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효율성 제고” KGM, 황기영·박장호 대표이사 신규 선임
곽재선 회장 포함 3인 각자 대표 체제
효율성 높이며 책임 경영 체제 강화

KGM은 경기 평택 본사에서 임시 주주총회와 이사회를 갖고 대표이사를 신규 선임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날 선임된 대표이사는 해외사업본부장 황기영 전무와 생산본부장 박장호 전무다. KGM은 곽재선 회장을 포함해 3인 각자 대표이사 체제로 전환하게 된다.
경영 효율성 제고와 사업(국내외사업∙서비스사업) 및 생산부문 책임 경영 체제 구축을 위해 대표이사를 신규 선임했다는 게 KGM 측 설명이다.
신규 선임된 황기영 대표는 앞으로 황 대표는 사업부문 전반을 관장한다. 황 대표는 지난해 KGM에 합류해 해외사업분야에서 공격적인 신시장 개척과 신제품 출시를 이뤄냈다. 이를 통해 지난해 KGM이 9년 만에 최대 수출 실적을 달성하는데 기여했다.
KGM은 수출 증가세에 힘입어 지난해 2007년 이후 16년 만의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창사 이후 70년 만의 연간 최대 매출도 기록했다. 올해도 KGM은 신흥 시장 공략 확대 및 해외 시장 현지 마케팅 강화에 힘쓰고 있다. 지난 3월 튀르키예와 뉴질랜드 시장에서 토레스 EVX를 론칭했다. 현지 분위기는 긍정적이다. 지난달까지 KGM의 수출 실적은 전년 대비 39.4% 늘었다.
신임 박장호 대표는 생산부문의 전반적인 업무를 총괄한다. 박 대표는 기존 쌍용자동차에서 생산과 노무 등의 전반적인 업무를 담당해 왔다. 생산 효율성 제고와 완벽한 품질의 제품 생산 그리고 굳건한 상생의 협력적 노사 문화 구축 등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
KGM은 지난해 모노코크(유니 바디) 생산라인과 바디 온 프레임(프레임 바디) 생산라인의 통합 공사를 통해 기존 프레임 차량 전용 라인에서 모노코크와 전기차 생산이 가능한 혼류 생산 라인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생산성과 설비 효율성 증대는 물론 차종별 판매량 변동 시 유연한 생산 대응이 가능하게 됐다.
노사관계도 안정화된 KGM이다. 회사는 지난해 2010년 이후 14년 연속 무분규로 노사협상을 마무리 짓는 등 지난 10여 년간 노사 상생을 기반으로 안정적이고 협력적인 노사문화를 구축해 왔다.
KGM 관계자는 “해외사업본부와 생산본부장을 대표이사로 신규 선임하면서 회사는 경영 효율성 제고뿐 아니라 책임 경영 체제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신제품 론칭 확대와 공격적인 신시장 개척, 국내외 시장의 다양한 마케팅 활동 강화로 판매 물량 증대와 함께 지속 가능 기업으로 성장 및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
6"부산, 식품은 다른 데서 사나?"...새벽배송 장바구니 살펴보니
7테무, 개인정보 방침 변경…“지역 상품 파트너 도입 위해 반영”
8알트베스트, 비트코인 재무준비자산으로 채택…아프리카 최초
9조정호 메리츠 회장 주식재산 12조원 돌파…삼성 이재용 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