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AI로 날개 핀 한컴…2024년 매출액·영업이익 모두 전년보다 성장
2024년 매출액·영업이익 각각 3048억원·403억원 기록
클라우드 사업 매출 비중 27% 차지…핵심 성장 엔진 자리매김

[이코노미스트 최영진 기자] 한글과컴퓨터는 2024년 별도 및 연결 기준에서 지난해보다 큰 폭의 성장을 기록했다고 24일 발표했다.
한컴은 2024년 별도 기준으로 매출액 1571억원, 영업이익 497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각각 24.2%, 20.6% 증가한 수치다. 연결 기준으로도 매출액 3048억원, 영업이익 403억 원을 기록해 각각 12.4%, 18.2% 성장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인 것은 창립 이래 처음이다.
한컴의 성장을 이끈 것은 클라우드 기반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사업이다. 별도 기준 매출 성장률을 25% 가까이 끌어올린 핵심 동력으로 작용했다. 한컴은 2년 전부터 웹기안기, 웹한글 등 웹 기반 제품을 중심으로 클라우드 SaaS 사업 확산을 집중적으로 추진했다. 특히 공공 부문의 디지털 전환에 선도적으로 대응했고, 별도 기준 클라우드 SaaS 사업의 매출 비중이 2023년 9.3%에서 2024년 27%로 확대됐다. 매출액 기준으로 전년 대비 258% 증가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기록했다.
기존 주력 매출원인 설치형 소프트웨어 제품 또한 견고하게 규모를 유지했다. AI 제품군에서는 기업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다수의 PoC(실증 사업) 수행과 연구개발, TV 광고 캠페인 등 투자 비용을 확대했지만 별도 기준 영업이익률 31.2%의 여전히 높은 수익성을 유지했다.
한컴은 2025년에도 SaaS 사업군의 성장세를 이어가고 AI 사업에서 성과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해 말 정식 출시한 ‘한컴피디아’와 ‘한컴어시스턴트’의 기술력을 확고히 인정받으면서 올해 공공 및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실질적인 AI 사업 성과 창출에 집중할 예정이다. 올해 공공 분야 첫 AI 프로젝트인 ‘국회 빅데이터 플랫폼(AI 국회) 구축 1단계 사업’에서 삼성SDS와 함께 수주에 성공한 이유다.
글로벌 AI 시장도 적극 공략하고 있다. 삼성SDS를 비롯해 네이버클라우드, LG AI연구원, 업스테이지, 프랑스 미스트랄AI 등 국내외 기업과의 전방위 협력을 기반으로 사업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한컴은 3개년 배당 정책에 따라 1주당 410원의 현금 배당을 결정했다. 배당금은 오는 3월 주주총회에서 최종 승인을 거쳐 지급될 예정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쥬얼리 출신 조민아, 보험설계사 변신 후 ‘전국 4위’ 쾌거
2"이자 갚기 힘들어요" 금융권 연체액 23조8000억원
3뒤집힌 美 여객기 피해자, 항공사 상대 억대 소송
4"29억 승차권 구매하고 99% 취소?"...코레일, 고소장 살펴보니
5룰루레몬X사울 내쉬, ‘SLNSH 2025 봄 컬렉션’ 런던서 첫 공개
6“신선식품도 이제 쿠팡”...‘프리미엄 프레시’ 뜬다
7노스페이스 패딩 ‘짝퉁’이라니...90% 할인 ‘사기’였다
8행복도 ‘빈익빈·부익부’...韓 삶 만족도, 소득 따라 갈렸다
9워런 버핏 "버크셔가 35조원 냈다…미국 경제 덕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