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급증한 저축은행 PF대출...금융권 부실 뇌관 건드나

상반기 5대 저축은행 PF대출 규모 2.8조원…1년 새 46% 증가
非아파트 PF 확대 영향에 연체율 상승 빨라
저축은행 업계 “자산 확대·컨소시엄 참여 방식 등으로 안정장치 충분”

 
 
서울 시내의 한 저축은행 모습. [연합뉴스]
저축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이 금융권 부실의 신호탄이 될 것이란 우려가 높다. 대출 금리가 오르고 집값 하락 등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고 있어서다. 일부 PF대출을 확대한 저축은행에서는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다. 다만 저축은행 업계는 전체 자산 중 PF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작고, 여러 금융사가 참여하는 컨소시엄 형식으로 PF대출이 이뤄지고 있다며 이로 인해 업계 전체가 위기에 빠질 것이란 우려는 과도하다고 보고 있다. 
 

5대 저축은행 상반기 PF대출, 전년 동기 比 46%↑

29일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SBI저축은행·OK저축은행·한국투자저축은행·페퍼저축은행·웰컴저축은행 등 5대 저축은행의 PF대출 규모는 2조8042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8908억원(46.6%) 증가했다. OK저축은행의 PF대출은 같은 기간 25.8% 증가한 9521억원, 한국투자저축은행은 52.5% 늘어난 9134억원이다. 그 외에 ▶웰컴저축은행 6361억원(66.5% 증가) ▶페퍼저축은행 1621억원(298.3% 증가) ▶SBI저축은행 1405억원(4.2%증가) 등을 기록했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은 건설사가 금융권 대출로 토지를 매입하고 건물을 올린 뒤 분양 수익을 내는 구조다. 부동산 호황기에는 수익을 내기 쉽지만, 지금처럼 기준금리가 높아지고 자산가격 하락이 동반돼 미분양이 확대될 경우 금융사까지 대규모 손실을 떠안을 수 있다.  
 
5대 저축은행 중 특히 한국투자저축은행과 웰컴저축은행의 PF대출이 총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13.1%, 10.9%를 기록했다. OK저축은행은 8.1%, 페퍼저축은행과 SBI저축은행은 각각 3.0%와 1.0%다. 
 
PF대출 연체율은 일부 저축은행에서 오르는 모습이다. OK저축은행의 PF대출 연체율은 올해 6월 말 3.65%로 전년 동기 대비 1.96%포인트 높아졌다. SBI저축은행의 PF대출도 6월 말 연체율이 1.3%를 기록하며 1분기 말보다 1.03%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상반기 연체율은 7.99%까지 치솟은 바 있지만, SBI저축은행은 “건설사의 PF대출 상환으로 연체율이 크게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웰컴저축은행과 페퍼저축은행의 PF대출 연체율은 0%를 기록했다. 
 
저축은행업계의 총여신 연체율은 올해 6월 말 2.6%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0.1%포인트 떨어졌고 기업대출(법인) 연체율도 1.9%로 0.1%포인트 개선된 것과 비교하면 일부 저축은행의 PF대출 연체율이 이와 비교해 빠르게 올랐다는 분석이다. 
 

“저축은행, 非아파트 PF대출 많아…부실 위험 높아”

[자료 한국은행]
금융권은 대출 금리 상승과 함께 경기 불확실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어 PF대출 부실도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특히 저축은행 PF대출은 상가 등 비아파트 PF대출 물량이 많아 부실 가능성이 더 높다는 분석이다. 
 
한은에 따르면 은행과 보험사는 아파트에, 저축은행과 증권사는 아파트 외 주택 및 상업용 시설에 주로 PF대출을 확대했다. 저축은행의 경우 아파트 외 주택 및 상업용 시설 PF대출 비중이 전체의 84.5%를 차지했다. 증권사는 75.0%, 은행은 31.3%를 기록했다.  
 
한은은 ‘9월 금융안정 상황’ 자료를 통해 “저축은행의 경우 시공사의 신용등급이 낮아 시공사 신용보강 기능이 약한 편”이라며 “PF부실이 발생하면 영세사업장이 많고 담보가치의 안정성도 떨어지는 일부 비은행기관의 복원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저축은행 업계는 2011년에 발생했던 저축은행 사태와 현재를 비교하기는 어렵다고 보고 있다. A저축은행 관계자는 “PF대출을 포함한 법인대출이 자기자본의 20%이내여야 하고 한 사업장 당 최고 120억원 한도 규제가 있다”며 “특히 PF 컨소시엄 형식으로 들어가는 게 대부분이라 리스크가 분산된 만큼 저축은행만 부실이 날 우려는 없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최근 원자재 가격 상승과 금리 인상으로 사업자금은 올랐는데 부동산시장 침체로 미분양 우려가 높아지면서 PF 리스크 관리 문제가 제기된 것”이라며 “PF의 유동성 문제까지는 아니다”라고 전했다. 

이용우 기자 ywle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국민 10명 중 7명 “결혼하면 아이 낳아야죠...출산에 긍정적”

2 트럼프, 국토안보부 장관에 크리스티 노엄 주지사 지명

3검경, 불법추심 특별단속 강화한다…“악질행위 강력대응”

4“4만전자 시대 진짜 오나요”…신저가 행진에 개미들 ‘비명’

5 ‘尹 퇴진 집회’ 민주노총 조합원 4명 구속영장 기각

6코오롱인더 새 대표에 허성…“사업재편 완성할 적임자”

7‘날개 단’ 비트코인 10만달러 돌파하나…국내 증시 시총 넘어섰다

813세 이상 국민 4명 중 1명 “한국 사회 안전하지 않다”

9검찰, 쿠팡 본사 이틀째 압수수색...검색순위 조작 혐의

실시간 뉴스

1국민 10명 중 7명 “결혼하면 아이 낳아야죠...출산에 긍정적”

2 트럼프, 국토안보부 장관에 크리스티 노엄 주지사 지명

3검경, 불법추심 특별단속 강화한다…“악질행위 강력대응”

4“4만전자 시대 진짜 오나요”…신저가 행진에 개미들 ‘비명’

5 ‘尹 퇴진 집회’ 민주노총 조합원 4명 구속영장 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