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새해부터 기본 배달료 오른다”…배보다 큰 배달비 '2만원 시대' 성큼

[‘23조’ 배달시장, 이대로 괜찮나②] 배달료 무엇이 문제?
배달경쟁 심화로 기본료 껑충…자영업자·소비자 모두 피해
“배달대행료 2~3배 더 뛸 것”…기형적인 악순환 구조 원인

 
 
서울 시내의 한 도로 위로 배달라이더가 비를 맞으며 길을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로 그나마 마진이 없음에도 살아남고 버티고자 배달 위주로 장사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2022년 1월부터 배달대행업체에서 과도한 가격 인상을 통보해왔습니다. 다른 업체로 변경해보려 알아봤지만 이미 업체별로 사전미팅을 한 상태였고 조건도 비슷하게 입을 맞춘 상황이었습니다.” (청와대 국민청원 中)
 
코로나 팬데믹 속 배달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라이더 모시기 경쟁이 치열해졌고 이로 인해 배달비가 높게 치솟고 있다. 치솟은 배달료는 소상공인은 물론 소비자에게도 부담이 전가되면서 배달 시장을 흔들고 있다. 자영업자는 배달료에 대한 부담을 음식 메뉴 혹은 배달팁 인상이라는 최후의 수단을 선택할 수밖에 없고, 이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가 떠 앉는 악순환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배달료는 지난 5년간 무려 2배가량 인상된 것으로 분석된다.
 

배달기사 부족한 데 수요는 폭증 가격만 쑥쑥   

배달업계에 따르면 전국 각지의 배달대행업체들이 1월 1일자로 일제히 배달료 인상에 나섰다. 우선 배달대행업체다. 서울 인천 등 일부 업체들이 적게는 500원부터, 천안 일부 지역의 경우 1100원의 배달료를 추가로 올렸다. ▶배달기사 부족 ▶단건 배달(한 번에 한 집만 배달) 도입 ▶수요 폭증 등으로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서울 강남구 역삼동 배달의 민족 라이더 센터 모습. [중앙포토]
배민도 배달료 산정 기준을 기존 직선거리에서 실거리 기준으로 바꿨다. 기존 배달료는 직선거리 기준으로 500m 이내는 3000원, 500m에서 1.5㎞까지 3500원, 1.5㎞ 초과시 500m당 500원이 추가됐다. 새 배달료 산정 기준은 내비게이션 거리 기준으로 675m 이내 3000원, 675m에서 1.9㎞까지는 3500원, 1.9㎞를 넘어서면 100m당 80원을 추가 지급한다.  
 
배민 측은 이번 변경으로 소비자, 자영업자 부담이 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배민이 변경한 배달료의 경우 회사가 라이더에게 지급하는 비용으로 자영업자와 소비자들이 부담하는 배달팁에는 변동이 없다는 설명이다. 또 경쟁사인 요기요와 쿠팡이츠 등은 이미 실거리 기준의 배달료를 측정해온 상황. 직선거리가 기준이 된 업체는 배민이 유일했다.  
 

주말할증 500원에 고층할증까지 배달료 1만원 시대  

하지만 업계에선 현재 배달 대행료 5000원이 조만간 2배, 3배 이상 뛸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배달대행업체들이 계속해서 기본료를 인상하고 저마다 기준을 만들어 ‘할증 요금체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공휴일할증 500원을 추가한다거나 우천할증·야간할증·아파트 고층할증 등 추가인상요인들이 즐비하다. 실제 몇 주 전 폭설과 한파가 겹친 주말 일부 지역 라이더들에게 지급되는 배달료가 1만원까지 치솟았다. 한 지역에선 단건 배달비로 2만원을 받는 경우도 있었다.  
 
배달을 기다리고 있는 음식들 모습. [중앙포토]
기본배달료가 인상되면 자영업자가 메뉴 가격이나 배달팁을 인상하는 방안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셈이다. 초밥집을 운영하는 한 점주는 “요즘 배달대행료가 미친 듯이 올라가면서 배달팁 인상 외엔 답이 없는 실정”이라면서 “이는 곧 소비자에게 전가돼 수요가 줄어들고, 폐업으로 가는 등 자영업자들 무덤이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또 다른 점주도 “재료비에 인건비, 임대료, 중개수수료에 배달료까지 내고 나면 남는 게 없다”면서 “오히려 팔면 팔수록 적자만 쌓이는 구조”라고 덧붙였다.  
 
일각에선 이러한 기형적 구조를 원인으로 ▶배달대행업체들의 배달료 인상 담합 ▶자영업자들이 막대한 피해를 보면서도 파격 ‘무료배달’ 이벤트를 내거는 등의 각종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배달 플랫폼업체들도 배달하면 할수록 손해 보는 구조가 이어진 지 오래다.  
 
업계 관계자는 “배달시장 구조와 배달료 문제가 관리 사각지대 아래 놓여 기형적으로 성장해 오면서 이권 다툼과 부작용이 나오고 있다”면서 “새해에도 배달료는 계속해서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데 정부와 관계부처가 나서지 않으면 해결이 어려운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고 우려했다. 

김설아 기자 kim.seolah@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시프트업, ‘니케’ 역주행 이어 ‘스텔라 블레이드' 출시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6월 26일 출시 확정

3‘보안칩 팹리스’ ICTK, 코스닥 상장 도전…“전 세계 통신기기 안전 이끌 것”

4신한금융 1분기 순익 1조3215억원, 전년 동기 比 4.8%↓

5LG유플러스, 실속형 스마트폰 ‘갤럭시 버디3’ 공식 출시

6하나금융 1분기 순익 1조340억원…1년 전보다 6.2% 감소

7농협금융 1분기 순익 6512억, 전년 동기 比 31.2%↓

8우리금융 1분기 순익 8245억원, ELS 배상에 전년比 9.8%↓

9“미국투자이민 공공 프로젝트 최고 안전”∙∙∙로드아일랜주 축구장 개발사 존슨 대표 인터뷰

실시간 뉴스

1시프트업, ‘니케’ 역주행 이어 ‘스텔라 블레이드' 출시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6월 26일 출시 확정

3‘보안칩 팹리스’ ICTK, 코스닥 상장 도전…“전 세계 통신기기 안전 이끌 것”

4신한금융 1분기 순익 1조3215억원, 전년 동기 比 4.8%↓

5LG유플러스, 실속형 스마트폰 ‘갤럭시 버디3’ 공식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