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00대 CEO] 중기‧벤처 ‘키다리아저씨’…글로벌 초일류 향한다
7위 김성태 IBK기업은행 행장

김 행장은 2023년 IBK기업은행장에 취임했다. 다섯 번째 내부 출신 행장이다. 그는 기업은행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기반으로, 취임 초기부터 중소기업과 벤처·스타트업 지원 확대를 주요 가치로 삼아왔다.
중소기업 금융지원에 힘을 쏟은 결과 기업은행의 올해 상반기 중소기업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과 비교해 3%(7조원) 증가한 240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또한 중소기업대출 시장 점유율은 6개월 만에 0.07%p 오른 23.31%를 기록하며 중소기업금융 리딩뱅크 지위를 더욱 공고히 했다.
김 행장은 올해 4월에는 벤처캐피탈 자회사인 IBK벤처투자를 설립하면서 벤처·스타트업 지원 퍼즐을 완성했다. 벤처캐피탈 자회사를 통해 혁신 유망기업을 육성하겠다는 복안이다.
당시 IBK벤처투자 출범식에 참석한 김 행장은 “향후 3년간 5000억원 이상의 벤처펀드를 신규 조성하고, 초기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과감하게 모험자본을 지원해 이들의 데스밸리 극복을 적극 돕겠다”고 말했다.
IBK벤처투자 설립으로 벤처·스타트업의 생애주기별 맞춤형 금융지원 시스템을 구축했다. 유망 벤처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육성하는 ‘IBK창공’부터 초기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IBK벤처투자’를 거쳐 ‘IBK캐피탈’이 프리IPO(상장 전 지분투자)를 포함한 후기 투자를 진행하는 구조다. IBK기업은행은 자기자본 투자(PI)·기업금융 등을 지원한다.
올해 8월 1일 창립 63주년을 맞아 진행한 기념식에서도 김 행장은 ‘글로벌 초일류 금융그룹’을 목표로 제시했다. 김 행장은 “글로벌 초일류 금융그룹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디지털을 비롯해 전 분야에서 끊임없는 혁신이 이뤄져야 한다”며 “금융사고 발생 및 불완전판매 예방에 만전을 기해 고객신뢰를 확보하고, 외국인 근로자 및 영세·취약기업 지원 등 포용금융을 중소기업 지원과 접목해 IBK 방식의 사회적 책임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경찰, 서울 '을호비상' 해제…'경계강화'로 조정
2“감정이 ‘롤러코스터’ 탄다”…조증과 울증 사이 ‘양극성 장애’
3아동성착취물 6개국 특별단속 435명 검거…“10대 57%, 가장 많아”
4 尹, 관저서 나경원 만났다…“어려운 시기에 고맙다”
59급 공무원 필기 응시율 또 떨어졌다…3년 새 ‘최저’
6 野 “韓대행, 대선일 신속히 공표해야”
7“은퇴 이후에도 취업 프리패스”…5060 몰리는 이 자격증은
8국민연금만 ‘月 543만원’ 받는다…‘역대급’ 수령한 부부 비결 봤더니
9“한국은 25%, 기본 10%”…트럼프발 전세계 ‘관세 폭탄’ 터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