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3주 전에 샀으면 10만원 올랐는데'...금 가격 어디까지 치솟나

생성형 이미지(미드저니)

최근 3주 만에 금값이 10만원 이상 오른 가운데, 서울 종로구 귀금속가게에서는 투자와 예물 구매를 둘러싼 뜨거운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금을 보유하면 가치가 오른다는 기대감에 소비자와 투자자가 몰리면서, 현장에서는 “지금 사야 해요”라는 판매원의 외침이 쏟아지고 있다.

국제 금 현물과 선물 가격은 최근 온스당 2950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 8주간 12% 이상 상승한 금 선물은 1년 전 대비 약 44% 상승하며, 같은 기간 주식시장의 대표 지수인 나스닥(약 22% 상승)을 앞지르는 성과를 보였다. 이와 같이 글로벌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인 금에 몰리면서 전 세계적으로 ‘골드 러쉬’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금 가격은 빠르게 치솟고 있다. 대표적 사설 금현물거래소인 한국금거래소에서는 1돈(3.75g) 순금의 매입가가 60만3000원을 기록하며 사상 처음 60만원대를 돌파했다. 1년 전 중반 30만원 수준이던 가격이 단기간에 45% 이상 상승한 것이다. 이처럼 국제 가격보다 20% 이상 높은 ‘김치 프리미엄’ 현상은 국내 투자 수요가 급증한 데 반해 공급이 부족해진 결과로 풀이된다.

한편, 종로구의 여러 금은방에서는 1돈, 2돈 금뭉치는 이미 매진되고 3돈짜리만 남아 있는 등 물량 부족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골드바 역시 조폐공사의 공급 중단과 은행권의 재고 축소로 시중에서 찾기 어려워진 상황이다.

현장에서 소비자들은 금값 상승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인다. 예물을 준비하던 한 부부는 높은 가격에 망설임을 보였으나, 일부 소비자는 “착용만 해도 가치가 오르니 장기적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또한, TV홈쇼핑 채널에서는 24K 순금 목걸이, 팔찌, 반지 등 금 액세서리의 매출이 급증하며, 주문 기준 수억원대의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그러나 금융투자업계 전문가들은 금 투자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KRX 금현물시장에서 국내 금은 가격이 연속 하락하는 모습이 나타난 가운데, “김치 프리미엄이 해소되기 전까지는 금 선물 ETF를 통한 투자 전략이 유리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 금은방 점원은 “1년 동안 너무 올라 앞으로도 1배 정도 더 오를 것으로 보인다”며, 현 시점에서 금은 팔아야 할 타이밍이라는 의견도 있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과 지정학적 위협 등 글로벌 불안 요인이 금 수요를 견인한 반면,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은 금 투자 매력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즉, 인플레이션 우려가 금리 인상으로 이어지면 이자가 발생하지 않는 자산인 금의 매력은 다소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진로와 새로, 이제 우리도 효자'...주류업체 메인 넘보는 서브 브랜드의 반란

2“교육은 종합예술과 비슷” 기술·트렌드 모두 잡는다

3‘오사카·간사이 엑스포’ 키워드는 ‘친환경’…입장권 판매 여전히 저조

4 미증시 급락에 암호화폐 반등, 리플 4% 올라

52017년 영화 '리얼'의 OTT 순위권 진입?...김수현, 논란에 또 논란

6미국만 잘 살겠다는 트럼프발 관세전쟁

7파푸아뉴기니 뉴브리튼섬 인근 규모 7.2 지진

8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9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실시간 뉴스

1'진로와 새로, 이제 우리도 효자'...주류업체 메인 넘보는 서브 브랜드의 반란

2“교육은 종합예술과 비슷” 기술·트렌드 모두 잡는다

3‘오사카·간사이 엑스포’ 키워드는 ‘친환경’…입장권 판매 여전히 저조

4 미증시 급락에 암호화폐 반등, 리플 4% 올라

52017년 영화 '리얼'의 OTT 순위권 진입?...김수현, 논란에 또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