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폐기한 돈 ‘3조4000억원’...에베레스트 23배 높이
지폐·동전 4억7489만장, 전년 比 1.9% 감소

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폐기한 손상화폐는 4억7489만장으로, 액면가는 3조3761억원 규모로 조사됐다. 지폐와 동전은 모두 '장' 단위로 통일했다. 이는 지난 2023년(4억8385만장·3조8803억원) 대비 897만장(1.9%) 감소한 규모다.
화폐 종류별로는 지폐 3억7336만장(액면가 3조3643억원)과 동전 1억153만장(118억원)이 각각 폐기됐다. 지폐 중에는 1만원권이 1억9704만장으로 전체의 52.8%를 차지했다.
한국은행은 폐기한 화폐를 전부 옆으로 나란히 늘어놓으면 총길이 5만5906km로, 경부고속도로(415km)를 67차례 왕복할 수 있는 정도라고 설명했다.
또 이를 위로 쌓으면 총 높이가 20만3701m로, 에베레스트산(8849m)의 23배, 롯데월드타워(555m)의 367배에 달한다.
한국은행은 지폐가 손상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남아있는 면적이 4분의 3 이상이면 액면 금액의 전액을, 5분의 2 이상이자 4분의 3 미만이면 반액으로 교환해주고 있다. 다만 동전은 모양을 알아보기 어렵거나 진위를 판정하기 어려운 경우 교환해주지 않는다.
지난해 교환이 이뤄진 대표적 손상 화폐 사례를 살펴보면, 서울에 사는 신씨는 공장 화재로 불에 탄 은행권 8140만원을, 경남에 사는 김씨는 습기로 손상된 은행권 106만을 정상 지폐로 교환했다. 전남에 사는 박씨는 사찰 내 소원을 비는 연못에서 수거한 손상 주화 376만원어치를 교환했다.
한은 관계자는 "화폐를 깨끗이 사용하면 매년 화폐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며 "돈 깨끗이 쓰기 홍보 활동을 지속해서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트럼프, 석탄 산업 불 지폈다…“지구 온난화 신경 꺼”
2'식빵언니 마지막회' V5 김연경, 정상에서 마침표
3전현무도 '취중 라방' 사과 "나래에게 다시 한번…"
4오정연, 서장훈과 신혼때 물건 아직도?…충격 발언, 정체는
5코스피 결국 2,300 붕괴...환율은 1,487원 급등
6더퓨어랩, K-뷰티 수출 주도…올해 3000억 매출 넘본다
7종합외식기업 꿈꾼다...BBQ, 친환경 푸드 기업 ‘파티센타’ 계열사 편입
8롯데웰푸드 제로, 1년 만에 수출액 4배 늘었다
9“오감으로 즐기는 ‘프레시’”…오비맥주 카스, 팝업스토어 ‘카스 월드’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