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하반기 ‘빅컷’ 가능성 낮다…“IT, 주도주 이탈할 수도 있어”

하나證 “올해 9월, 11월, 12월 각각 0.25%씩 금리 인하 예상”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2024년 7월 31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날 파월 의장은 금리 인하 시점이 가까워지고 있다며 9월 금리인하 가능성을 언급했다. [사진 AP=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하반기 양호한 소비 경기에 미국의 ‘빅컷’(금리 0.5%p 인하) 가능성이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 정보기술(IT)주가 주도주에서 이탈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10일 황승택 하나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한국거래소 기자실에서 열린 ‘2024년 글로벌 경제 및 금융시장 전망’ 간담회에서 “미국 7월 실업률이 4.3%로 예상보다 빠르게 상승해 경기 침체 우려가 확대됐지만, 미국은 이민자 유입이 늘어나면서 경제활동 인구가 동반 증가하고 있어 실업률만으로 경기 침체 진입을 속단하기는 이르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미국 실업률이 자연 실업률(4.3%) 근방에 머문다면 고용시장 둔화는 당분간 정상화의 과정으로 인식 가능하다”고 말했다. 

황 센터장은 “미국 가계부채의 70%를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모기지 대출)이 안정적이고 소매 판매가 반등한 가운데 올해 연간 미국의 경제성장률은 2%대로, 양호한 소비경기가 미국 경제의 연착륙 가능성을 뒷받침할 것”이라며 “소비 모멘텀이 서서히 둔화하고 있어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50bp(1bp=0.01%포인트) 금리 인하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9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25bp 내리며 첫 금리 인하를 시작한 뒤 11월, 12월 회의에서 각각 25bp씩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며 빅컷 가능성을 낮게 봤다. 다만 향후 미국 노동시장의 해고 증가 여부가 관건이어서 해고 건수가 급격히 증가하는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황 센터장은 올해 기준금리 인하 배경이 지난 1995년과 유사하다며 IT주가 하반기 주도주에서 이탈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는 “1995년 당시 미국의 보험성 금리 인하 후 주도주가 IT에서 헬스케어와 금융으로 교체됐다”며 “올해 역시 반도체 이익증가율이 정점을 통과하며 주도주 교체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높은 이익 증가율을 유지하면서 영업이익률이 상승할 수 있는 업종 비중을 확대하길 권고한다”며 내년 영업이익률 전망치가 높은 제약바이오, 소프트웨어, 방산, 유틸리티, 조선 등을 추천했다.

한편, 하나증권은 미국 경제가 올해 2%대 성장을, 한국 경제가 2.4%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오사카·간사이 엑스포’ 키워드는 ‘친환경’…입장권 판매 여전히 저조

2 미증시 급락에 암호화폐 반등, 리플 4% 올라

32017년 영화 '리얼'의 OTT 순위권 진입?...김수현, 논란에 또 논란

4미국만 잘 살겠다는 트럼프발 관세전쟁

5파푸아뉴기니 뉴브리튼섬 인근 규모 7.2 지진

6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7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8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9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실시간 뉴스

1‘오사카·간사이 엑스포’ 키워드는 ‘친환경’…입장권 판매 여전히 저조

2 미증시 급락에 암호화폐 반등, 리플 4% 올라

32017년 영화 '리얼'의 OTT 순위권 진입?...김수현, 논란에 또 논란

4미국만 잘 살겠다는 트럼프발 관세전쟁

5파푸아뉴기니 뉴브리튼섬 인근 규모 7.2 지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