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비민주적 강한 지도자 싫다"…韓서 부정적 응답 가장 높아

11개국서 강력한 지도자에 대한 부정 견해 높게 나와
"자국 정부에 만족한다" 질문에 韓, 27%만 "그렇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일인 10일 오후 울산시 남구 문수체육관에 마련된 개표소에서 투표용지 분류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전 세계 19개국 중 11개국에서 비민주적인 '강력한 지도자'(strong leader)에 부정적인 시각을 가진 유권자들이 긍정적인 시각의 유권자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미국, 대만 등 6개국에서 강력한 지도자에 부정적인 답변이 절반을 넘었다. 특히 한국에서의 부정적 의견이 높았다. 

스웨덴 스톡홀름에 위치한 싱크탱크 국제민주주의·선거지원 기구(IDEA)는 11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의 '민주주의 인식'(PODS) 보고서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국은 브라질, 칠레, 콜롬비아, 덴마크, 감비아, 인도, 이라크, 이탈리아, 레바논, 리투아니아, 파키스탄, 루마니아, 세네갈, 시에라리온, 솔로몬제도, 한국, 대만, 탄자니아, 미국 등 19개국이다.

IDEA는 각국 유권자들에게 강력한 지도자에 대한 긍정적 혹은 부정적 견해에 대해 묻고 그 강도에 대해 답하도록 했다.

감비아, 파키스탄, 시에라리온, 루마니아, 레바논, 인도, 탄자니아, 이라크 등 8개국에서는 긍정적인 답변이 더 많았다.

나머지 11개국에서는 강력한 지도자에 부정적이라는 답변이 많았다. 

한국, 미국, 대만, 이탈리아, 덴마크, 콜롬비아 등 6개국에서 강력한 지도자에 부정적이라는 답변이 50%를 넘겼다. 특히 한국은 강력한 지도자에 부정적인 응답이 73%로 조사대상국 중 가장 높았다.

현 정부에 만족한다는 유권자보다 불만족이라는 이들은 대체로 더 많았다. 19개국 중 17개국에서 절반 이하의 응답자만 자국 정부에 만족한다고 답했다. 

한국(27%), 이탈리아(19%), 루마니아(9%)로 정부 만족도가 낮은 국가에 속했다. 정부에 만족한다는 응답자는 탄자니아와 인도에서 각각 79%, 59%로 가장 많았다.

'선거일, 선거 캠페인, 투표집계 과정 등을 종합할 때 가장 최근에 치러진 선거가 자유롭고 공정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 또는 '어느 정도는 그렇다'고 답한 응답자는 19개국 중 11개국에서 절반 이하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는 작년 7월부터 올해 2월까지 19개국에서 각국 약 1500명을 대상으로 전화 또는 인터넷으로 이뤄졌다. 오차범위는 2∼4%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삼성전자 1분기 영업이익 6조6천억원…작년 동기 대비 0.2%↓

26개월간 휴일 'NO' 편의점 점장, 끝내…본사 답변은

3트럼프, 韓에 25% 상호관세 ‘폭탄’...“대미 통상전략 촉구해야”

4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광고 모델로 가수 비비 발탁

5"사기 혐의로 처벌해달라"...최형록 발란 대표 '출국금지' 됐다

6"꽃받침 턱받이 아시나요?"...아기 용품으로 매출 500억 기록한 K-기업 나왔다

7사망‧실종자 휴대전화 비밀번호 해제 가능해질까

8서머스 전 美재무장관 섬뜩한 경고 “상호 관세는 역사상 가장 큰 자해”

9강풍·비 소식에…‘벚꽃엔딩’ 빨라질까

실시간 뉴스

1 삼성전자 1분기 영업이익 6조6천억원…작년 동기 대비 0.2%↓

26개월간 휴일 'NO' 편의점 점장, 끝내…본사 답변은

3트럼프, 韓에 25% 상호관세 ‘폭탄’...“대미 통상전략 촉구해야”

4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광고 모델로 가수 비비 발탁

5"사기 혐의로 처벌해달라"...최형록 발란 대표 '출국금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