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 일제히 하락 마감…애플·테슬라 낙폭

다우 0.16%↓·S&P 0.21%↓·나스닥 0.89↓

뉴욕증권거래소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뉴욕증시 주요 지수는 뚜렷한 상승 요인 부족과 기술주 약세에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16일(현지시간) CNBC, 마켓워치 등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8.42p(0.16%) 하락한 4만3153.13으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57p(0.21%) 내린 5937.34로 장을 닫았다. S&P 500은 4거래일 만에 하락세로 전환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전장보다 172.94p(0.89%) 떨어진 1만9338.29에 장을 마쳤다.

미국 12월 소매판매는 기대에는 못 미쳤으나 양호하다는 평가가 주를 이뤘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12월 미국의 소매판매(소매 및 식품 서비스 부문)는 7292억달러로 계절 조정 기준 전달 대비 0.4% 증가했다. 직전월 수정치 0.8%와 시장 예상치 0.6%는 밑돈 수치다.

다만 소비 지표 자체는 이날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소매 지표 발표 직후에도 주가지수 선물은 제자리를 지켰고 개장 후에도 증시는 큰 폭의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다만 전날 급등에 따른 피로감과 차익실현 욕구에 주가지수는 대체로 약세를 보였다. 특히 나스닥은 시가총액 상위 기술주 위주로 매물이 나온 데다 마감 1시간 전 매물이 쏟아지면서 유독 낙폭이 컸다.

이날 애플과 테슬라의 주가는 각각 4.04%, 3.36% 하락했다. 애플 주가는 지난해 8월5일(4.8%) 이후 일일 기준 가장 큰 폭의 하락률을 보였다. 애플은 중국 내 아이폰 판매 부진이 악재로 작용했다.

엔비디아와 알파벳도 각각 2%대, 1%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반면 대형 은행의 실족 호조는 지속했다. 이날 증시 개장 전 지난해 4분기 실적을 공개한 모건스탠리는 기대 이상의 실적에 4.03% 상승 마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2“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3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4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5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

6결론 임박한 KDDX 사업...‘공동설계’ 실현 가능성은

7오밤중에 용산 노후 아파트 천장 붕괴…20kg 콘크리트 덩어리 ‘아찔’

8‘벼랑 끝’ 고려아연 핵심 기술진 “영풍·MBK 무법질주 막아달라”

9CJ올리브영, '임차 건물' 아예 인수 나선다...'6000억원대 가치'

실시간 뉴스

1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2“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3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4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5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