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을 넘어 단락으로
문장을 넘어 단락으로
문장을 기초로 단락(paragraph)을 분석해 보자. 대개 단락이라고 하면 네댓 문장으로 구성된 글의 단위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단락의 핵심은 문장의 수가 아니라 문장들 사이에 흐르는 일관된 생각이다. 앞서 말한 chunk보다는 범위가 넓은 ‘생각의 단위’가 단락이다. 한편의 글이 하나의 주제를 이룬다면 하나의 단락은 소주제를 이룬다. 하나의 단락은 구조적으로 볼 때 대개 Topic Sentence(주제 문장)와 Supporting Details(뒷받침 문장), 그리고 Closing Sentence(맺음 문장)로 구성되며 의미의 흐름으로 볼 때는 기(Introduction) - 승(Development) - 전(Turn) - 결(Conclusion)의 형식을 따른다.
Skimming그런 구성을 머릿속에 그려놓고 글의 핵심을 이루는 주제어들을 찾아 그 틀 안에 집어넣어 보면 이해가 훨씬 쉽고 빠르다. 그 핵심 주제어를 찾을 때 유용한 기법으로 skimming이 있다. 글의 제목과 내용을 대강 훑어보며 납작한 돌로 물수제비를 뜨듯, 하늘을 나는 새가 물고기를 낚아채듯 눈에 띄는 key words를 찾아내 빠르게 주제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그렇게 주제를 파악해 다시 공들여 읽을 만한 내용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다. skimming을 할 때는 잘 모르는 단어나 문장구조의 파악에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정보 단위로 끊어 읽으며 전체적으로 빠르게 훑어내려 가는 습관을 몸에 익혀야 한다. 물론 부단한 노력과 훈련을 요구하지만 제한된 시간 내에 지문을 모두 읽어야 하는 토플·토익·수능 시험 등에도 꼭 필요한 방법이다.
다음은 skimming에서 지켜야 할 몇 가지 원칙이다.
첫째, 제목·사진·발문을 훑어보며 글쓴이의 의도를 추리한다.
둘째, 주어·동사·목적어·보어를 중심으로 읽어 내려가며 육하원칙의 각 요소를 파악한다.
셋째, 부사 등의 수식어, 부연 설명하는 문장, 직책, 숫자, 인용구 등은 과감히 건너뛴다.
넷째, 문장구조에 얽매이지 말고 정보 단위로 읽는다.
다섯째, 첫 문장과 마지막 문장은 주제의 핵심 단어가 담겨 있는 경우가 많으니 집중해서 읽는다.
여섯째, ‘for example’ ‘in contrast’ ‘consequently’ 등 글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표지어(discourse marker)에 주목한다.
일곱째, 그렇게 추려낸 키워드로 주제를 추론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제 뉴스위크 기사에 skimming 기법을 적용해 보자. (난이도: 초급)
녹색 에너지론의 한계
DONE WITH THE WIND
By unleashing human ingenuity, the world can solve its energy woes. Wind power won’t do it.
STEP 1 제목을 보고 어떤 내용일지 미리 생각해 보자.
영화 제목 ‘Gone with the wind(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를 차용한 어구임이 한눈에 드러난다. done with는 ‘끝났다’는 뜻이다. 가령 I’m done with my work는 ‘일을 끝냈다’는 뜻이지만 I’m done with you는 ‘너와의 관계는 이제 끝났다’는 의미다. 그렇다면 ‘바람과의 관계는 끝났다’는 무슨 뜻일까? 그 답은 바로 부제에 있다. 부제는 ‘인간의 창의성으로 에너지 문제를 풀어야지 풍력으로는 안 된다’는 뜻이다. 녹색 에너지론의 허구성을 파헤치는 글인 듯하다. 여기에는 두 단락만 소개했지만 이 글은 한 쪽짜리 칼럼이다. 잡지에는 항목분류(rubric), 제목, 부제, 필자소개, 사진이 함께 실렸다. 본문을 읽기 전에 이런 보조자료를 훑어보면 주제를 추론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이는 skimming의 첫째 원칙이기도 하다.
STEP 2 단락을 빠르게 훑어보며 그와 관련된 키워드를 찾아보자.
To power the future, many commentators today exhort us to buy lots of “green energy”—chiefly solar panels and wind turbines. They claim this is a way to avoid running out of fossil fuel, to create “green jobs” and greater energy security, and to respond to global warming. However, these arguments mostly fail on closer inspection. We have long been fearful of our energy supply running out. In 1865, popular opinion held that Britain’s coal reserves would soon become exhausted.
Keywords green energy(녹색 에너지), running out of fossil fuel(화석연료의 고갈), green jobs(녹색 일자리), greater energy security(에너지 수급안정 확대), global warming(지구 온난화), fail on closer inspection(자세히 살펴보면 허구임이 드러난다).
누가: 많은 논객들이
무엇을: ‘녹색 에너지’의 비중을
어떻게: 높이라고 권한다
왜: 화석연료 고갈을 피하고, 녹색 일자리를 창출하고, 에너지 안정을 확대하고, 지구온난화에 대처하기 위해
STEP 3 Skimming 기법을 적용해 주제를 찾아 보자.
① To power the future, many commentators today exhort us to buy lots of “green energy”—chiefly solar panels and wind turbines. They claim this is a way to avoid running out of fossil fuel, to create “green jobs” and greater energy security, and to respond to global warming. ② However, these arguments mostly fail on closer inspection. We have long been fearful of our energy supply running out. In 1865, popular opinion held that Britain’s coal reserves would soon become exhausted.
① “오늘날 많은 논객이 미래의 에너지원을 확보하려면 ‘녹색 에너지’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권유한다. 그들은 그래야 화석연료 고갈을 피하고 ‘녹색 일자리’를 창출하고 에너지 안정을 확대하면서 지구온난화에 대비한다고 주장한다.”
픽션 이외의 글은 흔히 새로운 정보나 관점을 전달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그런 글의 가장 일반적인 패턴은 구정보로 먼저 배경을 설정한 다음 신정보를 꺼내놓으며 반전 효과를 노리는 식이다. 쉽게 풀어 말하면 “다들 A(구 정보)라고 하는데 말이야, 하지만 그게 아니고 B(신정보)야”라는 패턴이다. 여기에도 그런 패턴을 시사하는 장치가 여럿 있다. 우선 첫 문장에서 many commentators(많은 논객)가 하는 말은 그 자체로 이미 알려진 구 정보라는 의미다. 이는 십중팔구 ‘하지만 다른 새로운 관점도 있다’는 말을 꺼내기 위한 사전포석이다. 둘째는 따옴표(“ ”). 인용부호는 어느 한쪽의 주장이나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은 또는 검증되지 이론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는 “그들은 ‘녹색 에너지’에 ‘녹색 일자리’라고 주장하지만”이라는 뉘앙스가 담긴 듯하다. 마지막으로 둘째 문장의 동사 claim. 누군가 주장한다는 말은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사실이 아니라는 뜻이다. 또한 어느 한쪽의 일방적인 생각이며 반대 입장도 있다는 의미다. 이를 종합해 볼 때 ‘하지만’에 해당하는 역접 접속사를 찾으면 필자가 강조하려는 신 정보가 나올 법하다.
②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이런 주장들의 허구성이 여실히 드러난다.”
역접 접속사 however 뒤에 필자가 강조하는 주제가 등장했다. ‘다들 녹색 에너지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잘 들여다보면 허점이 드러난다’는 요지다. on closer inspection이라는 어구를 좀 더 쉽게 풀어 쓰면 when you inspect them more closely(더 꼼꼼히 들여다볼 때)가 된다. 하지만 왜 허구인지에 관한 설명은 다음 단락으로 넘겼다. 이 글의 필자는 과학자다. 그래선지 글이 꾸밈이 없고 직설적이다. 처음부터 거두절미하고 본론으로 들어간다. 어휘나 문장도 쉽고 간결하다. 영어에 얽매이지 말고 필자의 생각을 따라가 보자.
Inference 주제를 추론해 보자.
다수가 미래 에너지원을 확보하려면 녹색 에너지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잘 들여다보면 그런 주장의 허구성이 드러난다.
STEP 4 Context Clues 사전을 찾기 전에 문맥에서 단어의 의미를 파악해 보자.
1 exhort 많은 논객이 우리에게 ‘녹색 에너지’의 비중을 높이라고 exhort한다. 그들은 그것이 화석연료의 고갈을 피하는 방법이라고 주장한다. exhort는 넓게는 ‘말하는’ 것이겠지만 단순히 메시지 전달이 아니라 어떤 주장을 펼치며 그것을 사용하라고 우리를 설득한다는 의미다
→ 권고하다, 장려하다
2 run out 논객들은 그것이 화석연료의 running out을 피하는 한 방법이라고 주장한다. 우리는 오랫동안 에너지 공급이 running out하는 것을 두려워했다. 1865년 사람들은 영국의 석탄 매장량이 곧 exhausted 된다고 믿었다. 사람들이 화석연료, 에너지 공급과 관련해 두려워하는 일은 증가라기보다 감소다. 또 마지막 문장에서 석탄 매장량이 become exhausted(소진된다)는 부분은 문맥상 run out과 같은 뜻이다.
→ 다 써버리다, 바닥나다
3 energy security 흔히 에너지 안보라고 번역된다. 아마 national security가 ‘국가안보’로 옮겨지는 데 따른 듯하다. 국가안보, 즉 국가 안전보장은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국가의 안전을 지킨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우리말 ‘에너지 안보’는 에너지를 외부에 빼앗기지 않고 안전하게 지킨다는 의미로 읽힌다. 넓게는 그런 의미도 포함되지만 energy security는 기본적으로는 에너지 공급의 안정(the stability of a country’s supply of energy)을 뜻한다.
→ 에너지 수급 안정
STEP 5 Chunking 순차적으로 각 문장의 의미를 파악해 보면서 추론이 맞는지 확인해 보자.
1 To power the future, / many commentators today exhort us / to buy lots of “green energy” / —chiefly solar panels and wind turbines. 미래 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해 → 어떻게 하나? → 오늘날 많은 논객들은 우리에게 권장한다 → 무엇을? → ‘녹색 에너지’의 다량 구입을 → 어떤 녹색 에너지? → 주로 태양전지판과 풍력 터빈
2 They claim this is a way / to avoid running out of fossil fuel, / to create “green jobs” and greater energy security, / and to respond to global warming. 그들은 이것이 한 방편이라고 주장한다 → 무엇을 위한? → 화석연료 고갈을 피하기 위한 → 그리고? → ‘녹색 일자리’를 만들고 에너지 안정을 확대하고 → 그리고? → 지구온난화에 대처하기 위한
3 However, these arguments mostly fail / on closer inspection. 그러나 이런 주장은 대부분 타당성이 결여된다 → 어떻게 하면? → 주의 깊게 살펴보면
4 We have long been fearful / of our energy supply running out. 우리는 오래 두려워했다 → 무엇을? → 우리에게 공급되는 에너지가 바닥나는 것을
5 In 1865, popular opinion held / that Britain’s coal reserves would / soon become exhausted.1865년 여론은 주장했다 → 무엇을? → 영국의 석유 매장량이 → 어떻게 되나? → 곧 소진된다는 것을
STEP 1 이번에는 앞 단락과 같은 요령으로 단락을 빠르게 훑어보며 스스로 키워드와 주제를 찾아보자. 하지만 skimming을 하기 전에 미리 지금까지 얻은 정보와 의문점을 머릿속에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어떤 정보를 찾아야 할지 뚜렷한 목표의식을 가져야 한다.
The doomsayers underestimated human ingenuity. They could not envisage that there would be a fruitful search for more effective ways to extract, use, and transport coal and to find other energy sources. The ingenuity continues: recently, massive amounts of natural gas were discovered within shale rock across Western nations, and innovations were made in extraction techniques. The International Energy Agency now estimates there is enough gas for more than 250 years.
Inference 그런 비관론자들은 인간의 독창성을 과소평가했다. 그들은 석탄을 채취·사용·운송하고 다른 에너지원을 찾는 더 발전적인 모색이 있으리라고 예상하지 못했다.
첫 문장에서 인간의 독창성이 열쇠임을 강조한다. 그리고 인간이 창의성을 발휘해 어떤 성과를 올렸으며 지금까지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설명한다. 앞의 두 단락만 놓고 볼 때 ‘전문가들은 녹색 에너지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그들은 인간의 독창성을 간과했다. 사람들은 독창성을 발휘해 기존 에너지의 채취와 활용 방법을 혁신적으로 발전시켰다’는 요지다. 다음에는 녹색 에너지 주장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녹색 에너지가 아니라면 창의성을 어떤 방향으로 발휘해야 할지를 논할 듯하다.
STEP 2 Context Clues 문맥에서 생소한 단어의 의미를 찾아내 보자.
1 doomsayer ‘그 doomsayer들은 인간의 창의성을 과소평가했다.’ 그들이 무엇을 말했나? ‘1865년 영국의 석탄 매장량이 곧 고갈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그들은 인간의 창의적인 면을 미처 보지 못했고 더 효과적인 채취방법이나 다른 에너지원의 모색이 있으리라고 예상하지 못했다.’ 그렇다면 그들은 부정적인 면만 본 셈이다
→ 재앙을 예언하는 사람, 비관론자
2 ingenuity ‘비관론자들은 인간의 ingenuity를 과소평가했다. 그들은 영국의 석탄 매장량이 곧 고갈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사람들은 더 효과적인 채취방법과 다른 에너지원을 모색했다. 최근에는 에너지 채취방법의 혁신까지 이뤘다.’ 없던 것을 만들어내는 사고를 가리키는 듯. 문맥상 innovation이 가깝다.
→ 창조력, 독창성
3 envisage ‘비관론자들은 더 효과적인 채취방법과 다른 에너지원의 모색이 있으리라는 걸 envisage하지 못했다.’ 비관론자는 앞날을 비관하는 사람이다. 그들은 앞날에 발전적인 일이 있으리라는 걸 예상하지 못한다.
→ 마음에 그리다, 예측하다
4 extraction ‘extraction 기술에서 혁신적인 발전이 이뤄졌다, 석탄을 extract하고 사용하고 운송하는 더 효과적인 방법의 발전적인 모색이 있으리라는 사실’. 사용하고 운송하기 이전의 첫 단계는 채취가 된다.
→ 추출, 채취

STEP 3 Chunking 순차적으로 각 문장의
의미를 파악하면서 추론이 맞는지 확인해 보자.
1 The doomsayers underestimated / human ingenuity. 비관론자들은 과소평가했다 → 무엇을? → 인간의 독창성을
2 They could not envisage / that there would be a fruitful search / for more effective ways / to extract, use, and transport coal / and to find other energy sources. 그들은 예상하지 못했다 → 무엇을? → 생산적인 모색이 있으리라는 것을 → 무엇을 모색하나? → 더 효과적인 방법을 → 무엇을 위한? → 석탄의 채굴 등을 위한 → 그리고? → 다른 에너지원의 탐색을 위한
3 The ingenuity continues: / recently, massive amounts of natural gas / were discovered within shale rock across Western nations, / and innovations were made in extraction techniques. 창의성은 계속된다 → 어떻게? → 최근 대량의 천연가스가 → 어떻게 됐나? → 서방국가를 가로지르는 혈암층 내부에서 발견됐다 → 그리고? → 채취기법의 혁신적인 발전이 이뤄졌다
4 The International Energy Agency now estimates / there is enough gas for more than 250 years.국제에너지기구는 현재 추산한다 → 뭐라고? → 250년 이상 사용할 만큼 충분한 가스가 있다고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3자녀 이상이면 정년 후 재고용"...삼성전자 노사, 단체협약 잠정 합의
2제시, '팬 폭행 방관 논란' 후 근황... 마닐라서 파격 의상
3CJ올리브영, 방한 관광객 겨냥 ‘다국어 퍼스널 쇼퍼’ 시범 서비스
4'♥김다예' 박수홍, '딸 바보' 될 수밖에 없겠네…"이미 완성형"
5DL이앤씨, 3993억원 규모 ‘연희2구역 공공재개발’ 시공사 선정
6무쏘 신화 이어간다…KGM 안전성 보강한 ‘무쏘 EV’ 사전 계약 개시
7거주자외화예금 21억4000만 달러↑...2개월 연속 증가
8 리플 낙폭 늘려 4% 이상 급락…2.44달러까지 추락
9이창용, ‘BIS 총재회의’ 참석차 남아공行…25일 금통위 직후 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