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산주기, 월 10회로"...카카오, 모바일 상품권 취급 판매자 위한 상생안 마련
모바일 상품권 수수료 상한제 도입...8% 적용

지난 4월 출범한 모바일상품권 민관 협의체는 카카오를 포함한 모바일 상품권 유통·발행사업자와 한국온라인쇼핑협회, 전국가맹점주협의회,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공정거래위원회, 중소벤처기업부, 금융위원회 등 각 분야 관계자가 두루 참석해 약 9개월 간 상생 방안을 논의해왔다.
카카오는 가맹점주들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모바일 상품권 수수료 상한제(8%)를 도입하고, 가맹본부와 함께 우대수수료(0.5~1.0% 추가 인하)를 인하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발행하는 혜택은 전액 가맹점주에게 귀속된다. 오늘 발표한 상생 방안은 우선 3년간 적용되며, 이후 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또 카카오는모바일 상품권 시장의 성장을 위해 카카오톡 선물하기 모바일 상품권의 정산주기를 현행 월 4회에서 10회로 늘리는 방안에 대해 내년 1분기 내 시행할 계획이다.
카카오 권대열 ESG위원장은 “카카오는 그 동안 민관협의체 논의를 통해 가맹점 주 부담을 줄이는데 적극 협력해왔으며, 가맹 시장의 거래 질서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번 상생안이 잘 이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법원 도착한 尹 대통령, '내란 혐의' 첫 형사재판… 오후 헌재 변론
2 尹, 서울중앙지법 도착… 곧 구속취소 심문 출석
3신규채용 비중 6년 만 최저 기록…제조업은 20% 첫붕괴
4롯데마트, 취약계층 식사 지원...임직원 끝전 기부
5멕시카나치킨, 수익성 중심의 안심 창업… ‘돈 되는 상권, 준비된 점주’와 함께
6코빗 리서치센터, ‘기관 자금 동향: 정책 변화가 가져온 시장 재편’ 보고서 발간
7코인원, 설립 11주년 ‘성장 그리고 현재’ 공개
8 ‘창립 60주년’ 농심, 추억의 감자칩 다시 소환한다
9뉴욕증시, FOMC 의사록 여파에 강보합 마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