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관계 후 의문의 붉은 점…韓 2030 '이것' 주의보

[이코노미스트 김기론 기자] 최근 일본과 미국에 이어 국내에서도 매독 환자가 급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2030세대의 감염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이목을 끌고 있다.
지난 16일 질병관리청의 '감염병 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매독 환자는 2,786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10년 전인 2014년의 1,015명보다 2.7배 늘어난 수치다. 해외에서 감염된 환자는 3.3%(93명)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일본과 미국 등지에서 매독이 급증하는 것과 비슷한 맥락으로 볼 수 있다. 미국의 경우 매독 감염 건수가 2022년 20만7,255건으로 1950년 이후 가장 많았던 것으로 파악됐다. 일본도 같은 해 1만3,228명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매독은 주로 성관계 등 성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임신 중 태아에게 직접 전염될 수 있는 질병이다. 매독은 크게 3단계로 진행되는데, 1기에는 감염 후 약 3주의 잠복기를 거쳐 첫 증상이 나타난다. 주로 입술, 성기 등에 통증없는 작은 궤양이 생기며 1~5주 후 자연적으로 없어진다.
2기에는 온몸에 발진이 발생하며 발열과 인후통 같은 독감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난다. 구강, 생식기, 항문 등에는 습한 사마귀 모양의 병변이 생긴다.
치료가 지연될 경우 발생하는 3기 매독은 특히 위험하다. 3기가 되면 다양한 기관에 손상을 주며, 비가역적인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피부, 뼈, 간 등에 나타나는 염증성 종괴인 ‘고무종’이나 심혈관계에 이상이 생긴다. 또 기억력 감퇴, 마비, 보행 장애, 시력 저하 등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국내에서는 매독 합병증 때문에 실명 위기에 놓인 사례도 늘고 있다. 국제학술지 ‘성감염병’ 최신 호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매독 환자 빅데이터(44만8085명)를 분석한 결과 1.4%에서 매독균 감염으로 눈에 합병증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를 실었다. 특히 해당 연구에서 30대 남성(남성 매독 환자 중 21.2%)과 20대 여성(여성 매독 환자 중 18.2%)의 포도막염 감염이 두드러진 것으로 파악됐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中서 신종 코로나 또 발견?...관련주는 벌써부터 들썩
2'무례·혐오' 포털 뉴스 댓글에 몰려...유튜브보다 많아
3 미-러 대표단, 2주 내 우크라 종전 협상 예정
4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열어...정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5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
6"美 생산 아니면 관세"...트럼프, 일라이 릴리·화이자 등 압박
7AI에 돈 쏟는 중국 IT 공룡들...알리바바도 투자 동참
8무궁무진한 AI, K콘텐츠와 만난다면
9산케이 “韓, 독도 불법 점거...국익 해칠 뿐” 다케시마의 날 잇단 도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