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캐나다·멕시코에 25% 관세 부과"…협상 여지도 없어
중국, 10% 추가관세 별도 적용 계획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루스벨트룸에서 TSMC의 투자계획을 발표하며 "내일 캐나다에 25%, 멕시코에 25% 관세가 시작될 것이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초 캐나다와 멕시코산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당초 2월 4일부터 발효될 예정이었으나, 협상을 위해 한달간 유예한 바 있다.
하지만 그간 협상에 성과가 없다고 판단해 내일부터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밝힌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따라서 그들은 관세를 물게될 것이다"며 "그들이 해야할 일은 자동차 공장과 같은 것들을 미국 내에 짓는것이다. 이 경우에는 관세가 없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정 전 협상을 통해 관세 발효가 유예될 여지가 있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멕시코와 캐나다를 위한 여지는 없다(No room left for Mexico or for Canada)"면서 "없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관세들은 모두 준비가 됐고, 내일 발효된다"고 거듭 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중국에도 펜타닐 등 합성마약 유입 책임을 물어 10% 추가관세를 부과했는데, 오는 4일부터 10% 추가관세를 별도로 적용할 계획이다.
그는 "엄청난 양의 펜타닐이 중국에서 멕시코, 캐나다로 가서 우리나라로 쏟아져들어오고 있다"며 "중국은 10% 추가관세를 갖게됐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에 따라 캐나다산 에너지 자원을 제외한 모든 캐나다 및 멕시코 수입품에 25% 추가관세가 적용될 전망이다. 에너지자원에는 10% 관세가 부과된다.
해당 행정명령에는 상대국이 보복 대응에 나설 경우 재보복으로 대응한다는 내용도 포함돼 있어 추가 관세 조치가 내려질 가능성도 있다.
조치가 내려지면 멕시코에 공장을 둔 한국 기업들도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멕시코에는 기아자동차와 삼성전자, LG전자, 포스코 등이 진출해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의대 쓸어담고 美 명문대도 휩쓴 고등학교, 어디?
2트럼프, 반도체 관세 ‘밀당’…“14일에 말하겠다”
3 유승민, 대선 불출마하기로…“국민의힘, 변화의 길 거부”
4“버티다 결국 접었다”…자영업자 1.4만명 사라져
5 김경수, 대선 출마 공식 선언 “행정수도 세종 완성할 것”
6제주에 ‘폭싹’ 빠진 대만…관광객 1년 새 2.3배 급증
7하나금융, ‘ESG 공시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
8청년 전세대출로 21억 ‘꿀꺽’…사기 일당 줄줄이 징역형
9오늘 태어난 아이는 60년 후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