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요즘 세대, ‘디테일하게’ 건강 챙기고 ‘천천히’ 나이 든다”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 분석…정신건강·자기관리 관련 소비 증가
고령화·저출생 등으로 예방 차원 건강관리·저속노화 추구하는 현상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신한카드가 인구구조 변화와 경쟁사회의 흐름 속에 예방과 관리에 중점을 두고 정신 건강과 운동에 대한 소비가 늘어나고 아이부터 어른까지 자기관리에 투자하는 새로운 삶의 방식을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는 2023년 10~12월과 2019년 동기간을 비교해 심리상담센터 월평균 이용건수가 22.4% 증가하고, 요가ㆍ필라테스 가맹점수는 90%, 테니스장은 213%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

또한 해당기간 동안 신한카드의 체형ㆍ두피관리 가맹점수는 36%, 피부관리ㆍ마사지 가맹점수는 35% 증가한 것도 확인했다.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는 이러한 현상을 건강에 대한 전문적인 관심이 늘어나며 구체적인 예방과 운동을 필수로 관리에 포커싱하는 ‘건강 디테일링’과 고령화 시대에 천천히 나이 들어가는 ‘저속노화’로 정의했다. 

신한카드는 자사의 소비 데이터뿐 아니라 소셜 미디어와 각종 채널의 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해 건강에 대해 살펴봤다.

소셜 미디어상에서 정신건강, 혈당, 뇌ㆍ연골 등 디테일하고 전문화된 건강 관련 언급이 증가하고 이에 대한 고민은 의료기관과 운동 관련 가맹점수 증가와 소비 증가로 연결됐다.

[사진 신한카드]
신한카드의 2019년 대비 2023년 가맹점수 증감률을 보면 심리상담 51%, 정신건강의학과 31%, 피부과 21%, 성형외과는 11% 증가해 정신건강과 성형 미용 연관 가맹점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재활의학과, 정형외과, 요양원이 각각 21%, 17%, 10% 증가했고 산후조리원은 16%, 소아과는 4% 감소해 고령화와 저출생 등 인구 변화로 인한 증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019년 10~12월 대비 2023년 동기간에 진료과별 이용액 증감률을 확인해보면 정신과가 167%로 가장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 정신건강 관리가 자리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신건강을 우선시하면서 심리상담센터 월평균 이용건수는 2019년 10~12월 대비 2023년 동기간에 22.4% 증가하고 건당 금액 또한 20대 21%, 50대 14% 등 전세대에 걸쳐 증가했다. 2023년 기준 건당 금액은 60대가 24만2000원, 40대가 21만8000원으로 높지만 20대의 건당 금액은 2019년 12만2000원에서 2023년 14만7000원으로 21%나 증가했다.

[사진 신한카드]
운동이 필수인 시대가 되면서 2019년 동기간 대비 2023년 10~12월 신한카드의 스포츠센터 가맹점수는 44%, 요가ㆍ필라테스는 90%, 테니스장은 213% 증가했으며 이용금액 또한 37%, 47%, 8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움이 일상화되고 자기 계발과 자기 관리에 대한 고민이 증가하며 빠르고 많이 배우기 위한 ‘고속학습’을 위해 소비도 변화하고 있다. 또한 저출생으로 보육 관련 가맹점수는 감소하는 반면, 교육과 관련된 가맹점은 증가하는 것도 나타났다.

2019년 동기간 대비 2023년 10~12월 신한카드의 유치원, 어린이집, 유아교육ㆍ키즈카페 가맹점수는 각각 19%, 22%, 28% 감소했으나 입시ㆍ보습학원, 어학학원, 예체능학원은 41%, 24%, 22% 증가했다.

소셜 미디어에서도 수학학원의 언급량이 대폭 상승하고 연관 연령대로 초등 3학년 언급량이 1위를 차지했으며, 사고력, 논술 학원이 상위권에 들어오는 등 사교육의 영역이 확대되고 연령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온라인 클래스를 살펴보면 2023년 10~12월 기준으로 2030세대의 이용 비중이 70.3%를 차지하며, 건당 금액 증가율도 2019년 동기간 대비 20대는 18%, 30대는 1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연간 멤버십을 구독하며 적극적으로 자기 계발에 투자하는 2030세대가 늘어난 것으로 추측된다.

또다른 자기관리의 키워드인 ‘저속노화’와 관련, 2019년 동기간 대비 2023년 10~12월 신한카드의 체형ㆍ두피관리 가맹점수는 36%, 피부관리ㆍ마사지 가맹점수는 35% 증가했다. 특히 피부관리ㆍ마사지 이용 고객이 60대 이상에서 70.5%로 가장 높게 증가한 것이 주목할 만하다.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 관계자는 “경쟁사회, 고령화 등의 흐름속에 건강에 대한 디테일한 관심과 노화를 늦추고 삶을 성장시키고자 하는 욕구를 소비 데이터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며 “데이터 속에 숨겨진 소비 트렌드를 바탕으로 고객을 이해하기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불붙은 상법 개정...밸류업 핵심 과제, 증시 발전에 긍정적”

2포켓몬 고, ‘에스파’ 서울 콘서트에 홍보 부스 마련한다

3티웨이항공, 이지드랍 서비스 참여…홍대입구역·인천 거점

4 ‘얼차려 훈련병 사망’ 중대장 등 2명 구속

5SK이노베이션, ‘2023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ESG 활동 고도화

6신한투자증권, 1200억원 규모 해외 인수금융 주관·셀다운 성료

7신한은행, 강북구와 ‘땡겨요’ 업무협약 체결

8정은보 이사장, ‘밸류업 프로그램’ 글로벌 프로모션 위해 홍콩․싱가포르 출국

9KT, 40만원대 스마트폰 ‘갤럭시 A35 5G’ 공식 출시

실시간 뉴스

1“불붙은 상법 개정...밸류업 핵심 과제, 증시 발전에 긍정적”

2포켓몬 고, ‘에스파’ 서울 콘서트에 홍보 부스 마련한다

3티웨이항공, 이지드랍 서비스 참여…홍대입구역·인천 거점

4 ‘얼차려 훈련병 사망’ 중대장 등 2명 구속

5SK이노베이션, ‘2023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ESG 활동 고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