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정의 “인간보다 1만배 똑똑한 AI 시대 온다”
소프트뱅크그룹 주총서 초인공지능 언급
Arm-엔비디아 합병 제안 비화 등도 공개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SBG) 회장은 21일 일본 도쿄 SBG 본사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ASI 실현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다고 니혼게이자이(닛케이) 신문이 보도했다.
손 회장은 “생성형 인공지능(AI) 진화에 따라 인류의 1만배 지적 수준을 가진 ASI 시대가 조만간 올 것”이라며 “나는 이를 실현하기 위해 태어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날 손 회장은 엔비디아 관련 비화도 털어놨다. SBG는 지난 2017년 5월 40억달러 규모의 엔비디아 주식을 매입하며 4대 주주로 등극한 바 있다. 이후 지난 2019년 2월 보유 지분 전량을 36억3000만달러에 매각했다.
엔비디아는 최근 AI 열풍과 함께 대장주로 떠오른 업체다. 올해 들어서만 주가가 167% 뛰었다. SBG가 지분을 보유 중이던 2019년과 비교하면 3450% 폭등한 것이다.
손 회장은 SBG의 비전펀드가 엔비디아 지분을 처분한 것에 대해 “펀드 실적 개선과 현금의 필요성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의 일화를 소개했다.
손 회장에 따르면 SBG가 2016년 영국 반도체 설계기업 Arm을 인수한 직후 자신의 미국 캘리포니아 저택에서 젠슨 황 CEO를 만났다. 이 자리에서 양사간 합병을 제안했지만 거절당했다.
이날 손 회장은 Arm에 대한 굳건한 믿음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는 “신이 내게 다시 한 번 기회를 줘 Arm과 엔비디아 중 하나만 살 수 있다고 한다면, 현재도 나는 1초도 망설이지 않고 Arm을 사겠다”면서 “Arm의 미래를 믿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손 회장은 라인야후 지주사 A홀딩스 지분 관계 조정 협상에 대해 일체 언급하지 않았다. A홀딩스는 SBG 자회사인 소프트뱅크와 네이버가 지분 50%씩을 보유 중이다.
지난해 대규모 개인정보를 유출한 라인야후는 올해 3~4월 일본 총무성으로부터 사이버 보안 강화 등을 요구하는 행정지도를 받았다. 여기에 네이버와의 자본·위탁 관계 재검토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확산됐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
6"부산, 식품은 다른 데서 사나?"...새벽배송 장바구니 살펴보니
7테무, 개인정보 방침 변경…“지역 상품 파트너 도입 위해 반영”
8알트베스트, 비트코인 재무준비자산으로 채택…아프리카 최초
9조정호 메리츠 회장 주식재산 12조원 돌파…삼성 이재용 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