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문장을 넘어 단락으로

문장을 넘어 단락으로



문장을 기초로 단락(paragraph)을 분석해 보자. 대개 단락이라고 하면 네댓 문장으로 구성된 글의 단위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단락의 핵심은 문장의 수가 아니라 문장들 사이에 흐르는 일관된 생각이다. 앞서 말한 chunk보다는 범위가 넓은 ‘생각의 단위’가 단락이다. 한편의 글이 하나의 주제를 이룬다면 하나의 단락은 소주제를 이룬다. 하나의 단락은 구조적으로 볼 때 대개 Topic Sentence(주제 문장)와 Supporting Details(뒷받침 문장), 그리고 Closing Sentence(맺음 문장)로 구성되며 의미의 흐름으로 볼 때는 기(Introduction) - 승(Development) - 전(Turn) - 결(Conclusion)의 형식을 따른다.



Skimming그런 구성을 머릿속에 그려놓고 글의 핵심을 이루는 주제어들을 찾아 그 틀 안에 집어넣어 보면 이해가 훨씬 쉽고 빠르다. 그 핵심 주제어를 찾을 때 유용한 기법으로 skimming이 있다. 글의 제목과 내용을 대강 훑어보며 납작한 돌로 물수제비를 뜨듯, 하늘을 나는 새가 물고기를 낚아채듯 눈에 띄는 key words를 찾아내 빠르게 주제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그렇게 주제를 파악해 다시 공들여 읽을 만한 내용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다. skimming을 할 때는 잘 모르는 단어나 문장구조의 파악에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정보 단위로 끊어 읽으며 전체적으로 빠르게 훑어내려 가는 습관을 몸에 익혀야 한다. 물론 부단한 노력과 훈련을 요구하지만 제한된 시간 내에 지문을 모두 읽어야 하는 토플·토익·수능 시험 등에도 꼭 필요한 방법이다.

다음은 skimming에서 지켜야 할 몇 가지 원칙이다.



첫째, 제목·사진·발문을 훑어보며 글쓴이의 의도를 추리한다.



둘째, 주어·동사·목적어·보어를 중심으로 읽어 내려가며 육하원칙의 각 요소를 파악한다.



셋째, 부사 등의 수식어, 부연 설명하는 문장, 직책, 숫자, 인용구 등은 과감히 건너뛴다.



넷째, 특히 중문과 복문은 문장구조에 얽매이지 말고 정보 단위로 읽는다.



다섯째, 첫 문장과 마지막 문장은 주제의 핵심 단어가 담겨 있는 경우가 많으니 집중해서 읽는다.



여섯째, ‘for example’ ‘in contrast’ ‘consequently’ 등 글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표지어(discourse marker)에 주목한다.



일곱째, 그렇게 추려낸 키워드로 주제를 추론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다음 단락을 skimming하며 키워드를 찾아 보자. (난이도: 중급)



옥죄는 미군, 버티는 탈레반

AFGHANISTAN FEELS THE SQUEEZE




If Gen. David Petraeus gets his wish, this will be the year of the snake. America’s top officer in Afghanistan recently explained his war plan as the “anaconda strategy,” designed to “squeeze the life” out of the Taliban insurgency. And according to the Pentagon, it’s working already. In Helmand and the Taliban’s home province, Kandahar, the military says, the insurgents’ momentum has been slowed or even reversed by thousands of U.S. reinforcements using get-tough tactics. In fact, another year or two of such victories might conceivably reduce the insurgency in the south to a worrisome but tolerable nuisance.

Vocabulary

•squeeze the life out of …
을 목 졸라 죽이다



•reinforcement 원군, 지원부대



•get-tough 강경한, 단호한



Clues 미군 병력을 증강해 강경진압 전술을 채택하면서 반군 기세가 둔화되거나 크게 꺾였다.



Tips

제목:
squeeze는 ‘압박하다, 쥐어짜다’는 뜻인데 여기서는 명사로 ‘압박’이라는 의미로 쓰였다. 따라서 제목 Afghanistan Feels the Squeeze는 ‘아프가니스탄이 압박을 느끼다’가 된다. 하지만 이 제목만으로는 압박하는 주체가 누구인지 확실하지 않다. 본문에서 squeeze란 단어를 얼른 찾아보면 ‘탈레반 반군의 숨통을 조여 죽인다(squeeze the life out of the Taliban insurgency)’는 내용이 있다. 이를 보면 미군이 탈레반을 압박한다는 의미인 듯하다.



주제: ‘배경설정 + 부연설명 + 결론’의 형태인데 배경지식이 없으면 기존의 skimming 방식으로는 주제를 찾아내기가 쉽지 않다. 우선 첫 문장은 기사의 전개방향을 알려주는 배경설정(setting)이지만 새로운 정보를 주기보다는 더 많은 의문을 불러일으킨다. 데이비드 페트레이어스 장군이 누구이며 올해가 왜 뱀의 해가 될까? 바로 다음 문장에서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 최고사령관(America’s top officer in Afghanistan)’인 페트레이어스 장군이 자신의 전쟁 구상을 지칭하며 탈레반 반군의 숨통을 조여 죽이는(“squeeze the life”) ‘아나콘다 전략’이라 말했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그 방법이 주효해 탈레반 근거지 칸다하르에서 미군의 강압전술로 반군의 기세가 둔화되거나 꺾였다(the insurgents’ momentum has been slowed or even reversed)’고 덧붙였다. 따라서 ‘이런 승리가 1~2년 더 이어지면 남부의 반군세력이 크게 줄어든다(reduce the insurgency in the south to a worrisome but tolerable nuisance)’는 결론이다.



분석: 둘째 문장의 ‘America’s top officer in Afghanistan’은 첫 문장의 ‘Gen. David Petraeus’를 설명하는 어구다. 여러 차례 설명한 대로 한 문장에 모든 정보를 담지 않고, 같은 표현을 반복하지 않는 영어 특유의 표현법이다. 하지만 ‘페트레이어스 장군이 뭐 하는 사람이지?’ 하는 의문을 품지 않고 눈으로만 읽으면 둘째 문장의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 최고사령관’이 같은 사람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넘어가기 쉽다. 한편 둘째 문장에선 “anaconda strategy”와 “squeeze the life”를 따옴표로 감쌌다. 영어에서 따옴표는 주로 인용할 때와 강조할 때 쓰인다. 여기서는 페트레이어스 장군의 말을 인용했다는 의미 외에 두 표현의 연관성을 강조하려는 목적도 있다. ‘아나콘다’가 거대한 몸통으로 먹이를 ‘친친 감아 질식시키는(squeeze the life)’ 모습을 연상시키려는 의도다.



Chunking 이번에는 순차적으로 각 문장의 의미를 파악해 보면서 추론이 맞는지 확인하자.



1 If Gen. David Petraeus gets his wish, / this will be the year of the snake. 데이비드 페트레이어스 장군의 소망이 이뤄진다면 → 어떤 결과가 생기나? → 올해는 뱀의 해가 된다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주둔군 최고 사령관이 → 어떻게 했나? → 최근 자신의 전쟁 구상을 설명했다 → 무엇이라고 설명했나?→ ‘아나콘다 전략’이라고 → 전략의 취지가 뭔가? → “숨통을 조여 죽이려는” 취지다 → 누구의 숨통을 조이나? → 탈레반 반군세력



3 And according to the Pentagon, / it’s working already. 그리고 미국 국방부에 따르면 → 무엇이 어떤가? → 그 전략이 이미 먹혀든다



4 In Helmand and the Taliban’s home province, Kandahar, / the military says, / the insurgents’ momentum / has been slowed or even reversed / by thousands of U.S. reinforcements / using get-tough tactics.헬만드와 탈레반의 본거지 지역 칸다하르에서 → 누가 하는 말인가? → 미군 측이 말하기를 → 무엇에 관해 말했나? → 반군의 기세 → 그게 어떻게 됐나? → 둔화되거나 심지어 꺾였다 → 누구에 의해서? → 미군 증원군 수천 명에 의해 → 그들이 어떻게 했나? → 강경진압 전술을 구사했다



5 In fact, / another year or two of such victories / might conceivably reduce / the insurgency in the south / to a worrisome but tolerable nuisance.요컨대 → 무엇이 어떻게 되나? → 그런 승리가 1~2년 더 계속되면 → 어떤 일이 생기나? →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 무엇이 줄어드나? → 남부의 저항이 → 어느 정도 줄어드나? → 걱정스럽지만 참아줄 만한 골칫거리 수준으로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3자녀 이상이면 정년 후 재고용"...삼성전자 노사, 단체협약 잠정 합의

2제시, '팬 폭행 방관 논란' 후 근황... 마닐라서 파격 의상

3CJ올리브영, 방한 관광객 겨냥 ‘다국어 퍼스널 쇼퍼’ 시범 서비스

4'♥김다예' 박수홍, '딸 바보' 될 수밖에 없겠네…"이미 완성형"

5DL이앤씨, 3993억원 규모 ‘연희2구역 공공재개발’ 시공사 선정

6무쏘 신화 이어간다…KGM 안전성 보강한 ‘무쏘 EV’ 사전 계약 개시

7거주자외화예금 21억4000만 달러↑...2개월 연속 증가

8 리플 낙폭 늘려 4% 이상 급락…2.44달러까지 추락

9이창용, ‘BIS 총재회의’ 참석차 남아공行…25일 금통위 직후 출국

실시간 뉴스

1"3자녀 이상이면 정년 후 재고용"...삼성전자 노사, 단체협약 잠정 합의

2제시, '팬 폭행 방관 논란' 후 근황... 마닐라서 파격 의상

3CJ올리브영, 방한 관광객 겨냥 ‘다국어 퍼스널 쇼퍼’ 시범 서비스

4'♥김다예' 박수홍, '딸 바보' 될 수밖에 없겠네…"이미 완성형"

5DL이앤씨, 3993억원 규모 ‘연희2구역 공공재개발’ 시공사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