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역 넓히는 ‘포켓몬 고’ 마케팅] 포켓스톱(포켓몬 잡는 아이템 획득 장소)으로 지정되면 매출이 껑충
[영역 넓히는 ‘포켓몬 고’ 마케팅] 포켓스톱(포켓몬 잡는 아이템 획득 장소)으로 지정되면 매출이 껑충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모바일 게임 ‘포켓몬 고(GO)’가 세계를 뒤흔들고 있다. 포켓몬 고의 인기가 수익으로 연결되는 데 회의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여러 산업계에서는 이미 포켓몬 고를 활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포켓몬 고는 미래 혁신 기술로 오래 전부터 주목받은 AR이 상업적으로 성공한 첫 사례다. AR은 현실 세계에 한 발을 걸친 기술이라는 점에서 새로운 방식의 마케팅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게임 업계에는 물론이고 유통·마케팅 분야에도 큰 파장을 일으킬 조짐이다.
포켓몬 고는 일본 인기 애니메이션 포켓몬 시리즈를 원작으로 만든 모바일 게임이다. 수년 전 선구적인 AR 모바일 게임 ‘인그레스’를 만들어 주목받은 제작사 나이언틱이 지난 7월 6∼7일 미국·호주·뉴질랜드 등에서 출시했다. 포켓몬 고는 아이폰·안드로이폰 모두 설치할 수 있는데, 출시되자마자 애플 앱스토어 등에서 최다 다운로드, 최고 매출을 기록하며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다. 국내에서도 서비스가 가능한 속초로 플레이어가 몰려 화제가 됐다. 열풍에 힘입어 닌텐도 주가는 포켓몬 고를 통한 실제 수익이 발생하기도 전에 급등하기도 했다.
스마트폰에서 이 게임 앱을 실행한 후 특정 장소를 비추면 스마트폰 화면에 포켓몬 캐릭터가 나온다. 포켓몬 캐릭터를 사냥하거나 특정 몬스터를 키워 다른 사용자의 몬스터와도 싸울 수 있다.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과 AR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포켓몬을 잡기 위해 현실에서도 발품을 팔아야 하는 게 기존 게임과 가장 큰 차이점이다.
마케팅 업계에서는 이런 측면에서 포켓몬 고를 주목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다른 게임처럼 게임 안에서 판매하는 비즈니스 모델이지만, 포켓몬을 사냥하기 위해 직접 현실 공간으로 이동해야 한다는 점에서 ‘집객’을 위한 플랫폼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수많은 플레이어가 게임이 가능한 속초로 이동한 것에서도 이런 점을 알 수 있다. 가령 희귀 아이템이나 몬스터가 특정 커피숍에 있다면 사용자들은 이들 아이템이나 몬스터를 획득하기 위해 그곳을 방문할 수 있다. 유동인구가 중요한 오프라인 비즈니스에서 군침을 흘릴 수밖에 없는 효과다.
뒤집어 생각하면 닌텐도나 나이언틱 입장에서는 놀이동산이나 대형 쇼핑몰, 수많은 매장을 보유한 편의점 등 오프라인 매장 안에 희귀 아이템을 배치시킬 수 있는 권리를 판매한다면 스마트폰에서 아이템을 판매하는 것과는 또 다른 수익 모델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런 관점에서 관심을 끄는 게 ‘포켓스톱(포켓몬센터)’과 유혹 모듈 ‘미끼(lure)’다. 포켓스톱은 몬스터 볼 등 포켓몬을 쉽게 잡을 수 있는 아이템을 획득하는 장소다. 포켓몬과 아이템을 따라 포켓몬 고 이용자들이 많이 모인다. 루어는 포켓스톱 근처에 설치할 수 있는 유료 아이템이다. 설치 이후 포켓몬이 몰려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제 ‘포켓스톱’ 지역으로 지정된 일부 오프라인 매장의 매출이 급등했다는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다. 미국의 게임 판매점 게임스톱의 토니 대표는 CNBC와의 인터뷰를 통해 “포케스톱으로 지정되거나 미끼가 설치된 462개의 매장 매출이 약 두 배 늘었다”면서 “포켓몬 고 열풍에 매우 만족하고 있다”고 밝혔다.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뉴욕 피자리아 매니저는 자신의 매장에 10달러짜리 ‘미끼’ 아이템을 떨어뜨려 플레이어들을 매장으로 끌어들였고, 이 전략이 제대로 먹히면서 매출이 75% 신장됐다고 밝혔다.
이 같은 반응이 나오자 포켓몬 고 개발사 나이언틱 측은 포켓스톱 지역 추가 지정 등으로 수익을 낸다는 계획을 비치기도 했다. ‘스폰서 장소’란 비즈니스 모델이다. 즉 특정 업체가 개발사에 돈을 지불하고, 해당 장소에 포켓몬을 유인하거나 특정 포켓 몬스터를 등장하게 하는 방식으로 사람들의 발길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존 행크 나이언틱 대표는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스폰서 장소 지정은 인앱 구매 외에 포켓몬 고에 새로운 매출원이 될 것”이라며 “검색 광고에서 클릭 수에 따라 돈을 버는 것처럼 스폰서 장소의 방문자 수에 따라 수익을 발생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일본에서는 조금 더 가시적인 마케팅 제휴도 생겨나는 조짐이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패스트푸드 체인 맥도날드는 자사 매장을 ‘포켓스톱’ 또는 게이머들이 잡은 포켓몬을 훈련시키고 아이템을 살 수 있는 ‘체육관’으로 제공할 방침이라고 발표했다. 일본 내 3000여 맥도날드 매장을 공식 포켓스톱으로 만들 수도 있다는 얘기다. 맥도날드가 포켓몬 고와 손을 잡으면 포켓몬 고와 제휴하는 첫 스폰서 기업이 된다. 제휴 사실이 발표되면서 매출 확대에 대한 기대감에 일본 자스닥의 맥도날드 주식은 14년 만에 시가총액 5000억엔(약 5조3000억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게임 중인 사용자가 특정 건물이나 지역에 갔을 때 스마트폰에 광고를 띄우는 방식의 사업도 가능하다. 특히 사용자 위치와 지도를 기반으로 구동하는 포켓몬 고의 특성에 따라 해당 지역과 기업에 맞는 ‘지역 맞춤형 광고’도 가능하다. 예컨대 포켓몬을 잡기 위해 백화점 안을 돌아다니는 플레이어가 한 의류매장 앞을 지날 때 해당 브랜드의 상품이나 세일 정보 등을 게임화면에 뜨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광고를 보면 게임 안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을 주는 형식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이용자들에게 노출을 할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다.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매력적인 마케팅 도구다. 현재 나이언틱 측은 스폰서 계약이나 광고비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업계에서는 기존 TV나 신문 매체에 대한 광고비보다는 저렴할 거라고 예상한다. TV·신문 등 전통적인 매체를 통한 광고가 소비자들에게 외면당하고 있는 상황에서 포켓몬 고를 활용한 광고 노출은 광고주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나이언틱 “스폰서 장소 사업 계획 중”
스마트폰에서 이 게임 앱을 실행한 후 특정 장소를 비추면 스마트폰 화면에 포켓몬 캐릭터가 나온다. 포켓몬 캐릭터를 사냥하거나 특정 몬스터를 키워 다른 사용자의 몬스터와도 싸울 수 있다.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과 AR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포켓몬을 잡기 위해 현실에서도 발품을 팔아야 하는 게 기존 게임과 가장 큰 차이점이다.
마케팅 업계에서는 이런 측면에서 포켓몬 고를 주목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다른 게임처럼 게임 안에서 판매하는 비즈니스 모델이지만, 포켓몬을 사냥하기 위해 직접 현실 공간으로 이동해야 한다는 점에서 ‘집객’을 위한 플랫폼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수많은 플레이어가 게임이 가능한 속초로 이동한 것에서도 이런 점을 알 수 있다. 가령 희귀 아이템이나 몬스터가 특정 커피숍에 있다면 사용자들은 이들 아이템이나 몬스터를 획득하기 위해 그곳을 방문할 수 있다. 유동인구가 중요한 오프라인 비즈니스에서 군침을 흘릴 수밖에 없는 효과다.
뒤집어 생각하면 닌텐도나 나이언틱 입장에서는 놀이동산이나 대형 쇼핑몰, 수많은 매장을 보유한 편의점 등 오프라인 매장 안에 희귀 아이템을 배치시킬 수 있는 권리를 판매한다면 스마트폰에서 아이템을 판매하는 것과는 또 다른 수익 모델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런 관점에서 관심을 끄는 게 ‘포켓스톱(포켓몬센터)’과 유혹 모듈 ‘미끼(lure)’다. 포켓스톱은 몬스터 볼 등 포켓몬을 쉽게 잡을 수 있는 아이템을 획득하는 장소다. 포켓몬과 아이템을 따라 포켓몬 고 이용자들이 많이 모인다. 루어는 포켓스톱 근처에 설치할 수 있는 유료 아이템이다. 설치 이후 포켓몬이 몰려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제 ‘포켓스톱’ 지역으로 지정된 일부 오프라인 매장의 매출이 급등했다는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다. 미국의 게임 판매점 게임스톱의 토니 대표는 CNBC와의 인터뷰를 통해 “포케스톱으로 지정되거나 미끼가 설치된 462개의 매장 매출이 약 두 배 늘었다”면서 “포켓몬 고 열풍에 매우 만족하고 있다”고 밝혔다.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뉴욕 피자리아 매니저는 자신의 매장에 10달러짜리 ‘미끼’ 아이템을 떨어뜨려 플레이어들을 매장으로 끌어들였고, 이 전략이 제대로 먹히면서 매출이 75% 신장됐다고 밝혔다.
이 같은 반응이 나오자 포켓몬 고 개발사 나이언틱 측은 포켓스톱 지역 추가 지정 등으로 수익을 낸다는 계획을 비치기도 했다. ‘스폰서 장소’란 비즈니스 모델이다. 즉 특정 업체가 개발사에 돈을 지불하고, 해당 장소에 포켓몬을 유인하거나 특정 포켓 몬스터를 등장하게 하는 방식으로 사람들의 발길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존 행크 나이언틱 대표는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스폰서 장소 지정은 인앱 구매 외에 포켓몬 고에 새로운 매출원이 될 것”이라며 “검색 광고에서 클릭 수에 따라 돈을 버는 것처럼 스폰서 장소의 방문자 수에 따라 수익을 발생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日 맥도날드, 포켓몬 고와 ‘포켓스톱’ 제휴
게임 중인 사용자가 특정 건물이나 지역에 갔을 때 스마트폰에 광고를 띄우는 방식의 사업도 가능하다. 특히 사용자 위치와 지도를 기반으로 구동하는 포켓몬 고의 특성에 따라 해당 지역과 기업에 맞는 ‘지역 맞춤형 광고’도 가능하다. 예컨대 포켓몬을 잡기 위해 백화점 안을 돌아다니는 플레이어가 한 의류매장 앞을 지날 때 해당 브랜드의 상품이나 세일 정보 등을 게임화면에 뜨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광고를 보면 게임 안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을 주는 형식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이용자들에게 노출을 할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다.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매력적인 마케팅 도구다. 현재 나이언틱 측은 스폰서 계약이나 광고비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업계에서는 기존 TV나 신문 매체에 대한 광고비보다는 저렴할 거라고 예상한다. TV·신문 등 전통적인 매체를 통한 광고가 소비자들에게 외면당하고 있는 상황에서 포켓몬 고를 활용한 광고 노출은 광고주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권한대행마저 탄핵 가결...경제계 "불확실성 커져"
2매일유업, 이인기·곽정우 대표 신규 선임...3인 대표 체제로
3취미도 온라인으로...여가활동 만족도 8년만 최고
4FBI, 3년 전 "코로나19, 실험실서 만들어져" 결론 내려
5민주당 "최상목, 속죄하는 마음으로 직무 임해야"
62025년 가장 여행 가고 싶은 국가 1위는 '일본'
7투자자 45% 올해 암호화폐 첫 투자...가장 많이 산 코인은
8최상목 권한대행 "국정 혼란 최소화해야...안정에 최선"
9청도군, '청년성장-직장적응' 성과 평가 최우수등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