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찍을 때 V 포즈 왜 위험한가
사진 찍을 때 V 포즈 왜 위험한가
금융거래, 핸드폰, 도어록 등 최근 지문인식이 활용되지 않는 곳을 찾기 어렵다. 지문은 개인 고유의 정보로 도용이 될 수 없기 때문에 높은 보안성의 이유로 널리 이용된다. 하지만 최근 연구자들은 셀카를 확대해 지문을 읽어 신원을 도용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특히 지문은 개인의 생체정보로서 바꿀 수 없다는 점 때문에 한 번 유출되면 평생 피해를 입을 수 있다.
IB타임스의 메리 러슨 기자에 의하면 일본의 국립정보학연구소(NII) 연구자들은 3m 떨어진 위치에서 사진을 찍는다고 해도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만 뚜렷이 보이면 지문이 읽힐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런 사진 대다수가 인터넷이나 인스타그램 같은 인기 앱에 올려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건 상당히 심각한 문제라고 덧붙였다.
과거엔 사이버범죄자가 손가락을 클로즈업한 사진을 확보해야만 신원을 도용할 수 있었지만 스마트폰의 고성능 전·후면 카메라가 등장한 뒤 과학자들은 실험을 통해 셀카에서도 쉽게 지문을 읽을 수 있었다고 IB타임스는 보도한다. 하지만 한 가지 다행인 점은 이 기법이 일반 스냅 사진으로는 다른 사람의 망막을 스캔할 수 없어 눈동자를 읽기는 아직 불가능하다고 러슨 기자는 전한다.
IB타임스에 따르면 NII 디지털 콘텐트미디어 과학연구부의 에치젠 이사오 교수는 일본 신문 산케이와 가진 인터뷰에서 “카메라를 향해 V 사인을 하면 지문이 도용될 수 있다. 지문 같은 생체 정보는 평생 달라지지 않는다. 사람들이 스스로를 보호하는 방법을 알도록 이런 사실을 널리 알리고 싶다”고 설명했다.
에치젠 교수팀은 지문 도용을 막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고 IB타임스는 전한다. 외출할 때 특정 무늬가 인쇄된 타타늄 산화물의 투명 필름을 붙이면 지문을 알아볼 수 없게 해줄 뿐 아니라 엉터리 지문으로 사이버 범죄자들을 골려 줄 수 있다고 러슨 기자는 설명한다. 자신의 스마트폰을 열거나 금융 서비스를 받거나 현관문의 잠금장치를 풀기 위해 생체 정보를 사용해야 할 때는 필름과 함께 판매되는 인증 기기를 사용하면 해결된다고 덧붙였다.
- 뉴스위크 한국판 인턴기자 차정민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B타임스의 메리 러슨 기자에 의하면 일본의 국립정보학연구소(NII) 연구자들은 3m 떨어진 위치에서 사진을 찍는다고 해도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만 뚜렷이 보이면 지문이 읽힐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런 사진 대다수가 인터넷이나 인스타그램 같은 인기 앱에 올려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건 상당히 심각한 문제라고 덧붙였다.
과거엔 사이버범죄자가 손가락을 클로즈업한 사진을 확보해야만 신원을 도용할 수 있었지만 스마트폰의 고성능 전·후면 카메라가 등장한 뒤 과학자들은 실험을 통해 셀카에서도 쉽게 지문을 읽을 수 있었다고 IB타임스는 보도한다. 하지만 한 가지 다행인 점은 이 기법이 일반 스냅 사진으로는 다른 사람의 망막을 스캔할 수 없어 눈동자를 읽기는 아직 불가능하다고 러슨 기자는 전한다.
IB타임스에 따르면 NII 디지털 콘텐트미디어 과학연구부의 에치젠 이사오 교수는 일본 신문 산케이와 가진 인터뷰에서 “카메라를 향해 V 사인을 하면 지문이 도용될 수 있다. 지문 같은 생체 정보는 평생 달라지지 않는다. 사람들이 스스로를 보호하는 방법을 알도록 이런 사실을 널리 알리고 싶다”고 설명했다.
에치젠 교수팀은 지문 도용을 막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고 IB타임스는 전한다. 외출할 때 특정 무늬가 인쇄된 타타늄 산화물의 투명 필름을 붙이면 지문을 알아볼 수 없게 해줄 뿐 아니라 엉터리 지문으로 사이버 범죄자들을 골려 줄 수 있다고 러슨 기자는 설명한다. 자신의 스마트폰을 열거나 금융 서비스를 받거나 현관문의 잠금장치를 풀기 위해 생체 정보를 사용해야 할 때는 필름과 함께 판매되는 인증 기기를 사용하면 해결된다고 덧붙였다.
- 뉴스위크 한국판 인턴기자 차정민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열어...정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2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
3"美 생산 아니면 관세"...트럼프, 일라이 릴리·화이자 등 압박
4AI에 돈 쏟는 중국 IT 공룡들...알리바바도 투자 동참
5무궁무진한 AI, K콘텐츠와 만난다면
6산케이 “韓, 독도 불법 점거...국익 해칠 뿐” 다케시마의 날 잇단 도발
7성관계 후 의문의 붉은 점…韓 2030 '이것' 주의보
8현대차가 짓는 삼성동 GBC, '105층 1개동→54층 3개동'으로
9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14억달러 해킹...'최대 규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