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가계대출 9개월 만에 감소 전환···12월 4000억원 ‘뚝’
기업대출도 8년 만에 최저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지난해 12월 은행권 가계대출이 4000억 원 줄었다. 주택거래 감소에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이 둔화한 결과다. 기업대출은 6조 원 가까이 쪼그라들었는데 대내외 불확실성에 기업들이 대출을 줄이는 등 허리띠 죄기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전달보다 4000억 원 감소한 1141조 원으로 집계됐다. 은행권 가계대출이 감소한 것은 지난해 3월 1조 7000억 원이 줄어든 이후 처음이다.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이 줄어든 게 가계대출 감소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주담대는 지난달 902조5000억원으로 8000억원 늘어나는데 그쳤다. 11월 증가폭(1조5000억원)과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이다. 주담대가 줄어든 것은 수도권 아파트 매매거래량(계약일 기준)이 10월 1만 5000호에서 11월 1만 2000호로 줄어든 영향이다. 7월만 해도 수도권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3만호에 육박했다.
박민철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가계대출이 줄어든 가장 큰 원인은 주택거래가 줄어든 영향이라고 봐야한다”면서 "당국의 가계대출 관리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금융권 전체로 봐도 가계대출 증가세는 8월 고점 이후 둔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용대출을 비롯한 기타대출은 237조4000억원으로 1조1000억원 줄었다. 기업 대출 증가세는 12월 기준으로 2016년(-15조1000억원) 이후 가장 크게 쪼그라들었다. 지난달 말 은행의 기업 원화대출 잔액은 1315조1000억원으로 전달에 비해 11조5000억원이나 줄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이 각각 4조3000억원, 7조1000억원씩 감소했다. 통상 12월엔 기업들의 연말 재무비율 관리 영향에 대출 잔액 규모가 줄어든다.
지난해에는 4분기 전체만으로도 8년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는데, 계절적 요인과 별개로 대내외 불확실성 등에 따른 시설자금 수요 둔화가 맞물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박 차장은 “2016년에는 조선업 구조조정 이슈가 있어 기업 대출 규모가 줄어든 측면이 있다”면서 “지난해에는 경기가 악화한 결과라기보다는 글로벌 불확실성이 워낙 크다보니 유동성을 확보하는 쪽으로 기업 전략이 바뀐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제1166회 로또 1등 '14, 23, 25, 27, 29, 42'… 보너스 '16'
2 경찰, 서울 '을호비상' 해제…'경계강화'로 조정
3“감정이 ‘롤러코스터’ 탄다”…조증과 울증 사이 ‘양극성 장애’
4아동성착취물 6개국 특별단속 435명 검거…“10대 57%, 가장 많아”
5 尹, 관저서 나경원 만났다…“어려운 시기에 고맙다”
69급 공무원 필기 응시율 또 떨어졌다…3년 새 ‘최저’
7 野 “韓대행, 대선일 신속히 공표해야”
8“은퇴 이후에도 취업 프리패스”…5060 몰리는 이 자격증은
9국민연금만 ‘月 543만원’ 받는다…‘역대급’ 수령한 부부 비결 봤더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