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초첨 :안정세 접어든 국제유가 전망… “두바이유 내년 평균치는 30~34弗”

초첨 :안정세 접어든 국제유가 전망… “두바이유 내년 평균치는 30~34弗”

국제유가에 가장 민감한 주유소. 유가가 오를 때마다 운전자들도 가슴을 쓸어내리고 있다.
전반적으로 내년 유가는 안정세를 유지하겠지만 이라크 총선이나 이란 핵 문제 등 변수가 있다. 사진은 이라크의 정유시설.
배럴당 50달러를 돌파하고 한때 60달러에 육박했던 국제유가가 연일 내리막길이다. 국제유가는 서부텍사스산 중질유(WTI) 기준으로 지난 10월 평균 53달러를 기록한 뒤 11월 평균치는 48달러로 떨어졌으며, 12월7일 현재 41달러에 그치고 있다. 과연 국제유가는 안정세로 접어든 것인가. 또다시 폭등하는 경우는 없을까. 최근의 국제유가 하락은 미국 대선 이후 투기세력(비실수요자)에 의한 선물시장 과수요가 감소한 데다 허리케인 ‘아이반’으로 파괴된 멕시코만 석유시설의 복구가 빨라지고 북반구의 겨울철 온난화 현상도 겹친 결과라고 할 수 있다.우선 미국 뉴욕 상품시장의 투기세력에 의한 선물과 옵션 거래를 보면 지난 10월5일에 8,210만 배럴에 달했던 순매입 포지션이 11월30일 4,477만 배럴로 감소했다. 투기세력의 순매입 포지션은 지난 3월2일에는 1억3,530만 배럴에 달했으며, 이후 등락을 거듭하면서 추세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전문 투기세력은 지나칠 정도로 상승한 국제유가에 거품이 있다고 보고 일찌감치 매입 포지션을 축소해 온 것으로 보인다.

허리케인, 투기수요가 고유가 원인 국제유가의 거품 현상은 투기세력의 표적이 되기 쉬운 WTI 가격과 중동산 두바이유의 가격차 확대로 나타나고 있다. 실수요가 중심인 두바이유의 가격은 1~11월 평균으로 배럴당 33.5달러에 머물고 있다. WTI 가격이 배럴당 50달러를 초과했던 지난 10월에도 두바이유는 30달러대를 유지했다. 이에 따라 2003년 평균 4.3달러에 불과하던 WTI와 두바이유 간의 가격차는 지난 10월 평균치로 15달러를 초과했다. 이러한 WTI와 두바이유 간 가격차는 WTI 가격의 거품이 어느 정도 축소되면서 12월7일에는 7.7달러 수준으로 하락했다.WTI 가격의 거품 축소에는 지난 9월에 있었던 허리케인 아이반의 피해 복구도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이반으로 인한 멕시코만의 원유 생산 피해 규모는 10월19일 기준으로 하루 42만9,000배럴에 달했다. 이에 따라 올해 2월 중순 이후 계속 증가세를 유지해 왔던 미국의 원유재고는 9월12일부터 11월 초까지 감소세를 보여 유가 급등을 불렀다. 허리케인의 피해로 멕시코만의 해저 석유 파이프라인이나 유전 구조물의 피해가 커서 당초 복구는 내년 1분기가 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도 나왔었다. 그러나 이미 석유 생산량은 상당히 회복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미국의 원유 재고량이 11월19일 이후 증가세로 돌아섰다.미국의 원유 재고량 확대에는 겨울철 온난화도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물론 일기예보는 불확실한 측면도 있다. 미국 동북부에 갑자기 한파가 몰아치면서 국제유가가 급등할 위험성도 있다. 사실 각 연구기관들의 내년도 유가 전망은 엇갈리고 있다. 미국 에너지부 정보청(EIA)의 12월 전망치를 보면 2005년도 국제유가는 WTI 기준으로 배럴당 45.5달러로 전망되고 있으며, 미국계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도 지난 12월7일에 46달러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반해 캠브리지에너지연구소(CERA)는 내년도 WTI를 배럴당 40.83달러(11월 전망치)로, 에너지안보분석사(ESAI)는 37.98달러(10월 전망치)로 각각 예측해 EIA나 골드만삭스와 격차를 나타내고 있다. 각 연구기관들은 지정학적인 리스크나 허리케인과 같은 불확실한 요인들 때문에 올해 국제유가를 잘 전망하지 못했다.

내년 초과 공급 발생할 듯 사실 내년 국제유가도 갖가지 불확실한 요인들이 많기 때문에 자신 있게 전망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다만 내년에는 돌발 사태가 없는 한 국제 석유시장의 수급은 안정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2005년에는 세계 경기의 둔화와 함께 세계 석유 수요 증가세가 다소 둔화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의 11월 분석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석유 수요는 3.4%, 1일 생산량 기준 270만 배럴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는 데 반해 내년에는 1.7%, 140만 배럴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반면 공급 측면을 보면 비OPEC권은 러시아를 비롯한 옛 소련의 공급확대 기조가 지속돼 올해 하루 110만 배럴의 생산 증가에 이어 내년에도 하루 120만 배럴 수준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이를 감안하면 지난 10월 기준으로 하루 2,996만 배럴의 원유를 생산한 OPEC(이라크 포함)가 현재의 생산량을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내년에는 하루 200만 배럴 정도의 초과공급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내년에도 사우디아라비아를 중심으로 OPEC의 생산 능력이 하루 100만 배럴 이상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물론 OPEC가 국제유가가 하락할 경우 석유 생산량을 삭감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극심한 초과공급 현상이 발생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다만 OPEC가 생산량을 줄이게 되면 10월 현재 하루 62만 배럴 수준까지 떨어진 OPEC의 추가 생산여력이 내년에는 하루 200만 배럴 수준으로 회복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OPEC의 추가 생산여력은 2002년 7월에 하루 653만 배럴 수준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내년에도 충분한 생산여력을 확보하기는 어렵겠지만 각종 재해나 지정학적인 리스크에 대한 일정한 완충 능력은 확보될 것으로 보인다. WTI의 경우 지난 10월을 정점으로 완만한 하락기조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 수입 원유의 기준이 되는 두바이유의 경우 내년 평균 배럴당 30~34달러 수준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 다만 내년에도 산유국들의 석유 생산여력이 충분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여 국제석유 시장은 올해와 같이 돌발 사태에 취약한 모습을 보일 것이다.

WTI 40달러, 두바이 34달러 수준 향후 변수로는 OPEC의 감산 정책을 들 수 있다. OPEC도 지나친 고유가는 결국 석유 수요를 억제하고 대체에너지 개발을 촉진하기 때문에 우려하는 입장이지만 WTI의 경우 배럴당 40달러 내외 수준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해 이를 밑돌 경우 감산 움직임을 강화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이란은 핵 문제에 대해 미국의 강경한 대응을 억제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 고유가를 유지해 미국의 모험적인 군사 행동의 코스트를 높이려는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산유국들의 생산여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제2기 부시 정부의 강경한 외교정책에 따라 미국과 이란의 긴장관계가 고조될 경우 국제유가가 크게 요동을 칠 것으로 보인다. 내년 초에 있을 이라크 총선을 계기로 테러가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 이라크나 사우디아라비아 등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유시설 테러는 국제유가를 위협하는 요인이 된다. 물론 테러의 영향은 전쟁이나 혁명과 달리 석유 시설에 대해 중장기적으로 심각한 영향을 주기 어렵겠지만 올 봄과 같이 미국이 이라크에서 시아파와 크게 충돌할 경우 이라크 남부 석유 수출이 차질을 빚게 돼 국제유가의 급등을 가져올 위험이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2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3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4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5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

6미· 중 관세 전쟁 서막...中 “모든 美 수입품 34% 관세 부과

7美 증시 급락에도…월가 전략가 “지금이 매수 기회”

8'탄핵 인용' 90% 예견한 챗GPT... 일명 '지(G) 선생' 근거 살펴보니

9"오바마가 왜 여기서 나와" 벚꽃사진 찍다 생긴 일

실시간 뉴스

1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2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3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4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5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