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모직과 삼성그룹의 미래&바이오] 바이오·레저 사업 성장성 주목
[제일모직과 삼성그룹의 미래&바이오] 바이오·레저 사업 성장성 주목


삼성물산과 합병에 성공하면 제일모직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지분 51.2%를 보유한 최대주주에 올라선다. 또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지분 90.3%를 보유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인천 송도 3만L 규모의 공장(1공장)을 가동 중이고, 15만L 규모의 공장(2공장) 역시 4월에 완공해 가동을 앞두고 있다. 이는 스위스 론자(24만L), 독일 베링거인겔하임(22만L)에 이은 세계 3위 규모의 생산능력이다.
바이오의약품 생산 사업은 대규모 투자가 선행되는 만큼 투자비 회수를 위한 안정적 수주물량 확보가 중요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최근 글로벌 제약사인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로슈 등의 회사와 위탁생산 계약을 했다. 1공장은 내년부터 풀가동이 가능하다. 2017년부터 본격 가동되는 2공장 역시 상당량의 수주물량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 기세를 몰아 3공장 건설을 추진하려는 움직임도 보인다.
바이오시밀러 분야에선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순항 중이다. 프로젝트 별로 2000억원 이상이 필요한 바이오시밀러 프로젝트 여러 개를 동시에 진행 중이다. 일부 의약품의 경우 임상이 진행 중이며 제품화 단계를 앞두고 있다. 바이오의약품 생산 사업과 바이오시밀러 사업의 성과가 가시화 될 날이 멀지 않았다는 뜻이다. 삼성그룹의 신수종 사업인 바이오가 반도체 신화를 재현하는 것도 예상할 수 있다.
레저산업도 제일모직의 숨겨진 가치 중 하나다. 이미 국내 최고 시설을 자랑하는 테마파크 에버랜드와 워터파크 캐리비안베이를 운영하고 있다. 안양컨트리클럽·가평베네스트·레이크사이드 등의 골프장 162홀도 운영 중이다. 여기에 추가로 에버랜드 근처의 400만평 부지를 개발해 레저 및 휴양을 즐길 수 있는 체류형 복합테마파크 건설 계획이 있다. 에버랜드의 약점으로 지적된 숙박 시설의 부재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쇼핑과 영화, 캠핑과 자연을 즐길 수 있는 공간까지 마련한다. 기존의 시설과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2025년까지 8000억원 규모의 자금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러한 미래가치가 반영된다면 제일모직의 주가 또한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될 수 있다. 현재 제일모직의 주가는 18만1000원(7월 1일 종가기준)인데 목표주가로 30만원을 제시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의 스테이블코인 도입, 은행들이 선도한다
2KGM, ‘2025년 파트너스 데이’ 개최…미래 전략과 동반 성장 비전 제시
3창고43, ‘프리미엄 한우 다이닝’ 정체성 담은 신규 BI 공개
4정상적인 면역기능 돕는 조아제약 '면역칸에스'…하루 1앰플로 간편하게
5글로벌 완성차 전쟁터 ‘서울’...각양각색 브랜드 철학 총집합
6서울에서 펼쳐진 ‘모빌리티 미래’...현대차그룹이 주도하는 ‘패러다임’
7“봄엔 솔로탈출 기원” 국민‧하나‧우리 ‘은행판 나는 솔로’ 개최 사연은?
8“더 내려갈 수 있는 거였어?” …또 2500 깨진 코스피에 ‘망연자실’
9'지브리' 챗GPT에 日 애니 감독 ‘분노 폭발’…”지브리 더럽히지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