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안 들어왔네"...직장인 10명 중 4명 임금체불 경험
직장갑질119, 직장인 1000명 설문조사
응답자 상당수 회사 관둬...모르는 척도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여론조사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11월 2일부터 10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39.4%는 임금체불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직장인 10명 중 4명은 임금을 제때 받지 못한 셈이다.
문제는 임금체불을 경험한 직장인이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조치가 마땅찮다는 점이다. 임금체불을 경험한 직장인 중 41.9%는 회사를 관두거나(25.1%) 모르는 척(16.8%)하는 등 대응을 포기했다.
이들이 대응을 포기한 이유는 '인사 불이익 우려'(38%)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대응해도 체불 임금을 받지 못할 것 같아서'라는 답변은 27.8%를 기록했다.
이와 함께 한국 사회에서 임금체불이 발생하는 이유로 '사업주가 제대로 처벌되지 않아서'라는 응답이 65.7%에 달했다.
임금체불을 개선할 방안으로는 임금체불 신고 후 당사자가 합의하더라도 사업주를 처벌해야 한다는 '반의사불벌죄 폐지'(55.5%)가 가장 많이 꼽혔다.
내년 시행되는 근로기준법 개정안은 반복적 임금체불 사업주를 합의 여부와 관계없이 처벌토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사업주가 임금체불로 3년 이내 2번 이상 처벌받은 전력이 있어야 하는 등 조건이 까다롭다고 직장갑질119는 지적했다.
조주희 직장갑질119 노무사는 "개정안을 보완해 효과적인 임금체불 해결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는 95% 신뢰 수준에서 표본오차 ±3.1%포인트(p)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류지현 야구대표팀 감독 "2026 WBC, 나이 제한 없이 최정예 멤버 구성"
2코리안리거, MLB 적응하려면 '이것'부터 바꿔야
3김송 “구강암 아닐 거라고”…건강 호전
4트럼프 리플 언급에 XRP 급등...4000원선 눈앞
5“집중 되겠냐”vs“개인 자유”.. 크롭티 입은 女강사에 갑론을박
6애플, 새 보급형 모델 ‘아이폰 16e’ 출시...가격 99만원부터
7올해 가상자산 포인트는 ‘기관 투자자’...코빗 리서치센터
8‘200번째 LNG선’ 인도한 한화오션...세계 최초 기록 달성
9기아, 첫 목적기반모빌리티 ‘PV5’ 외장 디자인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