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국내 기업 절반, 내년 '긴축 경영' 돌입...5년 새 최고치

경총 2025년 기업 경영 전망 조사 진행
대기업들, 긴축 경영 및 투자 축소 기조

서울 종로구 광화문네거리에서 직장인들이 출근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선모은 기자] 국내 기업 절반가량은 내년 긴축 경영에 나설 계획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기업 10곳 중 8곳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당선이 한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도 봤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30인 이상 기업 239곳의 최고경영자(CEO)와 임원을 대상으로 '2025년 기업 경영 전망 조사'를 실시했다고 1일 밝혔다. 조사 결과, 응답 기업 65.7%는 내년 경영 계획을 수립했고, 이 중 49.7%는 내년 경영 기조를 '긴축 경영'으로 정했다. '현상 유지'와 '확대 경영'을 택한 비율은 각각 28.0%, 22.3%였다.

긴축 경영을 택한 비율은 300인 이상 규모 기업(61.0%)이 300인 미만 규모 기업(45.7%)보다 15.3%포인트(p) 높았다. 300인 이상 기업 중 내년 경영 기조를 긴축 경영으로 정했다고 응답한 2016년 조사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았다. 기업들이 긴축 경영에 나서겠다고 답한 비율도 2019년 조사 이후 가장 높다.

기업의 상당수는 비용을 줄이는 방식으로 긴축 경영을 추진한다. 응답 기업의 66.7%는 긴축 경영의 시행 계획에 대해 '전사적 원가 절감'을 추진하겠다고 답했다. '인력 운용 합리화'를 선택한 기업은 52.6%, '신규 투자 축소'라고 답한 기업은 25.6%였다.

내년 투자 계획과 관련해서는 응답 기업의 39.5%가 '투자 축소'를 택했다. '올해 수준'으로 투자하겠다고 답한 기업은 35.0%, '투자 확대'를 선택한 기업은 25.5%였다. 투자를 축소하겠다고 답한 응답 비율은 300인 이상 기업이 58.5%, 300인 미만 기업이 32.8%로, 25.7%p 차이다.

내년 채용 계획은 '올해 수준'이라는 응답이 44.6%로 가장 많았고, '채용 축소'를 택한 기업은 36.9%, '채용 확대'라고 답한 기업은 18.4%였다.

경총은 현재의 침체 상황을 대기업이 더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긴축 경영 기조와 투자 축소, 채용 축소 모두 대기업이 중소기업보다 응답 비율이 높아서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기업, 특히 대기업들의 긴축 경영 기조가 눈에 띈다"며 "내년 경기 상황이 크게 개선되기는 어려운 만큼 기업이 투자를 확대할 수 있는 유인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편, 국내 기업 상당수는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이 경제에 유리하게 작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내년 1월 출범할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묻는 말에 응답 기업 82.0%가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으로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더 클 것'이라고 답하면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기아·BMW 등 37대 차종 7만6382대 자발적 시정조치

2故 김새론, 25살에 진 별...오늘(19일) 발인 영면

3트럼프 “2월 말 전에 푸틴 만날 것”...자동차 관세는 25%

4뉴욕유가, 러 송유관 타격에 상승…WTI, 1.6%↑

5청년 채용 시 720만원...'청년도약장려금' 챙기세요

6비싸야 잘 팔린다?...서울 아파트 거래 4건 中 1건은 15억 넘어

7지난해 국립대병원 10곳, 적자 규모 5600억원 달해

8제주서 잡힌 ‘전설의 심해어’ 돗돔... 크기가 무려 183cm

9못 말리는 한국인의 홍삼 사랑...홍삼원 '1000억 메가 브랜드' 됐다

실시간 뉴스

1기아·BMW 등 37대 차종 7만6382대 자발적 시정조치

2故 김새론, 25살에 진 별...오늘(19일) 발인 영면

3트럼프 “2월 말 전에 푸틴 만날 것”...자동차 관세는 25%

4뉴욕유가, 러 송유관 타격에 상승…WTI, 1.6%↑

5청년 채용 시 720만원...'청년도약장려금' 챙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