

부동산 관련 세금 중과 시 다주택자를 판정하는 기준(현행 2주택)을 완화할 필요가 있냐는 질문에는 전체의 56.1%가 완화할 필요가 없다고 답했다.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한 이들(43.9%) 중 대다수는 3주택이 적당하다고 답했다.

부동산 관련 세금 중과 시 적절한 기준에 대해서는 소유주택의 가격 총액을 고려해야 한다(78.5%)는 응답이 소유주택의 개수를 고려해야 한다(21.5%)는 응답보다 3배 이상 많았다.

1주택 이하 실수요자에 대한 주택담보인정비율(LTV) 및 총부채상환비율(DTI) 기준은 현행(LTV 70%, DTI 60%)을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응답이 각각 46.7%와 43.9%로 가장 많았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기준에 대해서는 완화해야 한다는 응답(41.7%)이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40.6%)보다 많았다.

임대차 계약과 관련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16.5%가 보증금 반환 거부 또는 지연 등의 어려움을 겪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묵시적 갱신을 포함한 임대차 계약의 갱신 기간은 현재와 같이 ‘2+2년’이 적절하다는 응답이 54.1%로 가장 많았고, ‘2+1년’이 22.4%로 뒤를 이었다.

가장 선호하는 주택 점유 형태로는 93.8%가 자가를 꼽았다. 전세(2.9%)나 보증금 있는 월세(2.1%)를 꼽은 이들은 각각 3% 미만에 그쳤다.

필요한 주거지원 정책으로는 ‘내 집 마련 지원’(59.2%)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공공임대 재고 확충’(33.8%), ‘주거급여 등 주거비 보조’(32.9%)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주택·부동산 분야와 별개로 실시된 국토 정책 분야 설문조사에서는 의료시설(54.4%)이 국민들에게 가장 필요한 생활 인프라로 꼽혔다.

이어 복지시설(16.7%), 문화시설(16.4%), 보육시설(9.3%), 공원시설(2.0%), 체육시설(1.2%)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진로와 새로, 이제 우리도 효자'...주류업체 메인 넘보는 서브 브랜드의 반란

2“교육은 종합예술과 비슷” 기술·트렌드 모두 잡는다

3‘오사카·간사이 엑스포’ 키워드는 ‘친환경’…입장권 판매 여전히 저조

4 미증시 급락에 암호화폐 반등, 리플 4% 올라

52017년 영화 '리얼'의 OTT 순위권 진입?...김수현, 논란에 또 논란

6미국만 잘 살겠다는 트럼프발 관세전쟁

7파푸아뉴기니 뉴브리튼섬 인근 규모 7.2 지진

8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9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실시간 뉴스

1'진로와 새로, 이제 우리도 효자'...주류업체 메인 넘보는 서브 브랜드의 반란

2“교육은 종합예술과 비슷” 기술·트렌드 모두 잡는다

3‘오사카·간사이 엑스포’ 키워드는 ‘친환경’…입장권 판매 여전히 저조

4 미증시 급락에 암호화폐 반등, 리플 4% 올라

52017년 영화 '리얼'의 OTT 순위권 진입?...김수현, 논란에 또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