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CK! REPORT
CHECK! REPORT
한국무역협회 | 차량용 반도체 국내 기업 점유율 2.3% 그쳐
총수출액에서 반도체 비중이 20%에 달하는 한국이지만, 이번 품귀 사태에선 큰 힘을 쓰지 못했다. 전 세계 차량용 반도체 매출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2.3%에 그칠 만큼 국내 기업의 진출이 더딘 탓이다. 삼성전자(26위)·SK하이닉스(39위) 등 주요 기업들도 10위권 밖에 머물렀다. 반면 NXP(네덜란드)·인피니온(독일)·르네사스(일본) 등 3대 기업을 중심으로 매출 상위 10개 기업이 전 세계 매출의 59.7%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하 연구원)은 이번 품귀 현상이 일시적인 수급 불균형 문제가 아니라고 진단했다. 연구원은 지난 3월 29일 낸 ‘국내 차량용 반도체 산업 경쟁력 현황 및 강화방안’ 자료에서 “(차량용 반도체 수급 문제는)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주도권 경쟁이 달린 문제로, 전략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차량용 반도체의 부가가치(금액 기준)는 내연기관차 대비 전기차가 2.1배, 자율주행차가 3.2배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자율주행차(운전자가 불필요한 수준)한 대가 8시간 동안 생성·처리하는 데이터 양이 40에 달하는 만큼, 방대한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고성능 인공지능(AI) 반도체가 필수적이다.
연구원은 “기간산업인 자동차 산업의 수요를 충분히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강점을 지닌 분야를 중심으로 차량용 반도체 산업의 기초 경쟁력을 키워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 외국계 기업 10곳 중 1곳만 “채용 늘린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지난 3월 30일 종업원 수 100인 이상 외국계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진출 외국계 기업 채용·투자 동향’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는 지난 2월 22일부터 한 달여 간 이뤄졌으며, 조사 대상 901개사 중 120개사가 조사에 응했다(응답률 약 13.3%).
조사 결과, 신규채용을 늘리겠다고 답한 곳은 전체의 11.6%에 그쳤다. 지난해 결과인 9.1%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채용을 줄이겠다는 기업은(4.2%) 지난해(26.7%)보다 눈에 띄게 줄었다.
채용을 늘리는 이유로는 ‘한국 내 매출 증가’ 47.2%로 가장 많이 꼽혔다. ‘이직에 따른 업무 공백 보완(30.6%)’이 뒤를 따랐다. 이는 국내 기업이 채용을 늘리는 이유와 사뭇 다르다. 지난 3월 한국경제연구원(‘2021년 상반기 주요 대기업 대졸 신규채용 조사’)에 따르면, 국내 기업은 채용을 늘리는 이유로 ‘경기상황에 관계없이 미래인재 확보 차원’(75.0%)을 가장 많이 꼽았다. 같은 선택지를 꼽은 외국계 기업은 2.8%에 그쳤다.
지난해보다 신규채용 인원은 다소 늘지만, 대부분은 경력직이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신규채용 계획을 세웠거나 이미 채용한 외국계 기업들은 신입직원 대 경력 직원 비중을 40.2%, 59.8%로 잡고 있었다.
한국은행·금융감독원 | ‘한국인 금융 점수’ OECD 평균 넘었다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우리나라 성인(만18~79세) 2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0 전국민금융이해력 조사’ 결과를 지난 3월 29일 발표했다. 금융이해력은 금융지식과 금융행위, 금융태도 등 금융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를 뜻한다. 금융이해력이 높은 사람은 그렇지 못한 사람에 비해 예상치 못한 지출이(월 소득 규모) 발생하거나 소득을 잃었을 때 자력으로 감당(3개월 이상)할 수 있는 능력이 양호하다.
조사 결과, 우리나라 성인의 금융이해력 총점은 66.8점으로, 직전 조사인 2018년(62.2점) 대비 4.6점 올랐다. 비교 대상인 OECD 10개국 평균(2019년 기준 62.0점)보다도 높았다. 다만 비교적 높은 종합점수에 비해 장기 재무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 비율은 43.5%에 그쳤다.
세대별로 보면 청년층(만 18~29세)의 소비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청년층은 ‘저축보다 소비 선호’에 동의한다는 응답률이 34.3%로, 반대 응답률(26.0%)보다 높게 나타났다. 소비를 선호하는 청년층의 금융행위 점수(60.1점)는 저축을 선호하는 청년층(63.7점)보다 낮았다. 금융행위 점수는 ‘적극적인 저축활동’ ‘청구대금 적기 납부’ 등 항목으로 측정했다.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은 “청년층의 건전한 금융태도 조성을 위해 조기 금융·경제교육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통계청 | 30대 미혼 남녀 54.8%가 ‘캥거루족’
통계청은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20% 표본조사)와 2018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낸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를 바탕으로 20~44세 미혼 남녀를 분석 한 보고서 ‘저(低)혼인 시대, 미혼 남녀 해석하기’를 지난 3월 30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30대 미혼 인구 가운데 부모와 동거하는 캥거루족 비율은 54.8%로 절반을 넘었다. 또 부모와 동거하는 경우 70.7%가 자가인 데 반해, 1인 가구의 59.3%가 월세를 내고 있었다. 자가 비율은 11.6%에 불과했다.
결혼에 대한 인식은 미혼 여성이 미혼 남성보다 더 부정적이었다. 미혼 남녀에게 결혼 필요성에 관해 물은 결과,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는 응답은 남성이 13.9%, 여성이 3.7%로 10.2%p 차이가 났다. 반면 “하지 않는 게 낫다”는 답변은 남성이 6.4%, 여성이 15.5%로, 여성이 9.1%p 높았다.
미혼 여성은 결혼하지 않는 이유로 “본인의 기대치에 맞는 사람을 못해서”를 가장 많이(23.4%) 꼽았다. “결혼보다 내가 하는 일에 더 충실하고 싶어서”(19.3%), “결혼할 생각이 없어서”(12.4%)가 뒤를 이었다. 일·가정을 병행하기 어려울 것이란 걱정이 큰 것이다. 반면 미혼 남성은 경제적 요인을 주로 꼽았다. “본인의 기대치에 맞는 사람을 못해서”(18.4%)에 이어 “소득이 적어서”가 15.0%로 2순위를 차지했다.
국토연구원 | 국내 자산 불평등의 22%는 주택 시세차익 때문
국토연구원(이하 연구원)은 지난 3월 29일 낸 ‘부동산 자산 불평등의 현주소와 정책과제’ 자료에서 부동산 자산이 자산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도가 금융, 실물 자산보다 크다고 지적했다. 그 결과 1979년~1992년 사이에 태어난 20~330대 계층인 ‘에코’ 세대에서는 “부동산만큼 자산을 증식시킬 수 있는 투자 대안이 없다”는 인식이 만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에 따르면, 총자산 불평등도(지니계수)에서 거주 주택자산이 기여하는 비중은 67.0%에 달했다. 거주주택자산을 다시 주택구매 당시 구매가격과 현재까지의(미실현) 자본차익으로 구분하면 구매가격이 45.0%, 자본차익이 22.0%를 기여했다. 주택가격의 상승이 불평등을 심화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20대~40대 초반 젊은 세대일수록 50대 이상보다 부동산 투자에 적극적이며, 향후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비중이 높았다. 또 과도한 증여세 부과에 반대하는 입장이 많았다. 과거와 달리 상속·증여가 아니고선 내 집을 갖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연구원이 지역별로 6개 그룹으로 나눠 각각 7~8명씩 총 50명을 대상으로 심층 분석을 한 결과다.
이형찬 국토연구원 주택토지연구 본부장은 “현행 양도 소득세 공제와 감면 횟수를 1회로 제한하는 등 조세부담 형평성을 위한 세제 개편, 일관되고 예측 가능한 공시가격 현실화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백신·항암제 등 바이오의약품 5년간 수입 비중 9.1%p 늘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관련 특허의 질적·양적 분석을 통해 국내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경쟁력을 가늠한 ‘바이오의약품 산업 분석 및 정책 연구’ 보고서를 지난 3월 30일 내놨다. 바이오의약품은 살아 있는 세포에서 유래한 물질로 만든 의약품으로, 백신·항암제·항체치료제 등이 있다. 기존 합성의약품보다 개발이 어려운 대신, 부작용이 적고 희귀난치성 질환에 효과가 뛰어나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IQVIA에 따르면,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매출액 기준)이 글로벌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기준 0.69%에 그쳤다. 그보다 5년 전인 2015년과 비교할 때 제자리걸음 했다. 같은 기간 수입 점유율은 50.9%에서 60.0%로 9.1%p 늘었다. 53개 국내 기업만을 대상으로 했을 때 매출 양극화 현상도 보였다. 바이오시밀러를 생산하는 셀트리온(28%)과 백신·혈장분획제재를 만드는 녹십자(22%)가 국내 생산액의 절반을 차지했다.
보고서는 수입 의존도가 높아지는 까닭으로 국내 기업들의 연구개발 수준이 경쟁국 대비 떨어지는 점을 꼽았다. 기술의 질적·양적 수준을 나타내는 특허 기술력 지수(TS)에서 한국은 세포치료제 4위(16.6), 유전자치료제 6위(5.4), 항체의약품 9위(202.5), 백신 10위(124.5)였다. 투자 역량도 떨어졌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에 따르면, 정부의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 투자액도 1566억원 수준이었다.
한편 시장분석기관 Evaluate Pharma은 글로벌 제약시장(2019년 9100억 달러)에서 바이오의약품의 비중이 약 29%(2660억 달러)라고 밝혔다.
- 정리=문상덕 기자 mun.sangdeo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