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 미국 ESS 시장 공략...세계 최대 ESS에 배터리 공급
1.2GWh 규모·22만5000가구 사용 용량...성장하는 미국 ESS 시장 공략

LG에너지솔루션은 17일 미국 발전사인 비스트라(Vistra)가 캘리포니아주 몬트레이 카운티 북동부의 모스랜딩 지역에 가동중인 1.2GWh 규모의 전력망 ESS에 ESS배터리 신제품 'TR 1300' 랙을 공급했다고 밝혔다.
이는 약 약 22만5000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ESS로, 단일 기준 세계 최대 규모다.
비스트라는 천연가스, 핵, 태양광 등을 포함해 미국 내 39GW 규모의 발전 설비능력을 갖추고 있는 발전사다. 이 발전사는 지난해부터 캘리포니아주 모스랜딩 천연가스 발전소의 퇴역한 노후 화력 발전 설비를 전력용 ESS 등 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공급은 해당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LG에너지솔루션이 공급한 ‘TR 1300' 랙은 고성능 배터리 셀이 적용돼 배터리 랙의 2단 적재가 가능하다. 공간 효율성은 높이고, 단위 면적당 에너지 밀도가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에는 배터리 팩과 랙을 해당 ESS 사이트에 별도로 출하시킨 후 현장에서 조립해 ESS 설치를 완료했다. 하지만 이번 신제품은 배터리 제조 공장에서 팩을 랙에 설치 및 조립하고 ESS 사이트로 출하해 현장 설치 시간과 비용을 줄였다.
LG에너지솔루션 ESS 사업부장 신영준 전무는 “세계 최대 규모의 ESS 프로젝트에 배터리를 공급함으로써 차별화된 ESS 배터리의 경쟁력을 인정받았다”며 “품질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해 글로벌 ESS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 ESS 시장은 급격하게 성장할 전망이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해 오는 2050년까지 100% 청정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밝히면서 ESS 설치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미국 전력망 ESS 시장 규모는 6.5GWh로 글로벌 전력망 ESS 시장의 약 절반을 차지한다. 연평균 성장률은 54%에 달해 오는 2025년에는 현재보다 약 9배 수준인 55.3GWh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영은 기자 kim.yeonge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3번째' 로켓 베이비 등장?...일론 머스크는 '연락 두절'
2프란치스코 교황, 병세 계속 위중… 교황청 “한때 호흡곤란”
3"식구끼리 비방하면 누가 좋나"…이재명 강성 지지층 자제 당부
4경제8단체 “상법 개정 철회하고, 대안으로 자본시장법 개정”
5 이준석 “이재명, 정치도 운전도 이렇게 하면 사고 나"
6이재명 “아직도 초부자감세 미련 있나”…세제개편 토론 제안
7지난해 육아휴직자 10명 중 3명은 남성…처음으로 30% 넘어
8국민 55%는 ‘국장’보다 ‘미장’ 선호…그 이유는?
9SK텔레콤, MWC 2025 참가…AI 기반 혁신 기술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