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이제 시작인데?"…월가서 '달러 매도' 권고 나와
고객들에 달러 매도 권고, 파운드·호주달러 투자 주장
[이코노미스트 박지수 기자] 도널트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출범을 앞두고 '킹달러' 기조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월가에서 달러를 매도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9일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고객들에게 메모를 통해 "미국 달러의 미래가치를 지나치게 낙관하고 있다"며 "지금은 달러를 팔아야 할 때"라고 권고했다.
달러 매도의 이유로는 금융시장이 이미 지나친 수준으로 강달러 현상을 선반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트럼프 당선인의 보편적 관세 도입에 대한 시장의 지나친 기대감이 달러를 부풀렸다는 점도 지적했다.
데이비드 아담스 모간스탠리 연구원은 "달러에 대한 좋은 소식은 이미 가격에 반영됐고 달러화 가치의 강세를 주도하는 미국 예외주의도 시장에 내재화됐다"며 "유로화에 미칠 악재 역시 이미 유로화 약세에 반영이 됐다"고 분석했다.
이어 "투자자들이 트럼프 집권 2기에 시행할 정책의 속도와 폭과 규모를 과대평가하는 측면이 있다"며 "트럼프의 새 무역정책은 상대적으로 빨리 나올 수 있지만 시행은 예상보다 느리고, 중국에 집중된 방향으로 좁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모건스탠리는 호주 달러와 영국 파운드를 매수하는 것을 추천한다고 조언했다.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영향이 적을 것이고, 통화 가치가 역사적으로 봐도 낮은 수준이라는 것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9일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고객들에게 메모를 통해 "미국 달러의 미래가치를 지나치게 낙관하고 있다"며 "지금은 달러를 팔아야 할 때"라고 권고했다.
달러 매도의 이유로는 금융시장이 이미 지나친 수준으로 강달러 현상을 선반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트럼프 당선인의 보편적 관세 도입에 대한 시장의 지나친 기대감이 달러를 부풀렸다는 점도 지적했다.
데이비드 아담스 모간스탠리 연구원은 "달러에 대한 좋은 소식은 이미 가격에 반영됐고 달러화 가치의 강세를 주도하는 미국 예외주의도 시장에 내재화됐다"며 "유로화에 미칠 악재 역시 이미 유로화 약세에 반영이 됐다"고 분석했다.
이어 "투자자들이 트럼프 집권 2기에 시행할 정책의 속도와 폭과 규모를 과대평가하는 측면이 있다"며 "트럼프의 새 무역정책은 상대적으로 빨리 나올 수 있지만 시행은 예상보다 느리고, 중국에 집중된 방향으로 좁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모건스탠리는 호주 달러와 영국 파운드를 매수하는 것을 추천한다고 조언했다.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영향이 적을 것이고, 통화 가치가 역사적으로 봐도 낮은 수준이라는 것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월 외환보유액 4110억달러...환율 방어에 46억달러 ↓
2네오위즈, 미국 ‘울프아이 스튜디오’와 퍼블리싱 계약 체결
3미국투자이민 해외이주예정자 송금제도 개편…한국은행 신고로 대체 전망
4오렌지스퀘어, 호텔업협회와 협약…외국인 '와우패스' 활용도↑
5솔트룩스 그룹, 오픈 모델 및 에이전트 무상 제공…딥시크 대응 나서
6하우스쿡, 정수조리기 설치 장소 국내외 5000개소 돌파
7故 오요안나 괴롭힘 방조? 장성규 입 열었다
8흑백요리사 '에드워드 리 햄버거' 나온다
9현대차, 전기차 9개 차종 할인...“구매 부담 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