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질주에…지난해 공모펀드 규모 20% 늘었다
금감원, 2023년 자산운용회사 영업실적 발표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지난해 상장지수펀드(ETF) 인기에 이를 포함한 자산운용사들의 공모펀드 수탁고가 전년 대비 20%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자산운용사 영업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468개 자산운용사(공모운용사 81개사, 사모운용사 387개사)의 운용자산은 1482조6000억원으로 전년말 대비 84조7000억원(6.1%) 늘었다.
특히 공모펀드 수탁고는 329조2000억원으로 같은 기간 53조7000억원(19.5%) 증가해 최근 10년 새 가장 많이 늘었다. ETF의 순자산총액이 2022년 말 78조5000억원에서 2023년 말 121조1000억원으로 54.3% 급증한 결과다.
사모펀드 수탁고는 595조6000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40조원(7.2%) 늘었다. 부동산과 특별자산, 혼합자산 위주로 증가했다. 투자일임 계약고는 지난해 말 기준 557조8000억원으로 채권형(422조5000억원), 주식형(93조9000억원), 혼합채권(9조400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자산운용사의 영업이익은 1조5111억원으로 전년 대비 3261억원(27.5%) 증가했다. 자산운용사들의 고유재산 운용으로 얻은 증권투자손익(이익에서 손실을 뺀 것)이 4648억원으로 2022년 130억원 대비 3475.4%나 늘어난 영향이 컸다.
반면 자산운용사들의 수수료 수익은 3조9188억원으로 전년(4조455억원)보다 1267억원(3.1%), 2021년(4조4507억원)과 비교하면 5319억원(12.0%) 감소했다. 일반 공모펀드보다 수수료가 저렴한 ETF 시장이 커지면서 수수료 수익 규모도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펀드 관련 수수료는 3조1270억원으로 전년보다 2.8% 즐었다. 당기순이익은 1조6023억원으로 같은 기간보다 1조2490억원(43.8%) 감소했다. 다만 2022년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의 카카오뱅크 지분 처분이익(약 2조3000원)을 감안하면 사실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운용사 전체 468개사 중 289개사가 흑자, 179개사가 적자를 기록했다. 적자회사 비율은 2022년(50.3%)에 비해 38.2%로 감소했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1.1%로 2022년(22.1%)에 비해 11.0%포인트 하락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전체 자산운용사의 당기순이익은 사실상 증가함과 동시에 적자회사 비율 또한 감소했다”며 “자산운용산업의 다양성이 제고되면서, 자산운용사의 영업실적 또한 호전되는 등 전년 대비 전반적으로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3번째' 로켓 베이비 등장?...일론 머스크는 '연락 두절'
2프란치스코 교황, 병세 계속 위중… 교황청 “한때 호흡곤란”
3"식구끼리 비방하면 누가 좋나"…이재명 강성 지지층 자제 당부
4경제8단체 “상법 개정 철회하고, 대안으로 자본시장법 개정”
5 이준석 “이재명, 정치도 운전도 이렇게 하면 사고 나"
6이재명 “아직도 초부자감세 미련 있나”…세제개편 토론 제안
7지난해 육아휴직자 10명 중 3명은 남성…처음으로 30% 넘어
8국민 55%는 ‘국장’보다 ‘미장’ 선호…그 이유는?
9SK텔레콤, MWC 2025 참가…AI 기반 혁신 기술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