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아파트 입주 전망 지수 2년 만에 최처치…경기 불안정 영향
'잔금대출 미확보' 큰 비중 차지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은 주택 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지난해 12월보다 20.2p 하락한 68.4로 집계됐다고 14일 밝혔다.
입주전망지수는 아파트를 분양받은 사람이 정상적으로 잔금을 내고 입주할 수 있을지를 예상하는 지표다.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해 산출하며 지수가 100 이하면 입주 경기에 대한 부정적 전망이 우세하고, 100 이상이면 긍정적 전망이 많다는 의미다.
1월 지수는 2023년 1월(59.4) 이후 2년 만에 최저치다.
강도 높은 대출 규제로 매수 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경기 침체 우려, 비상계엄에 따른 탄핵정국 여파가 덮치며 시장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주산연은 분석했다.
수도권은 전월(90.6)보다 18.6p 떨어진 72.0으로 집계됐다. 인천(64.2)의 하락 폭이 22.9p로 가장 컸다. 경기(63.8)는 21.9p, 서울(88.0)은 12.0p 각각 떨어졌다.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 입주율은 69.7%로 전월보다 0.7%p 상승했다.
도지역(67.2%)이 전월 대비 3.6%p 올랐다. 수도권(79.9%)은 2.4%p, 5대 광역시(67.8%)는 1.8%p 하락했다.
서울 입주율은 81.4%로 전월보다 1.1%p 떨어졌다.
지난 달 아파트 미입주 원인으로는 '잔금대출 미확보'가 34.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기존 주택 매각 지연(32.1%), 세입자 미확보(17.0%), 분양권 매도 지연(9.4%) 등은 뒤를 이었다.
주산연 관계자는 "상당한 거래량 감소가 예상되며 탄핵 정국이 마무리되기까지 거래절벽 현상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원/달러 환율, 美 상호관세 발표에도 하락세…1,460원대 중반
2하이트진로, ‘미래 100년’ 위한 통합연구소 개관…R&D 경쟁력 강화
3“감자만 먹니? 고구마도 있다”…해태, 구운고구마 스틱 출시
4시몬스 침대, 시몬스 갤러리 마포상암점 오픈
5대상, 세븐틴 호시 얼굴 담은 ‘종가 김치’ 일본 출시
6현대이지웰, 복지몰 업계 최초 전자금융업 등록
7롯데홈쇼핑, 美 패션매장서 업계 첫 ‘현장 라이브커머스’ 연다
8롯데관광, 인당 4500만원 럭셔리 골프투어 완판
9아마존, 9일 인터넷 위성 첫 발사…스페이스X와 본격 경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