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올해 1분기 해외건설 수주 82억 달러…'여기'가 최다

두산에너빌리티·삼성E&A·현대엔지니어링 등 기여

해외건설협회는 9일 협회 대회의실에서 해외건설 진출 확대를 위한 '공기업 해외 진출 간담회'를 개최했다. [사진 해외건설협회]
[이코노미스트 김영서 기자] 올해 1분기 해외건설 총 수주액이 82억 달러를 기록한 거로 조사됐다. 수주액이 80억 달러를 돌파한 건 80억 달러 수주액을 기록한 지난 2021년 이후 4년 만이다. 중동 지역 수주가 여전히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러한 가운데 두산에너빌리티가 삼성E&A를 제치고 업체별 수주액 1위에 오른 거로 나타났다.

해외건설협회가 10일 공개한 '1분기 해외건설 수주실적 분석' 보고서를 보면, 총 194개 건설사가 69개국에서 147건, 82억1000만 달러(약 12조161억원) 규모 사업을 수주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기록한 55억1892만 달러(약 8조774억원) 대비 약 48.8% 높은 수준이다. 보고서는 ‘1분기 수주가 기대됐던 체코 원전사업이 2분기로 이월됐으나, 미국 배터리 공장 등을 수주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지역별로는 중동이 49억6000만 달러(7조2683억원)로 전체의 60%를 차지하며 비중이 가장 컸다. 이어 유럽이 9억2000만 달러(11%) 북미·태평양이 8억5000만 달러(10%)로 뒤를 이었다. 이중 중동 수주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24억 달러)보다 106.3% 증가한 49억6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 지역 수주액 중 산업설비 공종이 차지한 비중이 86.2%에 달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75.7%) 대비 약 10%P 늘었다.

중동 지역의 최근 전력 수요 증가가 해외 수주액 증가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1월 UAE 타지즈 메탄올 생산 플랜트(16억8000만달러), 2월 사우디 쿨리스 및 후마이즈 380㎸ 송전선로 2건(총 3억8000만달러), 3월 사우디 루마 및 나이리야 화력발전 플랜트 2건(총 15억4000만달러) 등 대규모 수주가 이어지고 있다.

1분기 동안 개별 기업 수주 규모는 두산에너빌리티가 23억5600만 달러(3조4517억원)로 가장 컸다. 종합건설사 중에서 홀로 20억 달러 이상을 기록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카타르에서 화력발전 사업을 수주한 결과다. 두산에너빌리티에 이어 삼성E&A(17억2400만 달러) 현대엔지니어링(7억7400만 달러) 등이 해외 수주액 실적 달성에 기여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CMG제약, 필름형 조현병 치료제 美 FDA 품목허가 획득

2업스테이지, ‘AI로 여는 일의 미래’ 전략 발표…“글로벌 AI 업무 표준 주도할 것”

3김병현 "이자만 받아도 사업보다 많아" 연봉 얼마나 많았길래…

4이동욱 이주빈에 동거 제안…"오늘을 기억해" 왜?

5샤이니 태민·노제 열애설 불붙어…'두 사람, 껴안거나 팔짱'

6돌아온 바이든 "트럼프, 도끼 내리쳤다"...날 선 비판 왜?

7토지거래허가 해제 효과…서울 아파트값·거래량 '쑥'

8미래에셋증권, 사내 AI 활용 확산 위해 ‘AIOps 플랫폼’ 구축

9美, 엔비디아 H20 칩 中 수출 사실상 금지…AI 관세 전쟁 본격화

실시간 뉴스

1CMG제약, 필름형 조현병 치료제 美 FDA 품목허가 획득

2업스테이지, ‘AI로 여는 일의 미래’ 전략 발표…“글로벌 AI 업무 표준 주도할 것”

3김병현 "이자만 받아도 사업보다 많아" 연봉 얼마나 많았길래…

4이동욱 이주빈에 동거 제안…"오늘을 기억해" 왜?

5샤이니 태민·노제 열애설 불붙어…'두 사람, 껴안거나 팔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