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일반
수도권 청약시장, 소형 아파트 '강세' 지속…2년 연속 두 자릿수 경쟁률
- 분양가 상승·대출 규제에 수요 집중…중대형은 외면

15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가 부동산R114렙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도권 아파트의 면적별 청약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지난 1~4월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아파트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은 14.2대 1로, 지난해(39.4대 1)에 이어 2년 연속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60㎡ 초과~85㎡ 이하는 지난해 경쟁률이 15.0대 1이었으나 올해는 5.1대 1로 내려앉았다.
85㎡ 초과는 지난해 5.2대 1에 이어 올해는 4.5대 1로 한 자릿수를 유지했다.
85㎡ 초과 타입의 경우 2020년 청약 경쟁률이 103.6대 1에 이를 정도로 큰 인기였으나 청약 수요자들의 소형 평형 선호 속에 경쟁률이 빠르게 하락했다. 2021년에는 90.0대 1, 2022년 15.2대 1, 2023년 26.5대 1 등이다.
수도권 청약시장에서 이처럼 소형 타입의 인기가 높아진 것은 분양가 상승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분양가가 치솟자 자금 마련 부담이 덜한 소형으로 수요가 몰린다는 것이다.
실제로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 3월 수도권 민간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당 2837만원으로 작년 동월 대비 10.4% 상승했다. 59㎡와 84㎡의 분양가 차이가 총액 기준으로 약 2억8400만원에 이르는 셈이다.
대출 규제인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제한이 덜한 것도 소형을 선호하는 배경으로 손꼽힌다.
3인 이하 가구 비율이 전체의 83.3%를 차지하는 등 인구 구조의 변화와 소형 아파트에도 방 3개와 안방 드레스룸이 배치되는 등 평면 설계가 개선된 것도 소형 평형에 대한 인식 변화를 가져왔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3인 이하 가구 증가와 스트레스 DRS 3단계 등 대출 규제 강화 요인이 이어질 가능성이 커 수도권 주택시장에서 소형 평형의 우세는 상당 기간 계속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김용태 비대위원장 “윤 전 대통령에 정중하게 탈당 권고할 것”(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키움은 어떤 팀인가..정후·혜성, 빅리그 동반 홈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선거운동원 때리고, 현수막 찢고…`대선 D-19` 곳곳서 잡음(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5년 조기상환'의 함정…자본성증권의 '역습'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바이오솔루션 임상 호재, 무증에 20%↑, 루닛 루머에 급락[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