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카네이션 거래 작년보다 37% 감소…수입산과 가격경쟁 밀려
2022년 7만5937속과 비교해 53.2% 급감
카네이션 수입량은 꾸준한 증가세

6일 한국농수산물유통공사(aT) 화훼공판장에 따르면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4일까지 거래된 국산 절화(자른 꽃) 카네이션은 3만5528속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5만6366속)과 비교해 37.0% 감소했다.
코로나19 방역 조치인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직후인 2022년 같은 기간 거래량 7만5937속과 비교해 53.2%나 줄었다.
속은 절화 거래의 기본 단위로, 카네이션의 경우 20송이가 1속이다.
가격을 비교하면 지난달 28일부터 지난 4일까지 거래 가격은 한 속에 평균 8411원으로, 지난해 동기의 7천438원보다 13.1% 올랐고, 2022년 같은 기간의 8806원보다 4.5% 내렸다.
다른 품종과 비교하면 국산 카네이션 거래량 감소는 더 두드러진다.
절화 장미의 경우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4일까지 경매량은 6만9856속(장미 1속은 10송이)으로 작년 6만7169속 대지 4.0% 증가했고, 2022년 동기(7만1천772속)와 비교해 2.7% 감소했다.
국산 카네이션 거래 감소의 원인은 복합적인 것으로 풀이된다. 우선 수입산과 가격 경쟁에서 밀린 것이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실제 카네이션 수입량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절화 카네이션 수입량은 올해 1∼3월 410t(톤)으로 작년 동기 346.5t보다 18.3% 증가했다. 2022년 265.2t과 비교하면 54.6% 크게 늘었다.
올해 1∼3월 수입된 물량의 92.4%(379t)는 콜롬비아산이다.
이와 함께 경기 악화, 소비 트렌드의 변화 등으로 꽃다발이나 꽃꽂이에 쓰는 절화류 카네이션 소비 자체가 줄었다는 시각도 있다. 한 꽃집 운영자는 "요새는 크기가 작은 꽃다발, 꽃바구니가 더 잘 나간다"라고 전했다.
꽃값에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가 늘면서 중고 거래로 카네이션을 사고파는 모습도 나타나고 있다. 중고 거래 플랫폼 '당근마켓'에는 최근 카네이션 생화를 판매한다는 글이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감정이 ‘롤러코스터’ 탄다”…조증과 울증 사이 ‘양극성 장애’
2아동성착취물 6개국 특별단속 435명 검거…“10대 57%, 가장 많아”
3 尹, 관저서 나경원 만났다…“어려운 시기에 고맙다”
49급 공무원 필기 응시율 또 떨어졌다…3년 새 ‘최저’
5 野 “韓대행, 대선일 신속히 공표해야”
6“은퇴 이후에도 취업 프리패스”…5060 몰리는 이 자격증은
7국민연금만 ‘月 543만원’ 받는다…‘역대급’ 수령한 부부 비결 봤더니
8“한국은 25%, 기본 10%”…트럼프발 전세계 ‘관세 폭탄’ 터졌다
9파면 이틀째 尹, 관저 퇴거는 언제...아크로비스타 복귀에 ‘관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