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비상계엄 사태에 중소기업 시름..."계약 취소·환율 급등 손해"

정치 불확실성으로 직·간접 피해 호소

비상계엄 사태로 해외에 물품을 공급하는 국내 중소기업이 피해를 봤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선모은 기자] 비상계엄 사태로 해외에 물품을 공급하는 국내 중소기업이 피해를 봤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는 지난 10일부터 13일까지 수출 중소기업 513개(제조업 463개, 비제조업 50개)를 대상으로 긴급 현황 조사를 한 결과 국내 정치 상황의 불확실성으로 피해를 본 곳이 26.3%로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주요 피해 사례는 '계약 지연, 감소 및 취소'가 47.4%로 가장 많았다. '해외 바이어 문의 전화 증가'는 23.7%, '수·발주 지연, 감소 및 취소'는 23.0%, '고환율로 인한 문제 발생'은 22.2%를 기록했다. 향후 피해를 볼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한 곳은 63.5%에 달했다.

국내 한 제조기업 관계자는 "불안정한 상황으로 바이어가 계약 시 선금 지급을 꺼린다"고 토로했다. 다른 비제조업체 관계자는 "바이어가 올해 방문 예정이었지만 일정이 연기됐다"며 "불확실성을 이유로 주문을 연기하겠다고 통보받았다"고 전했다.

비상계엄 사태 이후 원·달러 환율이 급등해 피해를 본 기업도 있었다. 한 제조업체 관계자는 "계엄 전날 송장을 받아 결제를 앞뒀는데, 갑자기 환율이 올라 손해를 봤다"고 했다. 다른 제조업체 관계자는 "환율이 오르니 상대 업체가 단가를 낮추려고 한다"고 전했다.

응답 기업의 51.7%는 피해 대응 대책으로 '국내 상황에 문제없음을 적극 해명'을 꼽았다. '새로운 바이어 발굴 노력'이라고 답한 기업은 13.3%, '피해를 감수하고 계약 대안 제시'를 선택한 기업은 8.8%로 뒤를 이었다. '마땅한 대응책 없음'을 꼽은 기업도 25.5%에 달했다.

국내 경제의 불확실성이 언제까지 지속될 것인지에 대한 응답으로는 수출 기업의 절반인 49.3%가 '6개월 이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1∼2년간 지속'할 것이라고 답한 기업은 32.2%, '2년 이상 장기화'할 것이라고 답한 기업은 8.2%였다. '올해까지만 지속'할 것이라고 예측한 기업은 7.4%였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국가 신뢰도와 이미지 하락, 환율 급등으로 인한 여파로 수출 중소기업들이 힘든 상황"이라면서 "무엇보다 신인도 회복과 환율 안정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국제유가, 경기둔화 우려에 3%대 하락…급락·금값 최고치

2 광명 신안산선 공사장 “지하 굉음”...인근 도로 통제

3하나증권, 오산 스마트타워 시행사 상대 120억원 회수소송 승소

4올해 1분기 해외건설 수주 82억 달러…'여기'가 최다

5서울 아파트값 10주째 상승…토허제 재지정에 상승폭 축소

6챗GPT 구독료 부담된다면…이 카드 이벤트 주목

7LG전자, 혁신의 흐름 사내 전문가들에게 맡긴다

8尹 탄핵 후 주목 받는 책들...이재명 신간, 베스트셀러 올라

9관저로 전한길 부른 尹…"우리 국민들 어떡하나"

실시간 뉴스

1국제유가, 경기둔화 우려에 3%대 하락…급락·금값 최고치

2 광명 신안산선 공사장 “지하 굉음”...인근 도로 통제

3하나증권, 오산 스마트타워 시행사 상대 120억원 회수소송 승소

4올해 1분기 해외건설 수주 82억 달러…'여기'가 최다

5서울 아파트값 10주째 상승…토허제 재지정에 상승폭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