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Korea Economy Leader Awards 2016] 저성장의 늪에서 탈출구를 찾다

[Korea Economy Leader Awards 2016] 저성장의 늪에서 탈출구를 찾다

950조 중국 시장 적극 공략
 [기업] 글로벌경영 l 강승수 한샘 부회장
외환위기로 모든 업종이 불황에 빠진 1997년, 한샘은 과감히 신규 사업에 진출했다. 홈 인테리어 패키지 개념을 제시하면서 종합 인테리어 유통업으로 한국의 주거 환경을 바꿨다. 당시 성공으로 한샘은 비약적으로 성장, 가정용 가구 부문 진출 4년 만에 업계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경영관리를 선진화하고 물류 비효율을 최소화한 한샘은 해외로도 적극 진출했다. 1985년 미국을 시작으로 1991년 일본, 1996년 중국 현지법인을 설립하는 등 글로벌 인테리어 최강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샘의 성장동력은 주거 공간을 중심으로 연관성 있는 사업영역을 확대하는 시너지 효과 창출이다. 강승수 부회장은 ‘한삼(汉森)’이라는 이름을 앞세워 연간 950조원 규모 중국 가구·인테리어 시장을 본격 공략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킹산직’ 500명 추가 채용 제안...노조 달래는 현대차

2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 중단...“투쟁 방식 전환”

33분기 전기요금 인하 없다...연료비조정단가 현행 유지

4제2의 도약 꿈꾸는 아워홈...기업공개 추진한다

5최태원 SK 회장, 내일 미국행...AI·반도체 점검

6손정의 “인간보다 1만배 똑똑한 AI 시대 온다”

7이노그리드, 초유의 ‘상장 승인 취소’…“파두 사태와는 또 다르다”

8연타석 홈런 친 넷마블…하반기에도 신작 러시

9Life’s Good!…LG전자 브랜드 가치, 세계에 ‘미소’ 전파

실시간 뉴스

1‘킹산직’ 500명 추가 채용 제안...노조 달래는 현대차

2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 중단...“투쟁 방식 전환”

33분기 전기요금 인하 없다...연료비조정단가 현행 유지

4제2의 도약 꿈꾸는 아워홈...기업공개 추진한다

5최태원 SK 회장, 내일 미국행...AI·반도체 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