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능은 참 좋은데”…대만 ‘딥시크’ 사용 금지령, 다른 나라도?
디지털부 “서비스 데이터 유출·국가 안보 위협 초래 우려”
이탈리아도 차단…네덜란드·영국·독일 등도 규제 검토 중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대만 정부가 각 부처·기관에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 深度求索)의 서비스 이용 '금지령'을 내렸다.
1일 대만 중앙통신사(CNA)와 로이터통신 등의 보도에 따르면 대만 디지털부는 전날 공공부문 근로자들에게 딥시크의 AI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중국 정부로 데이터가 유출돼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며 사용 금지 조치를 내렸다고 밝혔다.
디지털부는 성명에서 "딥시크 AI는 중국의 정보통신기술(ICT) 제품이자 서비스로 국경 간 (데이터) 전송, 정보유출, 기타 정보 보안 문제를 수반하며 국가의 정보 보안을 위태롭게 한다"며 "정보 보안 위험을 막기 위해" 이같이 조치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부는 또 2019년 행정원 규정인 '국가 사이버 안보를 위험에 빠뜨리는 제품 사용 제한 원칙'에 따라 정부기관이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ICT 제품 및 서비스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대만 정부의 딥시크 AI 사용 금지 조치는 중앙 및 지방정부 부처·기관과 공립학교, 국유기업, 기타 준관영 조직의 직원들에게 적용된다.
이밖에 중요 인프라 프로젝트와 정부 소유 재단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도 금지 조치가 적용된다고 디지털부는 덧붙였다.
딥시크 돌풍에 세계 주요국들은 정보 유출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이탈리아 개인정보 보호 기관 가란테(Garante)는 개인 정보 사용의 불투명성을 들어 지난달 29일부터 딥시크 사용을 차단했다.
네덜란드 당국은 딥시크의 개인정보 수집과 관련해 조사에 착수하기로 하고 자국 사용자들에게 딥시크 서비스 사용에 주의하라고 경고했다.
영국 정부는 딥시크를 국가 안보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으며 독일 당국 역시 딥시크 앱 규제 가능성을 들여다보고 있다.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도 딥시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절차, 처리·보관 방법을 확인하는 공식 질의서를 발송할 예정이다.
딥시크는 미국의 대중 반도체 제재에도 최근 압도적으로 저렴한 학습 비용에 미국 빅테크의 AI 모델에 필적하는 추론 성능을 보인 모델들을 잇달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 딥시크가 돌풍을 일으키자 미국 기술기업 주가가 고평가됐다는 우려가 급부상하면서 관련주들이 크게 출렁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1일 대만 중앙통신사(CNA)와 로이터통신 등의 보도에 따르면 대만 디지털부는 전날 공공부문 근로자들에게 딥시크의 AI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중국 정부로 데이터가 유출돼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며 사용 금지 조치를 내렸다고 밝혔다.
디지털부는 성명에서 "딥시크 AI는 중국의 정보통신기술(ICT) 제품이자 서비스로 국경 간 (데이터) 전송, 정보유출, 기타 정보 보안 문제를 수반하며 국가의 정보 보안을 위태롭게 한다"며 "정보 보안 위험을 막기 위해" 이같이 조치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부는 또 2019년 행정원 규정인 '국가 사이버 안보를 위험에 빠뜨리는 제품 사용 제한 원칙'에 따라 정부기관이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ICT 제품 및 서비스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대만 정부의 딥시크 AI 사용 금지 조치는 중앙 및 지방정부 부처·기관과 공립학교, 국유기업, 기타 준관영 조직의 직원들에게 적용된다.
이밖에 중요 인프라 프로젝트와 정부 소유 재단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도 금지 조치가 적용된다고 디지털부는 덧붙였다.
딥시크 돌풍에 세계 주요국들은 정보 유출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이탈리아 개인정보 보호 기관 가란테(Garante)는 개인 정보 사용의 불투명성을 들어 지난달 29일부터 딥시크 사용을 차단했다.
네덜란드 당국은 딥시크의 개인정보 수집과 관련해 조사에 착수하기로 하고 자국 사용자들에게 딥시크 서비스 사용에 주의하라고 경고했다.
영국 정부는 딥시크를 국가 안보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으며 독일 당국 역시 딥시크 앱 규제 가능성을 들여다보고 있다.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도 딥시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절차, 처리·보관 방법을 확인하는 공식 질의서를 발송할 예정이다.
딥시크는 미국의 대중 반도체 제재에도 최근 압도적으로 저렴한 학습 비용에 미국 빅테크의 AI 모델에 필적하는 추론 성능을 보인 모델들을 잇달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 딥시크가 돌풍을 일으키자 미국 기술기업 주가가 고평가됐다는 우려가 급부상하면서 관련주들이 크게 출렁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국립한글박물관 증축공사 중 화재…4시간 만에 큰 불길 잡아
2미국서 또 항공 참사…필라델피아 쇼핑몰 인근 소형기 추락
3 해경 “제주 좌초 어선 2척서 15명 중 현재 10명 구조”
4이재명 “김대중·노무현처럼 AI도 투자 선제 대응해야”
5“성능은 참 좋은데”…대만 ‘딥시크’ 사용 금지령, 다른 나라도?
6 용산 국립한글박물관 옥상 화재…진압 소방대원 1명 병원 이송
7트럼프발 글로벌 관세전쟁 개막…韓도 다음 타깃 되나
8국민이주, 2월 미국 영주권 전략 세미나 개최…’미국투자이민, EB-1A, NIW’ 가이드 제공
9트럼프-이시바, 내주 백악관서 첫 美日정상회담…대중·대북 논의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