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무례·혐오' 포털 뉴스 댓글에 몰려...유튜브보다 많아

언론정보연구 '언어 사용과 의견 양극화' 실어
진보는 성향 다른 뉴스들 피해...보수는 반박해

동영상 서비스인 유튜브 영상의 댓글보다 포털 사이트의 뉴스 댓글에서 '무례 언어'와 '혐오 언어'가 더 많이 발견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선모은 기자] 동영상 서비스인 유튜브 영상의 댓글보다 포털 사이트의 뉴스 댓글에서 '무례 언어'와 '혐오 언어'가 더 많이 발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언론정보연구에 실린 '언어 사용과 의견 양극화'(나은영 서강대 지식융합미디어대학 교수 등)에 따르면 사람들은 특정 이슈에 대한 보도를 접하며 떠오른 감정을 주로 포털 사이트에 댓글로 표현했다.

연구진은 대통령 지지율(2022년 5월 1일부터 1년), 여성가족부 폐지(2022년 1월 1일부터 1년), 화물연대 총파업 등 노조 파업(2022년 6월 1일부터 1년) 등과 관련해 조선일보, 한겨레의 네이버 뉴스 댓글, 유튜브 영상 조회수 10위까지 댓글을 분석했다.

무례 언어는 '개인이나 집단의 인격적 가치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저하하는 욕설, 비방 등 언어적인 표현', 혐오 언어는 '특정 집단의 고유한 특성을 근거로 삼아 적대적이거나 편견적인 표현을 하고 증오와 차별을 옹호하는 것'으로 봤다.

연구 결과 포털 사이트의 뉴스 댓글에서 무례 언어는 2844건(23.9%), 혐오 언어는 893건(7.5%), 무례 언어와 혐오 언어가 모두 나타난 것은 237건(2%)으로 나타났다. 유튜브 댓글에서 무례 언어는 1212건(12.3%), 혐오 언어는 105건(1.1%), 무례 언어와 혐오 언어가 모두 나타난 것은 44건(0.4%)으로 집계됐다.

한편, 연구진이 20~60대 1026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상대적으로 진보 성향자는 혐오 언어를, 보수 성향자는 무례 언어를 피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또, 자신의 성향과 다른 뉴스를 발견했을 때 진보 성향자는 '비추천' 또는 '싫어요'를 누르거나 팔로우 취소 또는 탈퇴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고, 보수 성향자는 반박 댓글을 작성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이와 관련해 연구진은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뉴스를 접하는 통로가 포털 사이트라는 점을 시사한다"라며 "정치 성향에 따라 유의미하게 다른 반응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 관계자는 "뉴스 악성 댓글 탐지 기술을 지속해서 개선해, 악성 댓글의 노출 비율은 줄어드는 추세"라고 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머스크 소유 '인공지능 회사'가 'X' 66조원에 인수

2손정의, '美 AI공장'에 1조 달러 투자 검토

3中 부동산 한파에 결국...블랙록 '상하이 빌딩' 34% 싸게 내놨다

4'산불 피해 기부액' 100억 내놓은 애터미 화제...어떤 기업이길래

5'결혼식 입장' 방식 물었더니..."신부 단독 입장하고 싶어요"

6비트코인 지고 ‘이것’ 뜨나...‘최고점’ 이미 뚫었다

7크래프톤, '인도 게임 개발사' 지분 인수한 이유

8 미얀마 강진 사망자 694명으로 급증… 부상자 1670명

9포스코, 제강슬래그 활용 아스팔트 도로포장 상용화

실시간 뉴스

1머스크 소유 '인공지능 회사'가 'X' 66조원에 인수

2손정의, '美 AI공장'에 1조 달러 투자 검토

3中 부동산 한파에 결국...블랙록 '상하이 빌딩' 34% 싸게 내놨다

4'산불 피해 기부액' 100억 내놓은 애터미 화제...어떤 기업이길래

5'결혼식 입장' 방식 물었더니..."신부 단독 입장하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