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이주의 바이오 키워드] #백신 양극화 #백신 가격인상 #백신 강국

3차 추가접종 국가 늘면서 백신 빈국 물량 확보 더욱 어려워져
EU 3차 접종 위해 인구 3배가 넘는 백신 물량 사들여
미국 백신 2억 회분 추가 구매, 한국 정부도 백신 5000만 회분 도입 추진

8월 6일 오전, 서울 송파구 송파체육문화회관에 마련된 코로나19 백신 접종센터에서 접종을 마친 시민들이 이상 반응 모니터링 구역에서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백신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선진국들이 추가접종을 확대하면 백신 빈국들은 그만큼 물량 확보에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란 암울한 전망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델타 변이 확산으로 전 세계의 코로나 누적 확진자 수가 2억 명에 도달하면서 세계가 백신 갈증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3차 추가접종, 이른바 '부스터 샷'을 도입하는 나라도 늘고 있습니다. 
 
반면 아직 1차 접종도 하지 못한 곳도 많습니다. 한쪽에서는 물을 마시고도 새로운 물을 마실 수 있지만 다른 쪽에서는 목 한 번 축이지 못한 안타까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실제 백신 양극화는 국제적인 문제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백신 선진국들이 추가접종을 확대하면 백신 빈국들은 그만큼 물량 확보에 어려움을 겪기 마련입니다. 더욱이 백신 양극화는 접종률이 낮은 나라에서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 출현으로 이어지고 코로나 종식이 멀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입니다.   
 
미국이나 유럽 선진국은 성인 50% 이상이 2차 접종까지 끝냈다지만 세계 인구 85%는 아직 백신 1차 접종도 받지 못했습니다. 저소득국가의 백신 1회 이상 접종률은 1.1%에 불과합니다.  
 
실제 선진국들의 3차 접종은 이미 시작됐습니다. 이스라엘은 지난 8월 1일부터 60세 이상 노인에 한해 부스터샷 접종을 시작했고요. 영국과 독일도 9월부터 고령자와 면역력이 약한 이들을 대상으로 3차 접종을 하기로 했습니다. 일본도 3차 접종을 예고했습니다.
 
이를 위한 백신 확보도 한발 앞서고 있습니다. 3차 접종을 위해 유럽연합(EU)은 인구의 3배가 넘는 백신을 사들였습니다. 유럽은 2023년까지 쓸 수 있는 화이자·모더나를 확보한 상태라고 합니다. 추가접종에 회의적인 미국 방역 당국도 백신 2억 회분을 추가 구매했습니다. 이스라엘 역시 이미 지난 4월 내년도 화이자 백신 1800만 회분을 추가 계약했습니다. 일본은 내년에 쓸 모더나 백신 5000만 회분을 지난달 계약했습니다.  
 
우리 정부도 백신 확보전에 뛰어든 상황입니다. 내년도 백신 수급 우려 속에 정부도 뒤처지지 않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네요. 정부가 내년에 추가접종을 위한 코로나 백신으로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5000만 회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합니다.  
 
문제는 화이자와 모더나가 백신 가격 인상을 예고했다는 것입니다.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백신 수요가 늘었기 때문입니다.
 
백신 빈국들은 더 불안할 수밖에 없습니다. 백신 가격 인상은 백신 수급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코로나 종식을 더 힘들게 할 수 있습니다.   
 
실제 화이자와 모더나는 EU에 공급하는 백신 1회분 가격을 각각 25%, 10% 인상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미 화이자와 모더나는 코로나19 백신으로 수조원에 달하는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더욱이 모더나는 백신 판매 수익을 조세회피처로 은닉하고 있다는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팬데믹 상황에서 글로벌 제약사들이 배만 불리고 사회적 책무를 저버린다는 따가운 시선이 나옵니다.  
 
강자들의 ‘백신 쓸어담기’, 제약사의 ‘가격인상’은 우리에게 ‘백신주권’과 ‘백신안보’의 중요성을 더욱 크게 느끼게 했습니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속도를 올리는 가운데, 얼마 전 셀트리온도 차세대 메신저 리보핵산(mRNA)백신 개발 착수를 선언했습니다.  
 
정부도 K백신 확보를 강조하고 나섰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8월 5일 "2025년까지 글로벌 백신 생산 5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달 중 국내 기업이 개발한 코로나 백신이 임상 3상에 진입할 예정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국산 1호 백신의 상용화가 기대된다고 전했습니다. 
 
백신 자주권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더 나아가 백신 양극화를 극복하고 글로벌 백신 허브 국가로 도약한다면 더욱 의미 있는 행보가 아닐까요.   

이승훈 기자 lee.seungho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축구 40년만에 올림픽 좌절…홍준표, 한국축협회에 또 ‘쓴 소리’

2민희진 vs 하이브 '노예 계약' 공방...진실은 어디로

3‘빅5’ 병원 ‘주 1회 셧다운’ 예고…정부 “조속히 환자 곁으로”

4尹대통령-이재명 29일 첫 회담…“국정 현안 푸는 계기되길”

5이부진 표 K-미소…인천공항 온 외국 관광객에게 ‘활짝’

6목동14단지, 60층 초고층으로...5007가구 공급

7시프트업, ‘니케’ 역주행 이어 ‘스텔라 블레이드' 출시

8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6월 26일 출시 확정

9‘보안칩 팹리스’ ICTK, 코스닥 상장 도전…“전 세계 통신기기 안전 이끌 것”

실시간 뉴스

1한국축구 40년만에 올림픽 좌절…홍준표, 한국축협회에 또 ‘쓴 소리’

2민희진 vs 하이브 '노예 계약' 공방...진실은 어디로

3‘빅5’ 병원 ‘주 1회 셧다운’ 예고…정부 “조속히 환자 곁으로”

4尹대통령-이재명 29일 첫 회담…“국정 현안 푸는 계기되길”

5이부진 표 K-미소…인천공항 온 외국 관광객에게 ‘활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