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1%’...산림당국, ‘산청 산불’ 진화 구슬땀
오전 8시 기준 산불 진화율 99%
두터운 낙엽층에 진화 어려움 겪어

30일 산림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 기준 산불 진화율은 99%다. 현재까지 산불 진화율은 전날 오후 기준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남은 화선은 지리산 권역 약 0.4km 구간으로 추정된다.
지난 29일 일출과 동시에 산림 당국은 ▲헬기 55대 ▲진화 인력 1598명 ▲차량 224대를 현장에 투입해 남은 주불 진화에 집중했다. 다만, 가파른 지형과 불리한 조건 탓에 작업은 쉽지 않았다.
화선이 형성된 해당 지역은 경사도 40도에 달하는 급경사지로, 접근로가 없어 헬기 투하 외에는 직접적인 진화 작업이 제한적이었다.
특히, 화재가 발생한 지형은 최대 100cm 두께의 낙엽층이 깔려 있고, 그 무게는 ㏊당 300~400톤에 이를 정도다. 이러한 조건은 불씨가 지표 아래로 번지는 ‘지중화’ 양상을 보이며 진화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주간 진화에 어려움을 겪은 당국은 일몰 이후에도 인력 996명과 장비 201대를 배치해 야간 진화에 돌입했다. 밤사이 일부 지역에서 재발화 현상이 포착됨에 따라 오전 헬기 투입이 재개될 예정이다.
이번 산불로 인한 피해도 상당하다. 현재까지 산불 영향 면적은 1858헥타르(ha), 총 화선 길이는 71.2km에 달한다. 인명 피해는 사망 4명, 부상 10명 등 총 14명으로 집계됐다.
이재민 발생도 장기화되고 있다. 현재까지 528명이 임시 대피소 7곳(산청 동의보감촌 등)에 머물고 있다. 또 주택 28채, 공장 2곳, 종교시설 2곳 등을 포함한 총 83개소의 시설 피해가 발생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케이뱅크, 아파트담보대출 변동금리형 상품 금리 0.24%p 인하
2현대면세점, 7월 동대문점 폐점...“경영 효율화 추진”
3뱅크샐러드, 작년 매출 196억원…전년 대비 3배 ‘쑥’
4우리은행, 국내은행 최초 폴란드 지점 개점…유럽 거점 확대
5‘제4인뱅 도전’ 소호은행 “소상공인에 구휼 아닌 금융 제공할 것”
6"무더위 미리 대비하세요"...삼성, 에어컨 설치 전담팀 조기 운영
7BMW그룹코리아, ‘2025 서울모빌리티쇼’서 新모델 대거 선봬
8김승연 회장 지분 증여…한화 관련株, 일제히 '급등세'
9비트코인, 상호관세 앞두고 1억2300만원대 횡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