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한은 “美 상호관세 예상보다 강해…금융 변동성 확대 가능성”

한은, 미 상호관세 조치 관련 시장상황 점검회의

[사진공동취재단]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한국은행은 3일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가 시장 예상보다 강했다"면서 "앞으로 주요국의 대응 등 향후 전개 상황에 따라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한은은 이날 오전 유상대 부총재 주재로 시장 상황 점검 회의를 열고 새벽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에 따른 국제 금융시장 상황과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미칠 영향을 살피면서 이같이 분석했다.

유 부총재는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는 국가별 관세율이 높았고 대상 국가도 광범위했다"라며 "국외 사무소 등과 연계한 24시간 점검 체제를 통해 관련 위험 요인의 전개 양상과 국내 금융·외환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적기에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글로벌 교역 여건 변화, 주요국 성장·물가와 통화정책에 미치는 영향,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에 대해서도 계속 점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정부는 모든 교역국에 10%의 기본 관세(오는 5일 발효)와 함께 무역 흑자 규모가 큰 개별국가에 상호관세(9일 발효)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발표된 상호관세율은 중국(34%), EU(20%), 베트남(46%), 대만(32%), 일본(24%), 인도(26%), 한국(25%), 태국(36%), 스위스(31%) 등이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 中 연 매출만 64조원”...이재용, ‘가전→전장’ 공략으로 새 中드라이브

2만원대 청바지로 홀렸다...이랜드 패션 야심작 'NC베이직' 초반 순항

3챗GPT의 '지브리 그림체' 유행이 씁쓸한 이유

4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5'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6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7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8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

9경주 벚꽃마라톤, 봄바람을 가르며 1만 5천여 명의 질주

실시간 뉴스

1“삼성, 中 연 매출만 64조원”...이재용, ‘가전→전장’ 공략으로 새 中드라이브

2만원대 청바지로 홀렸다...이랜드 패션 야심작 'NC베이직' 초반 순항

3챗GPT의 '지브리 그림체' 유행이 씁쓸한 이유

4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5'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