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김대중·노무현처럼 AI도 투자 선제 대응해야”
“딥시크 등장으로 기술 경쟁 가속화…추경 편성하면 적극 협조”
“김대중 IT 강국 초석 놓고, 노무현 한미FTA 추진해 경제 성장”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일 "정부가 추경(추가경정예산)에 대대적인 인공지능(AI) 개발 지원 예산을 담아 준다면 적극적으로 의논하며 협조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중국 기업의 딥시크(DeepSeek) 공개 후 우리를 포함한 전 세계 증시가 출렁이고, 기술 경쟁이 어디로 향하게 될지 기대감과 우려가 공존하는 상황"이라면서 이같이 적었다.
이 대표는 "가성비를 내세우는 딥시크의 등장은 '쩐의 전쟁'으로 흐르던 AI 개발 경쟁에 매우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이고, 우리 반도체·소프트웨어 기업에도 도전과 기회가 될 것"이라며 "전폭적이고 국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국가의 과학기술 발전과 미래 먹거리를 키우는 일에 있어 정쟁과 정파는 있을 수 없다"며 "양보해야 하는 게 있다면 양보하겠다. 정부의 과감한 제안을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그는 "연구자와 기업들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과감한 개발과 투자에 뛰어들 수 있도록 하는 예산, 뛰어난 이공계 인재들이 의대가 아니라 과학기술 개발을 선택할 수 있는 장기 여건을 조성하는 예산 등 때를 놓치지 않고 시의적절하게 국가적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페이스북에 지난해 공개된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형수 시절 옥중 영상을 소개하며 "과학기술 투자와 미래 먹거리를 무엇보다 중시한 민주당의 전통을 이어 AI 개발과 투자에 진심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그놈(전자기기)이 말로 물으면 말로 대답하고, 글자로 내달라고 하면 글자로 내준다'는 영상 속 김 전 대통령의 언급을 두고 "44년 전인 1981년에 지금의 챗GPT를 연상케 하는 미래를 예견한다"고 평가했다.
이어 "김대중 선생은 16년 후 대통령이 돼 대한민국을 IT(정보기술) 강국으로 도약시키는 초석을 놓았다"며 "뒤를 이은 노무현 (전)대통령도 중국의 WTO(세계무역기구) 가입 후 자유무역 흐름이 강화되는 시기 한미FTA(자유무역협정)를 추진해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고 상기했다.
그러면서 "국가적 명운을 걸고 AI 기술 개발에 투자해야 하는 때"라며 "(김·노 전 대통령이) 선제적으로 한미FTA를 검토하고 선견지명으로 IT 인프라를 구축했던 것처럼 지금 AI 투자는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결정"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중국 기업의 딥시크(DeepSeek) 공개 후 우리를 포함한 전 세계 증시가 출렁이고, 기술 경쟁이 어디로 향하게 될지 기대감과 우려가 공존하는 상황"이라면서 이같이 적었다.
이 대표는 "가성비를 내세우는 딥시크의 등장은 '쩐의 전쟁'으로 흐르던 AI 개발 경쟁에 매우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이고, 우리 반도체·소프트웨어 기업에도 도전과 기회가 될 것"이라며 "전폭적이고 국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국가의 과학기술 발전과 미래 먹거리를 키우는 일에 있어 정쟁과 정파는 있을 수 없다"며 "양보해야 하는 게 있다면 양보하겠다. 정부의 과감한 제안을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그는 "연구자와 기업들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과감한 개발과 투자에 뛰어들 수 있도록 하는 예산, 뛰어난 이공계 인재들이 의대가 아니라 과학기술 개발을 선택할 수 있는 장기 여건을 조성하는 예산 등 때를 놓치지 않고 시의적절하게 국가적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페이스북에 지난해 공개된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형수 시절 옥중 영상을 소개하며 "과학기술 투자와 미래 먹거리를 무엇보다 중시한 민주당의 전통을 이어 AI 개발과 투자에 진심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그놈(전자기기)이 말로 물으면 말로 대답하고, 글자로 내달라고 하면 글자로 내준다'는 영상 속 김 전 대통령의 언급을 두고 "44년 전인 1981년에 지금의 챗GPT를 연상케 하는 미래를 예견한다"고 평가했다.
이어 "김대중 선생은 16년 후 대통령이 돼 대한민국을 IT(정보기술) 강국으로 도약시키는 초석을 놓았다"며 "뒤를 이은 노무현 (전)대통령도 중국의 WTO(세계무역기구) 가입 후 자유무역 흐름이 강화되는 시기 한미FTA(자유무역협정)를 추진해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고 상기했다.
그러면서 "국가적 명운을 걸고 AI 기술 개발에 투자해야 하는 때"라며 "(김·노 전 대통령이) 선제적으로 한미FTA를 검토하고 선견지명으로 IT 인프라를 구축했던 것처럼 지금 AI 투자는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결정"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국립한글박물관 증축공사 중 화재…4시간 만에 큰 불길 잡아
2미국서 또 항공 참사…필라델피아 쇼핑몰 인근 소형기 추락
3 해경 “제주 좌초 어선 2척서 15명 중 현재 10명 구조”
4이재명 “김대중·노무현처럼 AI도 투자 선제 대응해야”
5“성능은 참 좋은데”…대만 ‘딥시크’ 사용 금지령, 다른 나라도?
6 용산 국립한글박물관 옥상 화재…진압 소방대원 1명 병원 이송
7트럼프발 글로벌 관세전쟁 개막…韓도 다음 타깃 되나
8국민이주, 2월 미국 영주권 전략 세미나 개최…’미국투자이민, EB-1A, NIW’ 가이드 제공
9트럼프-이시바, 내주 백악관서 첫 美日정상회담…대중·대북 논의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