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불법 유통된 콘텐츠 살펴보니..게임 소프트웨어가 38%로 가장 많아
마크비전 운영 ‘마크AI’ 데이터 분석 결과…불법 콘텐츠 유통 1년 만에 65.8% 증가
유명인 사칭 급속도로 늘어나…마크비전 지난해 11월 ‘사칭 차단 기능’ 론칭

[이코노미스트 최영진 기자] AI 기반 IP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마크비전은 자사 대표 솔루션 ‘마크AI’를 통해 지난해 위조상품과 무단판매, 불법 콘텐츠, 브랜드 사칭 등 각종 브랜드 IP(지식재산권) 위협에 대한 제재 성과를 25일 발표했다.
지난해 위조 상품과 무단 판매 등 브랜드 IP를 무단 사용한 악성 셀러 등이 활동을 차단한 건수는 총 5041만6809건에 이른다. 시간당 5755건에 이르는 수치다.
눈에 띄는 것은 불법 유통 콘텐츠 차단이다. 2023년 2950만건을 차단했는데, 지난해에는 4880만건으로 1년 만에 65.8%나 증가했다. 콘텐츠의 불법 유통이 급증한 것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차단된 콘텐츠 중에서 가장 비율이 높은 것은 게임 소프트웨어로 38%를 차지했다. 웹툰·웹소설이 34%, 영화·TV 드라마 분야가 22%로 그 뒤를 이었다. K-콘텐츠가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면서 그 인기를 악용하는 불법 콘텐츠 유통업자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위조 상품과 무단 판매를 제재한 건은 2023년 97만건에서 2024년에 161만건으로 65.8%나 증가했다. 위조 상품이 가장 많은 카테고리는 ‘패션 및 액세서리’가 28.8%로 1위를 차지했고, 뷰티가 7.3%로 뒤를 이었다.
마크비전의 조사에 따르면 유명인 사칭도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이를 막기 위해 지난해 11월부터 사칭 차단 기능을 론칭했는데, 한 달 만에 3479건을 제재했다.
마크비전이 운영하는 브랜드 보호 솔루션 마크AI는 전 세계 180개국 1500여개 마켓플레이스 등에서 유통되는 위조 상품 및 무단 판매를 AI 딥러닝 기반의 탐지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24시간 자동 모니터링 ▲제재에 필요한 각종 증거 자동 수집 ▲각 마켓플레이스에 신고 등을 진행한다. 특히 생성형 AI가 경고장과 신고서를 자동으로 작성해 발송하거나, SNS 채팅을 통해 AI가 직접 악성 셀러와 대화하며 위조 상품 판매 증거를 수집하는 점 등은 혁신적인 기술력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인섭 마크비전 대표는 “독보적 기술력을 바탕으로 브랜드 성장을 저해하는 다양한 IP 문제를 해결하며 브랜드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 결과, 압도적인 성과를 낼 수 있었다”라며, “앞으로도 변화하는 악성 셀러와 온라인 환경에 발맞춰 신규 기능 및 서비스를 선보이는 등 브랜드의 성장과 보호를 위한 혁신을 거듭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내수용' 임시공휴일, 일본에 퍼준 격…1월 국내여행 '털썩'
2소방 "안성 고속도로 공사장 사고로 4명 사망"
3NHN, 좀비 아포칼립스 게임 ‘다키스트 데이즈’ 글로벌 테스트 시작
4‘알파고 이긴’ 이세돌 “AI와 경쟁 아닌 공존해야…개성과 강점 키워라”
5"밀키스 맛에 반했다"...롯데칠성, 중동 음료 시장 공략 드라이브
6신영증권, 창립69주년 기념식 개최
7지난해 불법 유통된 콘텐츠 살펴보니..게임 소프트웨어가 38%로 가장 많아
8“신축 프리미엄 커지나”...내년 수도권 아파트 입주 7만 가구 이하로 ‘뚝’
9‘AG 피겨 金’ 차준환 선수, 여의도 KB금융 방문한 사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