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SPECIAL EDITION 13th (1) 배우 황정민

SPECIAL EDITION 13th (1) 배우 황정민

1999년 최고 흥행영화 <쉬리> 의 단역배우가 이제는 한국 영화를 이끄는 최고 흥행배우가 됐다.
황정민은 연기의 스펙트럼이 한층 넓어지면서 남녀노소의 더 많은 관객과 만나게 되었다.
2016년 현재 ‘한국 최고의 흥행 배우’는 단연 황정민(46)이다. 지금 추세라면 <검사외전> 도 전국 관객 1,000만 명을 넘길 듯한데, 그렇게 된다면 그는 놀라운 기록의 소유자가 된다. 2014년 <국제시장> , 2015년 <베테랑> 에 이어 2016년 <검사외전> 까지 3년 연속 ‘천만 영화’의 주인공이 되는 것이다. 아무리 ‘천만 영화’가 흔해졌다고 해도 이런 흥행력은 쉽지 않다. 황정민은 언제부터 이런 ‘수퍼파워’를 지니게 된 것일까? 어쩌면 최근 몇 년의 모습은 빙산의 일각일 것이며, 여기엔 물에 잠겨 있는 긴 단련의 시간이 있었을 것이다.

황정민이라는 배우의 가장 큰 미덕은 ‘다산성’이다. 1999년 <쉬리> 의 단역으로 영화계에 데뷔한 후 <검사외전> 까지 그는 30편의 영화에 출연했다. 올해 나홍진 감독의 <곡성> 과 김성수 감독의 <아수라> 가 개봉 예정이니, 그는 15년 이상 매년 두 편씩 영화를 찍은 셈이다. 정재영이나 설경구처럼, 황정민은 쉬지 않고 일하는 전형적인 ‘워크호스’(workhorse) 스타일의 연기자이며 내구성 좋은 ‘아이언 맨’ 같은 배우다. 최근 그가 거두고 있는 성과는 공력의 세월이 빚은 결과이기에 티켓 파워가 한 동안 더 유지되지 않을까 싶다.

황정민은 천천히 움직이는 배우였다. 데뷔 후 <와이키키 브라더스> (2001)로 좀 더 얼굴을 알렸고, <로드 무비> (2002)로 청룡영화제 신인상을 수상했으며, <바람난 가족> (2003)의 ‘쿨’한 연기로 첫 흥행을 견인하며 존재감을 드러냈지만, 그는 2005년이 되어서야 제대로 자신의 캐릭터를 지니게 된다. 두 편의 영화가 주목할 만하다. 먼저 <달콤한 인생> (2005)이다. 조커처럼 입 주변에 칼자국이 있는, 비열한 표정으로 “인생은 고통”이라고 말하는 조폭 백 사장은 이후 황정민이 변주하는 터프한 캐릭터의 시작이다. 그리고 같은 해 <너는 내 운명> (2005)이 나온다. 한 여자를 운명으로 여기고 죽을 것처럼 사랑하는 석중이라는 남자. 백 사장의 정반대 지점에 있는 순정남이다. 극단적으로 다른 이 두 캐릭터는 이후 그의 필모그래피에서 날줄과 씨줄이 되는데, <신세계> (2013)의 정청이 백 사장의 후예라면 <국제시장> 의 덕수는 석중의 형제 같은 인물이다.

 3년 연속 ‘천만 영화’의 주인공
흥미로운 건, 그 무게중심이 서서히 전자에서 후자로 이동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 동안 그가 흥행을 일군 캐릭터들이, 형사로 등장했던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 (2005), <사생결단> (2006), <부당거래> (2010)나 탐정으로 나온 <그림자 살인> (2009)처럼 거친 남성성을 기반으로 했다면, 2012년 <댄싱 퀸> 을 기점으로 그 성격이 조금씩 바뀌기 시작한다. 그는 순박한 정치 지망생으로 등장하는데, 극중 이름 역시 ‘황정민’이라는 건 상징적이다. <댄싱 퀸> 은 황정민이 캐릭터에 배우 자신의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투영하기 시작한, 즉 대중과의 거리를 대폭 좁힌 본격적인 첫 영화다. 이전의 황정민이 ‘개성 있는 배우’였다면, <댄싱 퀸> 이후 그는 ‘공감 주는 배우’가 되었다.

 ‘우직함’ 주는 캐릭터에서 ‘멀티’한 배우로
그러면서 그는 <너는 내 운명> 이후 접어두었던 신파의 세계로 다시 걸어 들어가고, 그의 캐릭터가 지닌 ‘우직함’은 황정민이라는 배우를 정의하며 동시에 관객을 이끄는 강력한 이미지가 된다. <댄싱 퀸> 이후 그의 행보를 보자. 인권 변호사 출신으로 오로지 서민을 위한 정치를 이야기하는 시장 후보였던 그는, <신세계> 에선 언더커버로 조직에 잠입한 경찰을 ‘브라더’라며 형제애로 대한다. <전설의 주먹> (2013)에선 딸을 위해, <남자가 사랑할 때> (2013)에선 연인을 위해, <국제시장> 에선 가족을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치며 헌신한다. <베테랑> 에선 억울한 일을 당한 서민을 위해 재벌 3세에게 끝장을 보자며 달려들고, <히말라야> (2015)에선 산에서 죽은 동료를 위해 다시 그곳으로 간다. <검사외전> 에선 누명을 벗고 진실을 밝히기 위한 긴 싸움을 벌인다.

이 캐릭터들은 모두, 가끔은 맹목적으로 보일 만큼, 하나의 목표를 위해 걸어간다. 이 대원칙 속에서 그는 범죄 느와르부터 멜로와 코미디까지 다양한 장르를 섭렵하며, 좀 더 ‘멀티’한 배우가 되었다. 이전의 황정민이 내포를 확장하기 위해, 즉 캐릭터의 정체성과 그 의미를 명확하기 위해 노력했다면 <댄싱 퀸> 이후 ‘황정민이라는 개념’은 외연을 확장해간다. 우직함’이라는 캐릭터의 동질성은 유지하되, 좀 더 다양한 종류의 영화와 만나는 전략인 셈이다. 이처럼 스펙트럼이 한층 넓어지면서 남녀노소의 더 많은 관객과 만나게 되었다.

<댄싱 퀸> <국제시장> <히말라야> 를 제작한 윤제균 감독의 JK필름과, <신세계> <남자가 사랑할 때> <검사외전> 을 제작한 한재덕 대표의 사나이픽처스를 만난 것도 빼놓을 수 없는 부분. 현재 우리가 목격하는 ‘황정민 현상’은, 때를 기다리며 내공을 다진 배우가 좋은 인연을 만나 거대한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낸 결과물인 셈이다.

- 김형석 영화칼럼니스트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지난해 국립대병원 10곳, 적자 규모 5600억원 달해

2제주서 잡힌 ‘전설의 심해어’ 돗돔... 크기가 무려 183cm

3못 말리는 한국인의 홍삼 사랑...홍삼원 '1000억 메가 브랜드' 됐다

4상위 1% 부자 되는 법은…“30대엔 몸, 40대엔 머리, 50대엔 ‘이것’ 써라”

5쿠팡이츠, 상생 요금제 도입…매출 하위 20% 수수료 7.8%p 인하

6"갤럭시 S25, 기다려라"...AI 기능 담은 '아이폰 SE4' 출시 임박, 가격은?

7‘농약 우롱차’ 현대백화점 “환불 등 필요한 모든 조치”

8작년 배당금 ‘킹’은 삼성 이재용…3465억원 받아

9유럽, 기후변화로 바람 멈추나…풍력 발전 위협

실시간 뉴스

1지난해 국립대병원 10곳, 적자 규모 5600억원 달해

2제주서 잡힌 ‘전설의 심해어’ 돗돔... 크기가 무려 183cm

3못 말리는 한국인의 홍삼 사랑...홍삼원 '1000억 메가 브랜드' 됐다

4상위 1% 부자 되는 법은…“30대엔 몸, 40대엔 머리, 50대엔 ‘이것’ 써라”

5쿠팡이츠, 상생 요금제 도입…매출 하위 20% 수수료 7.8%p 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