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3·4차 충격으로 바뀐 국내 고용시장 변화 양상은?
KDI ‘코로나 위기가 초래한 고용구조 변화’ 발표
1·2 유행 때 사라진 일자리 대부분이 지역서비스

KDI는 지난해 11월에도 ‘코로나19로 인한 고용 충격의 양상과 정책적 시사점’ 연구를 공개했다. KDI는 코로나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가정했을 때의 일자리 추정치와 코로나 사태 발생 후 실제 일자리 수치를 비교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이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유행 시기마다 일자리가 큰 폭으로 사라진 것이 분석됐다. KDI는 코로나19 1차 대유행(2020년 1~4월)과 2차 대유행(2020년 8~9월)을 겪었던 4월과 9월에 각각 108만여개, 83만여개의 일자리가 사라진 것으로 추정했다. 이 가운데 대부분은 지역서비스 일자리였다.
이번 KDI 발표에서는 코로나19 3차 대유행(2020년 11·12월)과 4차 대유행(2021년 7~9월)이 일자리 증감에 미친 영향을 확인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한편 통계청이 지난달 발표한 ‘2021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 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비정규직 근로자 수(약 806만6000명)는 처음으로 800만명을 넘어섰다. 전체 임금근로자(약 2099만2000명)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은 38.4%로, 임금근로자 10명 중 4명은 비정규직인 것으로 확인됐다.
정지원 기자 jung.jeewon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맨 평균 연봉, 얼마일까?"...지난해 7% 올라 ‘억 소리’
2데이원컴퍼니‧아이지넷 주가 하락 지속…환매청구권 부담 커지나
3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 신임 협회장 추대
4“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
5트럼프의 ‘심야 트윗’에 잠 못 드는 미국·유럽 투자자들, 왜?
6재무상담 원하는 MZ 세대 주목…예산 5억원 투입
7“삼겹살이 890원?”...오픈 직후 사람들 몰렸다
8에어비앤비 공동 창업자, LA 산불 피해 주민에 조립식 주택 기부
9현대차 제일 잘 파는 사람, ‘대전’에 있었다