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3주 전에 샀으면 10만원 올랐는데'...금 가격 어디까지 치솟나

생성형 이미지(미드저니)

최근 3주 만에 금값이 10만원 이상 오른 가운데, 서울 종로구 귀금속가게에서는 투자와 예물 구매를 둘러싼 뜨거운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금을 보유하면 가치가 오른다는 기대감에 소비자와 투자자가 몰리면서, 현장에서는 “지금 사야 해요”라는 판매원의 외침이 쏟아지고 있다.

국제 금 현물과 선물 가격은 최근 온스당 2950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 8주간 12% 이상 상승한 금 선물은 1년 전 대비 약 44% 상승하며, 같은 기간 주식시장의 대표 지수인 나스닥(약 22% 상승)을 앞지르는 성과를 보였다. 이와 같이 글로벌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인 금에 몰리면서 전 세계적으로 ‘골드 러쉬’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금 가격은 빠르게 치솟고 있다. 대표적 사설 금현물거래소인 한국금거래소에서는 1돈(3.75g) 순금의 매입가가 60만3000원을 기록하며 사상 처음 60만원대를 돌파했다. 1년 전 중반 30만원 수준이던 가격이 단기간에 45% 이상 상승한 것이다. 이처럼 국제 가격보다 20% 이상 높은 ‘김치 프리미엄’ 현상은 국내 투자 수요가 급증한 데 반해 공급이 부족해진 결과로 풀이된다.

한편, 종로구의 여러 금은방에서는 1돈, 2돈 금뭉치는 이미 매진되고 3돈짜리만 남아 있는 등 물량 부족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골드바 역시 조폐공사의 공급 중단과 은행권의 재고 축소로 시중에서 찾기 어려워진 상황이다.

현장에서 소비자들은 금값 상승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인다. 예물을 준비하던 한 부부는 높은 가격에 망설임을 보였으나, 일부 소비자는 “착용만 해도 가치가 오르니 장기적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또한, TV홈쇼핑 채널에서는 24K 순금 목걸이, 팔찌, 반지 등 금 액세서리의 매출이 급증하며, 주문 기준 수억원대의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그러나 금융투자업계 전문가들은 금 투자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KRX 금현물시장에서 국내 금은 가격이 연속 하락하는 모습이 나타난 가운데, “김치 프리미엄이 해소되기 전까지는 금 선물 ETF를 통한 투자 전략이 유리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 금은방 점원은 “1년 동안 너무 올라 앞으로도 1배 정도 더 오를 것으로 보인다”며, 현 시점에서 금은 팔아야 할 타이밍이라는 의견도 있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과 지정학적 위협 등 글로벌 불안 요인이 금 수요를 견인한 반면,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은 금 투자 매력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즉, 인플레이션 우려가 금리 인상으로 이어지면 이자가 발생하지 않는 자산인 금의 매력은 다소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홈플러스, 온라인 매출 1조5000억 돌파…전체 매출의 20%

2정용진 선배의 ‘찐조언’ 신입사원 마음 녹였다

3이지아 "친일 후손으로서"…350억 법적 공방, 선 그었다

4서울시, 옛 남부교도소 부지에 '서울창업허브 구로' 조성한다

5'삐끼삐끼' 이주은, 4억 벌었는데… 원곡자 토니안은 '고작'

6홍준표 "대선 열리면 시장직 사퇴"

7“저출생 극복” 정진완 우리은행장, 릴레이 챌린지 동참

8LH, 올해 19조 규모 공사·용역 신규 발주 추진한다

9토스플레이스, 출시 2년 만에 가맹점 수 10만개 돌파

실시간 뉴스

1홈플러스, 온라인 매출 1조5000억 돌파…전체 매출의 20%

2정용진 선배의 ‘찐조언’ 신입사원 마음 녹였다

3이지아 "친일 후손으로서"…350억 법적 공방, 선 그었다

4서울시, 옛 남부교도소 부지에 '서울창업허브 구로' 조성한다

5'삐끼삐끼' 이주은, 4억 벌었는데… 원곡자 토니안은 '고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