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소득 적을수록 체감물가 높다...식료품·주거비 특히 부담

한경협, 소득분위별 소비자 체감물가 분석

서울의 한 대형마트 내부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선모은 기자] 소득이 낮을수록 물가 상승으로 인한 부담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2014년부터 2024년까지 소득분위별 체감물가 추이를 분석한 결과 소득 하위 20%인 소득 1분위의 체감물가 상승률은 23.2%로 나타났다. 이는 소득 상위 20%인 소득 5분위의 체감물가 상승률인 20.6%보다 2.6%포인트(p) 높다.

소득분위별 체감물가 상승률은 ▲1분위 23.2% ▲2분위 22.4% ▲3분위 21.7% ▲4분위 20.9% ▲5분위 20.6%로 소득이 낮을수록 체감물가 상승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소득 1분위의 체감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소득 5분위보다 2022년을 제외하고 매년 높았다.

소득이 낮은 경우 식료품과 주거비 중 생존과 직결된 영역에서 물가 상승 부담이 컸다. 예를 들어 지출 비중이 높은 품목을 살펴보면 소득 1분위는 ▲식료품·비주류음료 20.9% ▲주택·수도·광열 20.0% ▲보건 12.6% 순으로 지출 비중이 높았다. 이중 식료품 물가는 2014년부터 2024년까지 10년간 41.9% 상승해 전체 물가상승률 21.2%의 두 배 수준에 달했다.

소득이 높은 소득 5분위는 소득 1분위와 달리 식료품과 주거비에 쏟는 비용의 비중이 작았다. 대신 소득 5분위는 ▲교통 13.0% ▲교육 10.5% ▲오락·문화 9.0% 순서대로 지출 비중이 높았다. 10년 전과 비교했을 때 이들 품목의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각각 5.3%, 10.6%, 9.2%를 기록했다. 이는 전체 물가상승률 21.2%보다 크게 낮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10년간 먹거리 물가가 크게 상승하면서 취약계층의 체감물가 부담을 높이고 있다”라며 “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해 농산물 수급 안정화 대책을 마련하고 유통 규제를 개선하는 한편 농산물 수입 다변화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싹 가능!”…카스 0.0, 알코올 걱정 없는 논알콜 캠페인 시작

2한국의 스테이블코인 도입, 은행들이 선도한다

3KGM, ‘2025년 파트너스 데이’ 개최…미래 전략과 동반 성장 비전 제시

4창고43, ‘프리미엄 한우 다이닝’ 정체성 담은 신규 BI 공개

5정상적인 면역기능 돕는 조아제약 '면역칸에스'…하루 1앰플로 간편하게

6글로벌 완성차 전쟁터 ‘서울’...각양각색 ‘브랜드 철학’ 총집합

7서울에서 펼쳐진 ‘모빌리티 미래’...현대차그룹이 주도하는 ‘패러다임’

8“봄엔 솔로탈출 기원” 국민‧하나‧우리 ‘은행판 나는 솔로’ 개최 사연은?

9“더 내려갈 수 있는 거였어?” …또 2500 깨진 코스피에 ‘망연자실’

실시간 뉴스

1“싹 가능!”…카스 0.0, 알코올 걱정 없는 논알콜 캠페인 시작

2한국의 스테이블코인 도입, 은행들이 선도한다

3KGM, ‘2025년 파트너스 데이’ 개최…미래 전략과 동반 성장 비전 제시

4창고43, ‘프리미엄 한우 다이닝’ 정체성 담은 신규 BI 공개

5정상적인 면역기능 돕는 조아제약 '면역칸에스'…하루 1앰플로 간편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